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이틀째 숨고르기..엇갈린 실적-QE전망

3대지수 동반 소폭하락..S&P지수 1780대로 후퇴
홈디포 강세..테슬라도 `화재대책`에 반등 성공
  • 등록 2013-11-20 오전 6:05:13

    수정 2013-11-20 오전 6:05:13

[뉴욕= 이데일리 이정훈 특파원]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으로 숨고르기 양상을 보였다. 소매업체들의 실적이 업체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인데다 양적완화 축소나 증시 고평가 여부를 둘러싸고도 이견이 나오고 있는 탓이었다.

19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9.12포인트, 0.06% 하락한 1만5966.90으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도 17.51포인트, 0.44% 떨어진 3931.55를 기록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역시 전일보다 3.67포인트, 0.20% 낮은 1787.86을 기록했다.

연일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전날 ‘기업 사냥꾼’으로 불리는 칼 아이칸이 시장 급락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고점 부담이 커지자 이날도 매수세가 다소 주춤거렸다. 다만 이날 워런 버핏이 “미국 증시는 여전히 합리적 수준”이라고 아이칸을 반박하기도 했다.

연말 소비경기를 가늠해볼 수 있는 미국 소매업체들의 실적과 연말 전망도 엇갈린 모습이었다. 세계 최대 주택용품 소매업체인 홈디포가 주택경기 호조를 등에 업고 깜짝 실적을 기록했고 TJX도 실적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 최대 가전 소매업체인 베스트바이는 흑자로 돌아서긴 했지만 실적이 시장 기대에 못미쳤다. 캠벨스프는 1분기 어닝쇼크에 연간 실적 전망까지 낮췄다.

이런 가운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글로벌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다만 독일 투자자 경기신뢰지수는 4년 1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유럽중앙은행(ECB) 고위 인사들과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차기의장 지명자가 추가 부양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 악재를 다소 상쇄시켰다.

개별 종목별로는 실적 호조의 주인공인 홈디포가 1% 이상 상승하며 대형주 흐름을 주도했다. 그러나 실적 부진과 연말 우울한 전망을 내놓은 베스트바이는 무려 11.48%나 하락하고 말았다. 이로 인해 아마존닷컴도 동반 하락했다.

역시 실적이 저조했던 캠벨스프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비자카드 역시 2% 가까운 하락률을 기록했다.

반면 최근 잇단 차량 화재와 공장에서의 사고 등으로 주가 하락을 경험했던 테슬라 모터스는 이날 교통당국에 리콜 여부에 대한 조사를 의뢰하는 등 3단계 대책을 발표한 뒤로 주가가 반등세를 타며 4% 가까이 상승했다.

◇ JP모건, 美정부에 14조원 벌금확정..역사상 최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모기지담보증권(MBS)을 부실 판매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가 결국 미국 정부에 130억달러(약 13조7100억원)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벌금을 내기로 최종 합의했다. 이는 단일 기관이 지불하는 벌금으로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다.

미국 법무부와 뉴욕 검찰은 이날 JP모건이 지난 2008년 당시 MBS를 발행하면서 기초자산이 되는 모기지대출의 부실 여부를 정확하게 알리지 않아 향후 금융위기를 초래했다는 혐의를 인정해 이같은 벌금을 물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법무부는 성명서를 통해 “JP모건은 당시 판매했던 수많은 MBS 거래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심각하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을 인정했다”며 “특히 이번 합의에는 JP모건이 2008년 인수한 워싱턴뮤추얼과 베어스턴스가 판매한 부분까지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에릭 슈나이더 뉴욕 검찰총장은 “이번 합의는 금융위기를 초래한 사람들에게 책임을 묻는 첫 번째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믿는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또 “아무리 큰 기관이라고 할지라도 법을 어겼다면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JP모건 외에 다른 금융기관들도 조사하고 있으며 앞으로 몇개월내에 합의에 이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법무부는 이번 벌금 부과로 형사상 기소를 면하게 해달라는 JP모건측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법무부는 “이번 합의에도 불구하고 JP모건이나 JP모건 임직원들은 앞으로 직면할 수 있는 어떠한 가능한 형사상 기소도 면할 순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연방검찰이 벌이는 JP모건에 대한 범죄 수사는 계속될 예정이다.

◇ 옐런 “실업률 6.5% 돼도 상당기간 부양기조 유지”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차기의장 지명자가 양적완화(QE)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측면을 재차 옹호했다. 또 실업률이 6.5%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통화부양기조는 상당기간 더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옐런 지명자는 이날 상원 은행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질의한 내용에 대한 답신 서한을 통해 “연준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은 장기 금리를 하향 안정시키고 금융시장 상황을 더 부양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경제 회복을 더 강력하게 지지하고 노동시장 상황을 개선시킨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목표치인 2%에 근접할 수 있도록 도왔다”고 밝혔다. 이어 “자산매입 프로그램은 이처럼 비용보다는 더 큰 혜택을 미치고 있다”며 “연준 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 대다수도 자산매입 프로그램이 경제에 이같은 효과를 미치고 있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양적완화 규모 축소 여부에 대해서는 “이는 미리 정해진 시한이 따로 있지 않으며 어디까지나 경제 전망과 양적완화에 따른 득실 등을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재차 확인했다.

아울러 옐런 지명자는 엘리자베스 워런(메사추세츠주)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연준의 통화정책은 실업률이 기준금리 인상의 기준점으로 제시한 6.5%까지 내려가더라도 상당기간 매우 부양적인 기조로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다. 청문회를 마친 상원 은행위원회는 오는 21일 옐런 지명자에 대한 인준 여부를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 버핏 “美증시 합리적 수준”..블랙록은 逆 자금대이동 우려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 겸 회장이 “미국 증시가 여전히 합리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주장하며 전날 비관적인 발언으로 증시를 불안하게 했던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을 반박했다.

버핏 CEO는 이날 CBS와 만난 자리에서 “주식시장은 여전히 합리적인 수준(a zone of reasonableness)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지난 5년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글에서 ‘미국 주식시장이 매우 싸다’고 언급했었다”며 “당시나 지금이나 주식이 과대 평가됐다고 보는 사람도 있고 여전히 과소 평가됐다고 말하는 쪽도 있는데, 사실 누구도 주식시장이 적절한지에 대해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대부분의 시간동안 주식시장은 약간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다”며 “분명한 것은 지금 주식시장은 저평가돼 있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고평가돼 있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버핏 CEO는 “주식시장에 대해 여전히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고 소개하며 “현재 주식시장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반면 올초 시장에서 기대했던 채권에서 주식으로의 자금 대이동(Great Rotation)과 정반대되는 개념인 주식에서 채권으로의 대이동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로렌스 핑크 최고경영자(CEO)가 전망했다. 그는 “연말을 향해 가면서 연금펀드와 같은 대형 기관투자가들이 과열 양상인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빼 채권시장으로 돌아가는 역(revrse) 자금 대이동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 ECB, 미국식 양적완화 기대 ’솔솔‘..OECD도 도입 촉구

유로존이 지속적으로 저조한 인플레이션과 더딘 경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같은 양적완화(QE)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수정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유로존의 부진한 회복세를 부양하기 위해 ECB는 미국식 양적완화 조치를 도입해야 한다“며 ”추가로 자금을 풀어 유로존 정부가 발행한 국채와 기업들의 회사채 등을 직접 매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ECB가 이같은 양적완화 조치를 도입한다면 이는 유로존 경제가 과거 일본과 같은 장기 디플레이션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주 ECB내 실질적인 2인자로 불리는 페테르 프레이트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을 ECB의 물가 목표인 2%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필요하다면 은행권으로부터 자산을 직접 매입하는 양적완화를 포함한 모든 정책수단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비터 콘스탄치오 ECB 부총재도 프랑크푸르트에서 기자들과 만나 ECB의 양적완화 도입 가능성에 대해 ”물론 모든 것이 논의 가능하다“고 인정했다. 다만 그는 ’ECB가 양적완화를 위해 어떠한 기술적인 준비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단순히 가능성에 대해서만 언급할 것일 뿐 그외 구체적인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 ”프레이트 이코노미스트의 발언 이외에 추가할 내용이 없으며 프레이트 역시 이를 언급한 것일 뿐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적완화 도입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늘 그렇듯이 우리의 정책 판단은 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망에 의존한다“고 말했다.

◇ 홈디포 3Q 깜짝실적..베스트바이-캠벨스프는 부진

미국 최대 주택용품 소매업체인 홈디포의 올 3분기(8~10월) 순이익이 13억5000만달러, 주당 95센트를 기록했다. 이는 1년전 같은 기간의 9억4700만달러, 주당 63센트보다 43%나 급증한 것이다. 이는 중국에서의 7개 매장 폐쇄에 따른 비용 등 일회성 항목을 제외한 것으로, 시장에서 예상했던 주당 90센트보다 높은 것이었다. 같은 기간 매출액도 194억7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4% 증가했다. 이 역시 191억8000만달러였던 시장 전망치를 웃돈 것이다.

이에 따라 홈디포는 올 회계연도 연간 순이익 전망치도 주당 3.72달러로 전망하며 종전 3.60달러의 전망치를 높여 잡았다. 또 매출액은 전년대비 5.6% 증가할 것이라며 종전 4.5% 전망치를 역시 상향 조정했다.

반면 미국 최대 가전제품 소매업체인 베스트바이가 올 3분기(8~10월)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일회성 항목을 제외한 지속적인 영업에 의한 순이익은 주당 12센트를 기록해 시장에서 예상했던 주당 13센트 전망치에는 다소 못미쳤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93억6000만달러를 기록해 93억8000만달러였던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했고, 93억7000만달러였던 시장 전망치에도 못미쳤다. 다만 국내 동일점포 매출은 1.7% 늘어났다.

또 스프와 유기농제품, 쥬스 등을 판매하는 미국의 대형 음식료품업체인 캠벨스프의 올 1분기(8~10월) 순이익은 1억7200만달러, 주당 54센트를 기록했다. 이는 1년전 같은 기간의 2억4500만달러, 주당 78센트에 비해 30%나 급감한 것이다. 이에 따라 캠벨스프는 올 회계연도 조정 순이익이 전년대비 2~4% 증가한 주당 2.53~2.58달러로 제시했고 지속적인 영업에 따른 매출액은 4~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전망치는 종전 8월에 제시했던 순이익 성장률 3~5%, 매출 성장률 5~6%에 비해 각각 하향 조정된 것이다.

◇ OECD ”美 QE축소, 세계경제 위협“..성장전망 하향

미국의 양적완화 규모 축소와 계속되는 재정정책에서의 위기가 글로벌 경제 회복세에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적했다. 이에 따라 올해와 내년 글로벌 경제 성장률도 하향 조정했다.

OECD는 이날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재정정책과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글로벌 경제 회복에 위협이 되고 있고, 이미 많은 개발도상국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OECD는 미국에서의 정부 부채한도 상한은 폐지돼야 하며 이를 대신해 정치권의 지지하에 신뢰할 만한 장기적인 재정 구조조정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같은 OECD의 발언은, 최근 수년간 글로벌 경제에 최대 위협으로 유로존 재정위기에 주목해오던데서 미국의 재정과 통화정책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 이날 보고서에서도 OECD는 ”연준이 조만간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시작할 것이라는 가능성에 대해 투자자들이 놀랄 정도로 강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이는 개발도상국들에게 우려로 작용했고 심지어 일부 국가에서는 잠재적으로 재앙에 가까운 위기 우려를 야기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OECD는 올해와 내년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각각 종전보다 0.5%포인트씩 낮아진 2.7%와 3.6%로 하향 조정했다. 또 34개 회원국들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1.2%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고, 이같은 성장률은 내년에 2.3%, 2015년에 2.7%로 차츰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올해 1.7% 성장에 그치겠지만 내년에는 지난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2.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유로존은 올해 0.4% 성장이 위축되는 반면 내년에는 1% 성장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