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YT는 “이태원에서 숨진 수많은 사람들에 어떤 한국 정부 기관도 전적인 책임을 질 준비가 돼 보이지 않는다. 군중통제 전문가는 이번 재난에 대해 ‘명백히 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고 적었다.
|
보도는 150여명의 젊은이들이 희생당한 이번 사고에도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등 정부 당국자들이 “막을 수 없는 사고였다”는 취지로 발언한 사실 등을 지적한 뒤, 이번 사고에서 군중 통제 관리 허술을 지적한 전문가 의견도 인용했다.
해거니 교수는 “관리 당국과 행사 주최자들은 군중 밀집이 이루어지는 모임을 면밀히 관찰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며 “과거에 일어난 사고를 통해 경험을 얻고 서울에서 일어난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그 경험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거니 교수는 “이 사고는 명백히 피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과거 전세계적으로 압사 사고 사례 경험이 적지 않았던 만큼, 군중 밀집에 따른 사고 위험을 관리당국이 미리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얼마든지 피할 수 있는 사고였다는 지적이다.
|
NYT 지적대로 윤석열 대통령은 공식적인 대국민 사과를 하지 않고 있고, 주무부처 장관인 이상민 행안부장관 역시 국회 행안위 사고 현안보고에 참석해서 뒤늦게 사과 뜻을 밝혔다.오세훈 서울시장도 참사 사흘이 된 1일에서야 참사에 대한 사죄 뜻을 밝혔다.
여기에 행정부가 공문을 통해 ‘참사’를 ‘사고’로, ‘희생자’를 ‘사망자’로 사용하도록 지침을 내린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정부 책임을 경감하려는 뉘앙스가 보인 탓이다. 실제로 정부 기관이 설치한 곳곳 합동 분향소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 분향소’로 표기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