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다음 타깃은 '美 아시아 심장' 쿼드…美와 대만 두고 무력충돌 가능성

中, EU·영 이어 미·캐나다 제재 명단 발표
“관련국 상황 정확히 인식, 잘못 바로잡아야”
미중 군사 충돌 우려…화약고 떠오른 대만해협
"워게임, 중국군 몇분만에 대만 공군 파괴"
  • 등록 2021-03-28 오후 10:00:00

    수정 2021-03-28 오후 10:00:00

사진=AFP
[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중국은 신장 위구르족 인권탄압 문제와 관련해 자국을 제재한 유럽연합(EU)과 영국에 이어 미국, 캐나다 등에 대해 보복 제재를 단행하며 맞불을 놨다. 다음 타깃은 반중(反中) 전선을 형성한 쿼드(Quad)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대만이 미중 간 잠재적 화약고로 떠오르면서 양국간 군사 충돌을 우려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도 나오고 있다.

中 EU·영 이어 미·캐나다 보복제재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저녁 신장 문제와 관련해 미국과 캐나다의 일부 개인 및 단체를 제재한다면서 이들 국가가 거짓말과 허위 정보를 기초로 신장 문제와 관련해 대중국 제재를 가했다고 비난했다.

이번 제재 명단에는 조 맨친 민주당 상원의원의 부인 게일 맨친 미국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 회장과 토니 퍼킨스 부회장, 캐나다 의원 마이클 총, 캐나다 의회 내 국제 인권 관련 소위원회 등이 올랐다.

명단에 포함된 개인 및 단체는 중국 본토와 홍콩·마카오 입국이 금지된다. 중국 국민 및 기관과의 거래도 금지된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 정부가 국가 주권과 안전, 발전 이익을 지키겠다는 결심이 확고하다”며 “중국은 관련국들이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잘못을 바로잡으며 신장 문제에 대한 정치적 조작을 중단하고 어떤 형식으로든 내정 간섭을 중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잘못된 길로 갈수록 멀어져서는 안 되며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자업자득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이번 제재 대상은 영국과 유럽연합(EU)에 비해서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앞서 중국은 유럽의회 의원 5명과 EU 회원국 하원의원 3명 등 유럽 측 인사 10명과 단체 4곳을 제재에 올렸고, 이어 영국 기관 4곳과 개인 9명을 제재했다.

이런 가운데 28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다음 제재 대상이 미국 주도의 안보회의체인 ‘쿼드’(Quad))가 될 것이라며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주잉 중국 시난정법대 교수는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중국은 현재까지 미국, 영국, 캐나다의 개인과 단체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며 “미국, 일본, 호주, 인도로 구성된 쿼드가 다음 차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을 지지하는 국가들과의 공동 제재의 가능성도 언급하면서 “중국은 유엔에 반제재 법안을 제기하는 방식 등 다자간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리하이둥(李海東) 중국 외교학원 국제관계연구소 교수도 “제재와 대응 제재는 동등한 힘을 위한 것”이라며 “중국은 긴장을 촉발하는 주체가 되고 싶지 않지만, 근거 없는 제재를 계속한다면 하나씩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H-6K 폭격기. (사진=연합뉴스)
“美 대만 방어시 中, 日미군 기지 공격 가능성”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깊어지면서 군사충돌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 해사국은 오는 29일부터 30일까지 남중국해역에서 군사훈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대만과 미국 간 해경분야 협력 이후 26일 역대 최대 규모인 군용기 20대를 동원해 대만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했다.

중국의 해군력은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 미국 내부에서는 중국이 대만을 상대로 군사행동에 나설 경우를 가정한 ‘워게임’에서 미국이 자주 질 정도로 중국의 군사력 증강이 상당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간) 미 NBC방송에 따르면 전직 고위 국방 당국자 출신 데이비드 오크매넥 선임 연구원은 미국을 ‘블루팀’, 중국을 ‘레드팀’으로 나눠 가상 워게임을 했을 때 대만 공군이 몇 분 만에 파괴되고, 태평양 전역의 미 공군기지가 공격 받는다고 전했다.

NBC방송은 대만과의 전쟁이 최악의 시나리오로 남아 있으며 임박하진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중국의 군사력 증강이 공격적인 언사와 결합하면서 대만이 미중 간 잠재적 화약고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존 아퀼리노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 지명자는 2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군사위에 제출한 청문회 답변에서 “중국이 예상보다 빨리 대만을 침공할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때 미국이 방어에 나서면 중국군이 일본에 있는 미군의 공군기지를 공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 16일 미일 국방장관 회담 때 미국과 일본은 대만해협 유사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싱크탱크 랜드의 티모시 히스 선임 연구원은 “중국이 대만을 공격하기로 결심하면 인민해방군 장성들은 오키나와와 일본에 있는 미군 기지를 미사일 공격하고 싶어 할 것”이라며 “인민해방군에 막대한 손실을 가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병력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CMP는 미군이 오키나와 가데나(嘉手納) 공군기지를 포함해 일본에 23개의 군사기지를 두고 있으며 감시·정찰 비행을 수행하는 대부분의 미군 군용기는 가데나 기지에서 이륙한다고 전했다.

맬컴 데이비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설령 미군이 일본에 배치돼 있지 않다고 해도 일본의 개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경우) 초장에 일본 기지를 공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 일본, 호주 등 모든 당사자가 대만 지원에 나서지 않을 선택지도 분명히 있다”며 “하지만 그럴 경우 미국이 주도하는 아시아 안보 질서가 붕괴될 것이며 중국이 재빨리 그 힘의 공백을 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토마토에 파묻혀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