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만큼 오른다"…델타에 취약했던 '약자' 경기재개株 주목

영국 지난달 20일 이후 신규 확진자 감소세
전 FDA 국장, 美도 2~3주 내 잦아들 것 전망
델타 둔화 시 매출 큰 폭 준 '리오프닝', 이익 큰 폭 ↑ 전망
"판관비 비중 큰 호텔/레저, 규모 작은 LCC 회복 속도 빠를 것"
  • 등록 2021-08-03 오전 4:00:00

    수정 2021-08-03 오전 4:00:00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8월 중 정점을 찍고 기세가 꺾일 수 있다는 전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이에 그동안 바이러스 확산세가 둔화될 때 반등했던 호텔·레저 및 항공 등 리오프닝(경기 재개) 관련주에 관심을 둘 때가 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용 지출이 많고, 회사 규모가 작아 바이러스에 취약한 ‘약자’ 종목을 눈여겨보라는 조언이 나온다. 코로나19에 크게 휘둘렸던 만큼, 회복 시 큰 상승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일 존스홉킨스대학 통계에 따르면 영국의 지난 1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4139명이다. 지난달 20일 4만6125명을 기록한 뒤 하향 추세다. 이날 국내 신규 확진자는 1219명으로 집계돼 27일 연속 네자릿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지난달 29일 1707명을 기록한 뒤부턴 소폭 줄어드는 모양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인 지난 28일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확진자 급증은 경제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델타 확산세가 사그라질 기미들이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영국은 델타 바이러스 확산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이동제한 조치를 해제한 바 있는데, 그럼에도 바이러스가 통제되기 시작하고 있다”며 “스콧 코틀립 전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은 다시 감소하는 영국의 사례를 예로 들면서 미국도 2~3주 내로 확산세가 잦아들 전망을 내놓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호텔, 레스토랑, 레저와 항공 등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릴 때 가장 피해 규모가 큰 일명 리오프닝주(株)에 대한 비중 확대가 추천되고 있다. 리오프닝주는 그간 신규 확진자 수 감소기를 전후해 반등이 반복돼왔다. 리오프닝주 중에서도 코로나19로 매출 감소가 극단적이었던 종목을 눈여겨보라는 주문이 나온다. 코로나19로 인한 실적 악화는 기업의 본질 탓이 아닌 일시적인 소비 절벽에 기인한다. 이는 바이러스 확산 때 축소된 매출은, 정상화 과정을 거치며 모두 복구된다는 의미기도 하다. 매출이 크게 빠진 기업일수록 회복하는 폭도 그만큼 크단 얘기다.

실제 주가도 이같은 상황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항공 업종의 경우 지난달 5일부터 이날까지 약 한 달간 대형사인 대한항공의 주가는 7.06% 하락했으나, 제주항공은 같은 기간 11.02% 내리는 등 하락 폭이 더 컸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호텔/레저의 경우 고정비에 가까운 판관비 비중이 큰 기업은 매출이 감소할 때 이익이 크게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며 “항공업종은 호텔과 달리 평소 비용 발생이 덜하지만 실적 회복이 더딘 저가항공(LCC)이 피해가 더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8월에는 국내 신규 확진자 수도 정점을 찍고 내려올 가능성이 보이는 가운데, 호텔/레저에서 판관비 비중이 큰 하나투어(039130), 노랑풍선(104620), 모두투어(080160), 호텔신라(008770), 강원랜드(035250) 등은 코로나19 확산이 완화될 때 오히려 매출증가에 반응하는 이익의 회복속도가 더 빠를 것으로 점쳐진다”며 “LLC의 경우엔 제주항공(089590), 진에어(272450), 티웨이항공(091810) 순으로 2022년 매출 증가율 컨센서스가 크게 나타나는 등, 올가을에 반등 시도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