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위믹스는 지난 2월 벌어진 90억원대 해킹사건으로 865만4860개 위믹스 코인이 비정상 출금돼 거래유의 종목 지정됐다. 이후 소명 과정을 거쳐 상폐가 결정됐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바이백을 통한 투자자 보호, 보안 확인 증명을 비롯해 5차례에 걸쳐 닥사에 사건 경위, 공시 지연 이유, 재발 방지 및 보안 대책 강화 등의 자료를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인터넷증명원(KISA) 보안 인증 기업이 검증한 보안체계 리포트도 제출하고, 닥사에 보안점검 입회를 제안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고 주장했다.
위믹스측은 결정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기준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한국에서 블록체인산업이 퇴보할 수 밖에 없다며 쓴소리를 이어갔다. 김 대표는 “위믹스 홀더들은 위믹스 고객이지만 동시에 거래소 고객이기도 한데 고객에 대한 피해를 누가 어떻게 결정했는지가 분명하지 않다”며 “거래소들이 거래, 상폐, 관리감독을 모두 하는데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투자자들의 피해를 불러일으키는 결정을 자의적으로 하는 것은 문제 있으며, 국내 블록체인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고칠 부분은 고쳐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최근 국내에서 피해가 발생한 국내 통신사 해킹 사고를 비롯해 해외 사고(브릿징 프로토콜 웜홀에서 약 3900억원 규모의 해킹 사례)도 언급하며 회사 차원에서 신속한 조치를 하고, 추가 보완 조치, 소명을 다했음에도 거래를 종료시킨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오는 7일을 목표로 가처분소송을 제기해 진실을 알리고, 바이백을 계획대로 이행해 위믹스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닥사는 필요한 설명과 논의를 해야 하며, 다시는 이런일이 반복되지 않았으면 한다”며 “법원에서 요구하는 부분들에 대해 적극 소명할 계획이며, 법원에서 진실을 확인해주길 기대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