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원화가 약세를 보일 경우 환차손이 발생하고, 원화가 강세를 보일 경우에는 환차익이 발생한다”며 “수급 측면에서는 환율의 레벨보다는 방향성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과거 원·달러 환율 1300원 이상에서는 외국인이 한국 주식을 순매수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해당 레벨에서는 원화가 약세를 보일 확률보다는 강세를 보일 확률이 높다는 전망에 기반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원화 약세가 매출액 개선으로 이어진다고도 했다. 염 연구원은 “수출 기업 비중이 높은 한국 주식시장의 특성상 원화 약세는 매출액 측면에서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외국인 수급에서 환율의 방향성이 중요했다면 실적은 환율 레벨이 더욱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외화부채와 외화자산의 원화가치도 증가한다고 했다. 염 연구원은 “외화부채가 많을 경우 평가손실, 외화자산이 많을 경우 평가이익이 발생하는데 한국 기업 전체로는 외화자산보다 외화부채가 많아서 원화 약세 시 평가손실이 영업외비용으로 발생한다”고 했다.
이어 “현금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손실이지만, 분기 환율이 100원 상승할 때 순이익률이 1% 하락한다”며 “원화 약세는 매출에는 긍정적이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 레벨에서도 긍정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