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지난해 12월 22일 서울 중구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열린 세시행사 ‘작은 설 - 동지’를 찾은 아이들이 팥죽을 받고 있다. |
|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오늘은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지’다. 동지는 24절기 중 하나지만 설·한식·추석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였다. 흔히 우리 조상들은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든 음력만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연구관은 “조상들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나눈 양력도 사용했다”며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로 나눴고 그것이 24절기”라고 21일 설명했다.
그 중에서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 즉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을 때가 동지다. 보통 양력으로 21~22일 쯤인 동지 이후부터는 해가 길어진다. 따라서 과거 조상들은 동지를 새해로 여기고 제사를 지내곤 했다.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혹은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이 생긴 이유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중국 진나라에서도 동지를 새해 첫날로 여겼던 것으로 전해진다.
동지에는 음귀를 쫓는 데 효과가 있는 팥으로 동지팥죽을 먹어 귀신과 액운을 물리쳤다.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였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를 지냈다. 각 방과 장독, 헛간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뒀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었다. 이로써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낸다고 믿었다.
특히 올해 동지에는 팥죽이 아닌 팥떡을 먹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동지는 음력으로 며칠에 해당하는지에 따라서 세 가지로 구분된다. 11월 10일전이면 애(兒)동지, 10~20일 사이면 중(中)동지, 30일까지는 노(老)동지다. 각각 나이대로 어린이, 중·장년층, 노년층을 의미한다. 오늘은 음력 11월 7일에 해당해 ‘애동지’다.
애동지에는 평소와 달리 팥죽보단 팥시루떡을 만들어서 먹었다. 정 연구관은 “과거 애동지 다음해에는 아이들이 많이 죽는다는 속설이 있었다”며 “조상에게 아이들이 죽지 않게 해달라고 팥죽보다는 더 정성을 들인 음식인 팥떡을 만들어서 제사에 올렸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팥죽에 더해서 팥떡도 먹었던 것이어서 팥죽을 먹어도 상관없다”며 덧붙였다.
정 연구관은 오늘날 동지의 의미에 대해서 “현대에는 과학이 많이 발전했지만 동지는 단순한 세시풍속이 아니다”며 “동지인 오늘을 기점으로 내일부턴 해가 길어지고, 양의 세계로 들어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든 현재든 태양은 인간생활에 중요한 요소고, 특히 요즘처럼 어두운 사회에서 해가 길어지는 동지의 의미는 더 특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