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 된 인공지능]글로벌 인공지능 유망 벤처는 어디?..매년 70%대 투자 증가

  • 등록 2016-03-16 오전 3:39:48

    수정 2016-03-16 오전 6:09:25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빅데이터가 인공지능(AI)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 초기벤처(스타트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로 구글이 인공지능과 관련해 가장 두각을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나, 인공지능의 핵심 논리나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미국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업인 비카리어스(Vicarious)는 저커버그나 피터 틸, 제프 베이조스 같은 유명인들은 물론 삼성으로부터도 지난해 투자를 받았다. 삼성은 인공지능 검색엔진 개발업체인 ‘킨진(Kngine)’에 투자하기도 했다.

비카리어스는 2013년 캡차 기술을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풀어낸 결과를 발표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캡차(CAPTCHA)코드’는 스미싱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 쓰는 보안 문자다. 사람과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해 사람만이 인지할 수 있는 문자가 포함된 변형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문자를 입력해야 다음 단계가 처리되게 만든다. 하지만 비카리어스가 인공지능 기술로 캡차의 비밀을 풀 열쇠를 제시한 것이다. 기술이 더 진전되면 캡차코드 무용론이 나올 수도 있다.

▲인터넷 가입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캡차코드
역시 미국 기업인 클러리파이(Clarifai)는 비디오 영상 속의 객체를 인식하는 기술로 주목받는 회사다. 20대인 매튜 자일러(Matthew Zeiler)가 설립한 회사로, 페이스북은 자일러를 영입하려 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전해진다. 자일러는 페이스북으로 이직한 롭 퍼거스(Rob Fergus) 뉴욕대 교수와 함께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개발하기도 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메타마인드(Metamind)’는 기계학습 클라우드 서비스와 자연어 처리 전문기업이다. 직원 10여 명에 뚜렷한 매출도 없지만, 지난해 12월 출범 4개월 만에 800만 달러(약 100억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유치했다.

내러티브 사이언스(Narrative Science)는 로봇 기자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워드스미스(Wordsmith), 퀘이크봇(Quakebot), 테크봇(Techbot) 등과 비슷한데, 포브스, AP통신, 가디언 등의 해외언론은 이미 로봇기자를 활용하고 있다. LA타임즈에서 활동중인 퀘이크봇은 캘리포니아 인근에서 4.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자마자 단 5분만에 기사를 작성하기도 했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과거 지진 기록과 그래픽 자료까지 전달하기도 했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비캐리어스 주요 투자자(출처: http://www.vicarious.com). 지난해 저커버그나 피터 틸, 제프 베이조스 , 제리양 같은 유명인은 물론 삼성으로부터도 투자를 받았다.
스마트폰 카메라 앱인 VSCO캠(VSCO Cam)으로 유명한 미국 기업인 비주얼서플라이(Visual Supply)는 얼마전 무빙 사이언스(Moving Science)라는 1인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무빙사이언스는 머신러닝을 이용해 사진 추천을 자동으로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스라엘의 비욘드 버발(Beyond Verbal)이라는 회사는 사람들의 음성 톤을 분석해서 사람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사람의 음성을 통해 감정을 파악하는 기술로 이른바 ‘어펙티브 컴퓨팅’ 분야에 도전하고 있다.

강홍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세계를 인식하고 정보의 맥락(context)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 기술과 서비스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다”면서 “2011년 이래 미국 벤처캐피탈의 기계학습·인공지능 분야 투자가 매년 70% 대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