|
9일 연합뉴스·연합뉴스TV가 메트릭스에 의뢰한 8월 2주차 여론조사를 보면 내일이 총선이라면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국민의힘 후보라고 답한 비율은 31.3%, 민주당 후보라고 답한 비율은 27.4%로 3.9%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국민의힘 28.7%, 민주당 27.7%였고 인천·경기의 경우 국민의힘 30.7%, 민주당 28.8%로 전국 단위에 비해 그 격차가 1%포인트 안팎으로 좁혀졌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수도권은 서울(49석)·경기(59석)·인천(13석) 등 총 121석으로 전체 의석수 40%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이다. 그 절실함은 ‘여소야대’ 국면에서 윤석열 정부 2년 동안 주요 국정과제 추진에 발목 잡힌 국민의힘에 더 크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멘토인 신평 변호사가 ‘수도권 전멸론’을 꺼내며 대통령의 신당 창당 가능성을 언급했다가 취소했지만 국민의힘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 당내 주류의 의견이다. 수도권을 지역구로 둔 현역 의원들은 “민주당이 헛발질을 해도 여당이 전혀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하는 것은 민심이 이반됐다는 증거”(안철수 의원) “수도권 위기론은 현실”(윤상현 의원) 등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국민의힘이 총선에 연이어 패배하면서 수도권 조직력이 약해지고 이른바 ‘험지’에 출마를 꺼리는 현상도 나타난다. 국민의힘이 당원협의회(당협) 조직위원장을 공모했지만 서울 9곳·경기 14곳·인천 3곳 중 눈에 띄는 인물은 김성태 전 의원(서울 강서을)과 이용호 의원(서울 마포갑), 오신환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서울 광진을) 정도였다. 서울의 한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은 “서울은 조직력이 없는 수준”이라며 “마땅한 인물이 없다면 대승을 점치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봤다.
국민의힘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물밑에서 다양한 분야 인사를 접촉하는 등 인재 영입에 공들이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역에 걸맞은 인재 영입이 필수적”이라며 “당무감사를 통해 경쟁력이 없는 당협위원장을 걸러낸 후 이에 맞춰 수도권 곳곳에 전략적 공천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지난 총선에서 수도권에서만 103석을 휩쓴 민주당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8월 첫 주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서울에서의 민주당 지지율은 21%까지 급락할 정도다. 서울의 한 재선 민주당 의원은 “강남·서초가 문제가 아니다”라며 “민주당이 우세했던 지역마저 뺏길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뿐 아니라 최근 김은경 민주당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발언으로 상대적으로 연령층이 높은 유권자가 많이 포진한 서울에서 전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커졌다. 또 다른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노인층을 버리겠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면서도 “결국 무당층을 잡으려는 싸움이 될 것이고 청년·여성을 타깃으로 한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