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이 지난달 말 내놓은 특판 상품인 ‘하나 아이키움 적금’은 이날 기준 가입좌수가 4300좌를 돌파하며 출시 한 달도 되지 않아 고금리 실속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적금은 1만원 이상 30만원 이하의 금액으로 가입이 가능한 1년 만기 적립식예금이다. 기본금리 2.0%에 양육수당 수급 여부·자녀 수와 연령대 등을 통한 특별금리가 더해져 최고 연 8.0% 금리를 제공한다. 아이가 1명이라도 있다면(임신부 포함) 우대금리 적용시 연 6%, 2명이면 연 7%, 3명이면 연 8%로 쉽게 최대 금리를 채울 수 있어 맘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를 심으로 입소문이 나고 있다. 이 적금은 연말까지 진행하는 5만좌 한정 상품으로, 한도 소진 시에는 판매가 중단된다.
농협은행은 올해부터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대응책인 고향사랑기부제의 연계상품인 고향사랑예·적금을 내놓았다. 연평균 잔액 0.1%를 농협이 기금으로 적립해 고객이 선택한 도 단위 지역사회로 환원하는 공익 상품이면서도 금리도 3% 중반대(12개월 만기 적금 기준)로 높아 인기다. NH고향사랑 예·적금 월별 판매 현황을 살펴보면 1~4월 예·적금 합산은 총 6만2790좌(1조4183억원)을 달성하며 주력 예적금 상품으로 발돋움했다는 평가다
|
다자녀가구의 대출 금리를 낮춰주는 은행도 있다. 하나은행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신규 또는 기한연장하는 다자녀가구 고객을 위해 최대 0.4%포인트의 대출금리를 감면해주고 있다. KB국민은행의 ‘KB 다둥이 전세자금대출’은 미성년 자녀 2인 이상 다둥이가구를 위한 대출상픔으로, 미성년 자녀가 2인 이상인 경우 최고 0.15%포인트 우대금리 혜택을 준다.
한편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아이를 키우는 데 많은 비용이 드는 나라로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위와인구연구소는 각 나라의 양육비를 그 나라의 국내총생산(GDP)와 비교한 연구를 내놓았는데 한국은 18세까지 아이를 키우는 데 1인당 GDP보다 7.79배 높은 비용이 들어 1위를 차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이자 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