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군 당국에 따르면 앞선 대장급 진급 및 보직 인사에 따라 지난 11일 신임 육군참모총장 및 공군참모총장과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육군 1·3야전군 사령관의 취임식이 열렸다. 육군 제2작전사령관 취임식은 10일 진행됐다.
이에 따라 김용우 신임 육군참모총장(육사39기)이 근무했던 합참 전략기획본부장과 이왕근 공군참모총장(공사31기)의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자리는 공석이 됐다. 또 정경두 전 공군참모총장(공사30기)의 합참의장 내정으로 동기급인 이범림 합참 차장(해사36기)에 대한 인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김용현 합참 작전본부장(육사38기)과 김황록 국방정보본부장(육사40기)도 교체 예정이라 합참 내 중장급 보직이 대부분 물갈이 될 전망이다.
|
특히 현재 육군 군단장 중 1군단장과 6군단장 정도만 임기가 남아있고 나머지는 교체 예정이다. 이미 김병주 대장(육사40기)의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취임으로 3군단장은 공석이 상태다. 2군단장이었던 김운용 대장(육사40기)과 8군단장이었던 박한기 대장(학군21기)도 각각 3야전군사령관과 2작전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해군의 경우에도 중장급 보직 인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해군의 중장은 총 5명으로 합동참모차장과 해군참모차장, 작전사령관, 교육사령관, 사관학교장 등이다. 또 지난 해 인사에서 소장 진급 인사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함대사령관의 교체 가능성도 있다. 해병대의 경우에는 사단장과 여단장 교체 얘기가 나오고 있다.
첫 非육군 출신 기무사령관 나올까
국군기무사령관 인선에서는 비(非) 육군 출신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현실화 될 경우 1948년 기무사의 모체인 조선경비대 정보처 특별조사과 설치 후 69년 역사상 최초의 비육군 출신 수장이 된다. 기무사령관은 1977년 육·해·공군 보안부대를 통합한 국군보안사령부 창설 이래로 모두 육군에서 나왔다. 또 임재문(학군 3기)·김종태(육군3사 6기) 전 사령관을 제외하고는 모두 육사 출신이 차지했다.
현재 하마평에는 황우현 해병대 소장(해사37기) 등이 오르내리고 있다. 황 소장은 올해 초 인사에서 후배인 전진구 중장(해사39기)의 해병대사령관 임명에 따라 국방부 전비태세검열단장을 끝으로 전역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기무사령관 인사 검증 대상이 되면서 해병대 정책연구위원으로 보직발령이 났다가 군 인사 지연으로 현재는 해군 정책연구위원으로 현역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황 소장 외에도 공군과 해군 출신 인사에 대한 청와대 검증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