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9일 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관련 지자체와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권영진 대구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장세용 구미시장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정부는 낙동강 본류의 수질 개선 등 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용역 2건을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지자체의 참여를 보장할 계획이다.
두번째는 낙동강 본류의 수질 개선을 위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로 수량·수질·먹는 물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낙동강 유역에 대한 최적의 물 이용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 연구를 통해 국보 제285호인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환경부 등 연구용역 추진 주체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관련 지자체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종합적인 낙동강 물 문제 해소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올 하반기 출범하는 낙동강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이번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지역사회와 충분히 논의해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낙동강 물 문제는 대구 취수원 이전과 낙동강 녹조 현상, 유해물질인 과불화화합물 검출 등이 대표적이지만 지자체 간 이견으로 해결되지 못한 채 오랜 갈등을 빚어왔다. 총리실이 중재에 나서면서 이 총리가 지난해 10월 18일 대구·울산·경북·구미 지자체장과 면담을 갖고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정부는 “이번 MOU가 답보 상태였던 낙동강 유역 지자체 간 물 문제 갈등 해결의 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해당사자인 지자체와 긴밀히 협조해 공정하고 투명한 해결방안이 마련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