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열 LS 회장, 올해 첫 국내 현장경영.. 에너지사업 챙긴다

중국서 사업기회 모색, 국내에선 현장점검
LS그룹, HVDC 기술로 에너지효율 분야 주도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과..신성장동력 집중 투자
  • 등록 2015-05-25 오전 10:35:57

    수정 2015-05-25 오후 12:08:36

구자열 LS그룹 회장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구자열 LS그룹 회장이 에너지 효율 사업분야를 직접 챙기며 그룹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구 회장은 최근 중국 현장경영을 통해 에너지 효율 분야의 새로운 사업기회를 모색한 데 이어 오는 29일에는 제주도 HVDC(초고압직류송전) 실증단지를 방문해 차세대 핵심 송전기술이 될 HVDC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국산화 성과를 격려할 계획이다.

25일 업계와 LS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의 이번 제주 HVDC 실증단지 방문은 올 들어 첫 국내 현장경영으로 LS(006260), LS산전(010120), LS전선 고위경영진들이 대거 동행한다.

구 회장은 지난 14~16일 중국 우시(無錫)산업단지내 LS전선, LS산전, LS엠트론, 대성전기의 생산 공장을 방문해 “앞으로 스마트팩토리 기술 등 LS가 가진 에너지 효율 분야로 사업 협력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4월 실리콘밸리 기업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LS그룹의 다음 도전은 에너지 효율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고 주도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차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효율 분야를 점찍은 LS그룹은 LS산전을 앞세워 해당 사업에서 지배력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HVDC는 LS산전이 자랑하는 에너지 효율 분야의 차세대 송전기술로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시켜 송전한 뒤 전력을 받는 지점에서 교류로 재변환해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다.

교류를 직류로 변환해 송전하면 장거리 송전시에도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면적의 전선으로 2배 이상의 전류를 보낼 수 있다. 서로 다른 전력망을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간 계통연계에도 활용 가능하다.

특히 과거와는 달리 국가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협력이 강조되면서 국가간 장거리 송전의 필요성이 커진 만큼 HVDC 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고성장하고 있는 중국, 인도, 남미 등은 전력 수요 역시 증가할 전망이고 원전 가동 중단으로 전력 부족을 겪고 있는 일본도 우리나라가 눈여겨 볼만한 전력 시장이다. 유럽에서는 해상풍력발전은 물론 국가간 계통 연계도 늘고 있다.

아시아 슈퍼 그리드 예상 모델. LS산전이 향후 아시아 국가간 전력 이동 경로를 예측한 것으로 HVDC는 이 슈퍼 그리드의 주요 솔루션이 될 전망이다. LS산전 제공.
업계에서는 글로벌 HVDC 시장이 지난 2012년 4조원에서 오는 2020년 730억달러(약 80조원), 2030년 1430억달러(약 156조원)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는 ABB, 지멘스, 알스톰 등 3개 글로벌 기업이 전체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다.

LS산전은 HVDC 시장 공략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핵심 기술 국산화를 꼽았다. 지난 2009년 한전, LS전선, 대한전선과 공동으로 국산화 기술개발을 위한 합동연구에 착수한 LS산전은 이미 핵심 설비인 변환용 변압기, 싸이리스터 밸브 등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2012년말에는 제주 한림읍 금악리와 동명리에 HVDC 실증단지를 각각 1개씩 준공해 지난해 파일럿 시스템에 대한 실증운전을 완료했다.

LS산전은 기술력과 사업능력을 인정받아 지난 2013년 한국전력과 프랑스 알스톰이 설립한 조인트벤처 카페스(KAPES)의 HVDC 핵심 기술 이전 사업자로 선정됨으로써 알스톰의 핵심 제조기술을 이전받고 있다.

LS산전은 지난해 5월 국내 최초 육상 HVDC사업인 북당진~평택 고덕간 HVDC 구축 사업에서 671억원 규모 변환 설비 건설 공사를 수주했으며 지난 21일에는 정부출연 연구소인 한국전기연구원으로부터 HVDC 관련 고압 직류차단기술을 4억원에 이전받기로 합의했다.

LS산전 관계자는 “HVDC 핵심기술의 국산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LS산전은 HVDC 분야를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아 집중 투자해 완벽한 국산화를 완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위치한 LS산전의 HVDC 실증단지 모습. LS산전 제공.
HVDC 기술 개념도.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 관련기사 ◀
☞ 구자열 LS 회장, 中 현장 경영.."에너지효율 분야 기회 모색"
☞ LS산전, 이라크 신도시에 1600억 전력 인프라 공급
☞ LS, 최대주주 친인척 1인 자사주 8만500주 매도
☞ LS네트웍스, 네팔 이재민 위해 구호물품 지원
☞ [특징주]LS산전, 신저가…1Q 실적 부진
☞ LS산전, 1Q 영업익 173억..전년比 50% 감소
☞ LS엠트론, '첨단 농기계 각축장' 북미서 딜러 만족도 1위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