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고려대와 성균관대 연구진이 유전자 가위 기술과 핵산 증폭 기술을 결합, 변이 암 유전자(DNA)를 검출하는 데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암 조기 진단을 위해 환자 혈액 속에 존재하는 순환 종양 DNA를 검출하는 센서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기존의 암 검사법(NGS 기술)은 분석 비용이 많이 들고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서다. 특히 변이가 발생한 암에선 단일염기변이가 발생하는데 일반 유전자증폭(PCR)검사로는 이를 구별해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DNA 증폭 후 유전자 가위를 이용하는 종전 방식에서 탈피했다. 국내 최초로 하이퍼브렌치형 회전환 증폭(HRCA)기술과 유전자 가위를 결합, 단일염기변이를 구별하는 DNA 증폭 기법을 개발한 것. 나성수 고려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DNA를 이용한 암 진단의 일반화를 앞당길 기술”이라며 “앞으로 일반 병원이나 보건소에서도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