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조각난 얼굴이 발그레하다. 삼각·사각의 면면이 붙어 이룬 곡선의 얼굴이 친근하고 따뜻해 보인다. 굳이 성별을 따질 건 없지만 다소곳이 머리를 숙여 바닥을 응시한 자태를 보자니, 긴 머리를 늘어뜨린 여인의 형상이 잡힌다. 그래, 친구라도 하자고 해보자. 그런데 이 ‘긴 머리 여인 형상’은 그럴 의사가 없나 보다. 다가설수록 ‘정색’을 한다. 얼굴빛을 바꿔 버리는 거다. 붉게 달아올랐던 낯빛이 어느새 불 꺼진 창문처럼 검게 변해버렸다. ‘셔터가 내려온다’는 게 이런 의미인가. 잘못한 것도 없이 미안한 마음에 뒷걸음질을 치자 그제야 얼굴에 다시 혈색이 돈다.
저만치 멀뚱히 선 ‘긴 머리 여인 형상’과의 말 없는 대치국면에 속계산이 바빠지는 여기는 서울 은평구 진관동 사비나미술관이다. 특별기획전 ‘나 자신의 노래’를 열고 있다. 전시는 타이틀 그대로 ‘나’를 주제로 삼는다. 나를 속속들이 들여다보는 방식에 대한 얘기다. 누구나 피해 갈 수 없는 지난한 질문 ‘나는 누구인가’를 시작점으로 ‘내가 뭘 할 수 있는가’를 거쳐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다다른다.
어찌 보면 바로 오늘의 얘기일 수도 있다. 코로나가 몰고 온 ‘팬데믹시대’에 세상은 ‘너’도 ‘그’도 떼어버린 ‘나’만 보라고 하니까. 떨어져야 살아남는단다. 견디는 것도 각자의 몫이고 해결책도 각자의 짐이 돼 버렸다. 몸만 떨어지는 것뿐인가. 정체성·생각·마음·정신까지 다잡으라고 한다. 과연 과거 우리 삶에서 ‘멀어지다’를 덕목으로 삼은 적이 있던가.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가 한결같은 모토였을 텐데. 이 절체절명의 테마를 시각적으로 내보이기 위해 국내외 중진·중견작가 13명이 나섰다. 고상우, 배찬효, 원성원, 프랑수아 브뤼넬, 박은하, 이샛별, 지요상, 김나리, 김시하, 김현주, 이이남, 조세민, 한승구 등이 회화·사진·조각·영상·설치 등 130여점을 걸고 세웠다.
|
그렇다고 어느 작가도, 어느 작품도 ‘답’을 말하진 않는다. 그저 자신들을 던져놓고 침묵할 뿐이다. 전시를 기획한 강재현 사비나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은 “나에 대해 더 생각하고 나에게 더 침잠하는 시간을 녹여냈다”고 말한다. “예전 세상에는 나와 너 둘뿐이었다. 그런데 갈수록 내가 너무 많아지지 않았나. 다매체를 사용하면서 말이다. ‘멀티 페르소나’라고 할까. 그러던 차에 덜컥 코로나사태가 터진 거다. 타인과 분리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비로소 나를 들여다볼 기회를 얻은 셈이다.”
△국내 대표 중진작가들이 꺼내놓은 130색 ‘자아’
|
유일하게 해외서 출품한 캐나다 프랑수아 브뤼넬 작가의 ‘난 보이는 대로가 아니다 프로젝트’(Project I’m Not a Look-alike·2004)는 세상에 혹시 존재할지 모르는 또 다른 나를 찾아 떠난 여정 끝에 나왔다. 작가는 지난 20여년간 피 한방을 섞이지 않았지만 쌍둥이처럼 닮은 외모를 가진 이들을 찾아내 사진촬영을 해왔다. 20여점 사진 속 그들은 말 그대로 ‘도플갱어’인 듯하다. 하지만 나와 나란히 선 저이는 내가 아닌 누군가일 뿐. 작가는 외형이 비슷하다고 같은 사람은 아니며, 사람은 겉모습으로 판정할 수 없다는 얘기를 드라마틱하게 풀어놓는다.
사진으로 내 존재를 확인하는 또 다른 방식으론 배찬효 작가의 ‘복장으로 존재’(Existing in Costume·2007∼2012)가 있다. 작가는 서양의 복장과 분장을 갖춘 자신을 모델로 세워 이른바 ‘서양군주초상화’ 연작을 냈다. 엘리자베스 1세, 헨리 8세 등 실존인물은 물론 호박마차를 타는 ‘신데렐라’ 등. 그 배경에는 서양에서 동양남자로 느낀 소외와 편견에 대한 저항이 있다는데. 남자와 여자, 권력자와 사회적 약자의 구분이란 게 얼마나 하찮은 건가를 ‘근엄하게’ 드러내 보인 거다.
|
이외에도 지요상 작가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마치 남 대하듯 들여다보고 찔러보기도 하고(‘적요: 물 위의 무위 3’·2020), 김나리 작가는 40여점의 인물·동물상(‘먼 곳으로 2’·2018∼2020)에 상대의 아픔·눈물을 이해하는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얹어놓기도 했다.
|
△바이러스에 점령당한 세상이 바라는 희망
전시 타이틀인 ‘나 자신의 노래’는 19세기 미국 시인 월트 휘트먼(1819∼1892)의 시에서 따왔단다. 시집 ‘풀잎’(1882)에 실은 52편의 연작시 ‘나 자신의 노래’(Song of Myself)다. 어찌 보면 지금의 ‘팬데믹시대’가 바라는 희망일 수도 있다. 남을 이해하는 것으로 내 정체성을 다질 수 있고, 종내는 화해와 통합, 공존과 상생까지 시도할 수 있다는 철학이 깔렸다고 하니. ‘떨어져 있어도 마음은 함께하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닌 거다.
처음 5월에 준비했던 전시다. 팬데믹을 거치며 한 달씩 미뤄 가까스로 개막했다. 그 과정에서 해외작가 일정이 대거 취소되기도 했단다. 어렵게 열었지만 급격히 확산한 코로나의 위력에 미술관은 한산하기만 하다. 그럼에도 전시에선 윤이 난다. 볼거리와 생각거리를 거침없이 내보이는 작품이 한 점 한 점 빛을 내고 있다. 국·공립미술관이 재휴관한 탓에 몇 남지 않은 미술관 전시가 됐다. 거대한 공간에서 적막하게 ‘어쨌든 나’에 푹 빠져보는 예상치 못한 호사를 누릴 수도 있다. 놓치면 아깝다. 전시는 9월 19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