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강도 방역 직격탄을 맞은 중국 경제는 둔화를 보여줬다. 중국 정부는 올해 연간 목표 성장률로 5.5%를 제시했으나 지표 부진이 이어지며 중국의 1∼3분기 누적 성장률은 3.0%에 불과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중국 성장 전망치로 각각 3.2%, 3.3%를 예상했다. 하지만 중국이 방역 완화 기조로 돌아서면 내년에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구제 조치도 내년 물가 상승 원인으로 지목된다. 블룸버그통신은 “구제 조치가 중국 경제의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의 강력한 반등을 보장하지 않지만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정상 궤도로 올리기에 충분할 수 있다”면서 “주택 시장 회복과 경제 재개는 전 세계 무역·금융 시장에 연쇄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짚었다.
중국 방역 당국은 전일 자가격리 허용·핵산(PCR) 검사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10개 방역 최적화 조치를 발표했다. 지난달 11일 공개된 20개 방역 최적화 조치에 이은 것이다. 지난 3년 동안 엄격한 방역을 고수했던 중국이 고강도 방역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역에서 발생하자 경기 침체 부담과 맞물려 갑자기 방향을 선회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고령층의 저조한 백신 접종률과 취약한 의료 시설 등 중국 당국이 방역 완화 이후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대규모 감염에 대비할 충분한 준비가 됐는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이 이동성과 공급망, 내수 시장 회복에 있어 중국이 당분간 지속적인 혼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하는 이유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