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兆’ 수주 잭팟 에코프로비엠…들뜬 개미 vs 차가운 증권가

장기 공급 계약에 환호한 개인 수급 집중되며 15%↑
2차전지 테마주도 동반상승…지주사 에코프로는 급락
증권가, ‘주가 선반영’ 해석하며 ‘고밸류’ 지적
“단기 상승에 긍정적이나 중장기 실적 전망 변화없어”
  • 등록 2023-12-05 오전 6:30:00

    수정 2023-12-05 오전 6:30:00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44조원 규모 양극재 공급 계약을 따낸 에코프로비엠(247540)을 두고 시장과 증권가 반응이 엇갈렸다. 시장에서는 대규모 수주로 실적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판단한 반면 증권가에서는 여전히 밸류에이션이 과도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다.

특히 지주사인 에코프로(086520)는 자회사의 수주 잭팟과 2차전지 섹터의 상승 흐름에도 주가가 급락하는 등 과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장기 계약 수주 뜨자 개인 1500억 ‘사자’

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이날 전 거래일 대비 15.36%(4만3000원) 오른 32만3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1일 삼성SDI(006400)와 43조8700억원 규모의 2차전지용 하이니켈계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소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계약기간은 내년 1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총 5년이며 공급물량 70만~80만톤(t)으로 추정된다. 삼성SDI가 내년부터 생산하는 차세대 배터리용 양극재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계약은 에코프로비엠 설립 후 삼성SDI와 체결한 첫 장기 공급 계약”이라며 “이번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계약 물량과 기간을 구체화함으로써 앞으로 원료 확보 가시성이 확보되고 신규 투자 역시 가속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에코프로비엠이 의미 있는 수주를 따낸 만큼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이날 하루에만 1500억원 규모의 개인 수급이 에코프로비엠에 집중됐다. 장중 35만4000원까지 오르며 지난달 7일 기록한 전고점(32만원)을 뚫어내기도 했다. 거래량도 600만주를 넘어섰는데 이는 52주 신고가(58만4000원)를 달성한 지난 7월26일의 1100만주 다음으로 많다.

에코프로비엠이 급등하면서 에코프로(086520)를 제외한 2차전지 관련주도 동반 상승했다. 대규모 수주를 배터리 산업 업황 개선 시그널로 해석한 투심이 유입되면서다. 지난 1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외국 우려기업(FEOC)’ 규정이 2차전지 공급망 구축에 있어 ‘탈중국 기조’를 분명히 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2차전지 종목을 추종하는 KRX 2차전지 TOP10 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2.67% 상승했다. 에코프로가 7.87% 하락하긴 했으나 포스코퓨처엠(003670)이 10.83%,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가 14.56%, 엘앤에프(066970)가 6.63% 오르는 등 강세를 보인 덕이다.

증권가 “불확실성 걷었으나 실적 전망 변동 없어”

2차전지 종목 투자자를 중심으로 한 들뜬 분위기와 달리 증권가는 여전히 보수적인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수주 계약으로 매출 증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상당 부분 덜어낸 것은 긍정적이나 기존 매출에 플러스요인이 아니라 점진적 대체 요인이라는 해석이다. 따라서 주가 상승요인은 이미 선반영됐다는 판단이 나온다. 이 때문에 증권가는 수주의 배경, 2차전지 산업의 중장기 성장성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에코프로비엠의 밸류에이션이 과하게 측정돼 있다고 보고 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공급계약으로 수급이 쏠려 단기 주가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중장기 실적 전망에는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지난 7월 이후 주가 하락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상당히 완화했음에도 불구하고 매력도는 여전히 낮으며 당분간 주가 상승 여력도 제한적”이라 판단했다.

내년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권 교체 가능성이 부각하며 정책적 호재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가 하면 전기차 수요 둔화 등도 여전히 부담스럽다는 평가다. 2차전지 산업은 바이든 현 미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손꼽히기 때문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 둔화, 중국업체들의 미국 이외 시장의 잠식 등 이슈는 모든 관련 업체들의 밸류에이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한국 양극재 업체의 주가는 단기 수급 요인을 제외하고는 설명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창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장기 생산 확장 계획과 차세대 제품 개발, 그룹사를 통한 밸류체인 수직계열화 등은 긍정적이지만, 밸류에이션 부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실적과 캐파 추정치 상향이 가능한 중장기 공급계약 체결 또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완화되는 구간에서 투자의견 상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꽃 같은 안무
  • 좀비라고?
  • 아이언맨 출동!
  • 아스팔트서 왜?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