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세종=최훈길 박종오 기자] 다음주 경제계 일정 중 주목되는 건 범정부 차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다. 금리 상승기 들어 가계의 빚 부담이 얼마나 커졌을지 관심사다.
한국은행이 내놓는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의사록을 통해 향후 기준금리 인상 속도도 가늠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
가계 빚 부담 얼마나 늘었나
16일 정부와 한은에 따르면 통계청과 한은은 오는 21일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별 자산·부채 규모 등 재무 건전성과 소득·지출·원리금 상환액 등을 조사한 통계다.
이번 통계 발표가 주목받는 것은 기준금리 인상 때문이다. 한은은 지난달 말 6년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1.50%로 인상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지난 14일(현지시간) 1.25~1.50%로 올렸다.
문제는 가계의 채무 상환 부담이다.
반면 가계소득은 1년새 2.4% 늘어나는데 그쳐, 가처분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6.6%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00만원을 벌면 26만 6000원을 대출 원금과 이자 갚는 데 썼다는 얘기다.
한은이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결과 부실 위험 가구는 지난해 3월 말 기준 전체 부채 보유 가구의 11.6%(126만3000가구)에 달했다. 이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21.1%인 186조 7000억원이었다. 자산을 팔아도 빚 갚을 능력이 취약한 고위험 가구는 전체의 2.9%인 31만 5000가구였다. 이들은 전체 금융부채의 7%인 62조원을 짊어지고 있다.
가계부채 급증세가 이어진 만큼 올해 가구의 재무건전성도 더 악화했을 것이 확실해 보인다.
|
향후 금리 인상 속도 얼마나
이주열 총재는 당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점진적인 인상’을 시사했다.
다만 ‘동결 소수의견’도 등장했던 만큼 기준금리 결정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을지 주목된다. 특히 이례적인 저(低)물가가 계속되는데 대해 각 금통위원들이 어떤 견해를 피력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미국 유로존 등 주요국은 저물가 때문에 통화정책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외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일 ‘청년 실업률은 왜 상승하는가’ 연구 보고서를 공개한다.
같은날 농림축산식품부는 청년 농업인 육성 대책을 발표한다. 청년의 농업 진입, 정착, 성장 등 단계별로 종합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은 19일 영흥도 낚시어선 전복사고의 후속 대책으로 선박안전 관련 종합대책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