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한국은행은 어느 시계에서 보느냐에 따라 원화 절하에 대한 판단이 달라진다며 펀더멘털을 고려하면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조윤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16일 기자회견에서 최근 환율 흐름을 묻는 질문에 “환율이 1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가장 큰 요인은 달러화 강세”라고 설명했다.
조 위원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피봇(Pivot·정책 전환) 지연 가능성으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라며 “중동 정세 불안 등으로 석유 수입에도 영향이 있을 테니 원화가 좀 더 약화되지 않았나 싶다. 엔화 등 주변국 통화의 약세 흐름도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장중 환율은 1400원을 돌파했다. 환율이 장중 고가 기준으로 2022년 11월 7일(1413.5원) 이후 1년 5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달 들어 원화는 달러화 대비 3.8%(장중 고가 1400원) 절하돼 달러화가 1.7% 오른 것에 비해 더 크게 절하됐다. 지난 주(5~15일) 흐름을 보더라도 원화 약세가 두드러진다. 주말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이슈를 반영한 수치다.
그러나 조 위원은 “작년말 원화가 강세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보면 원화가 더 많이 절하됐는지는 어느 시계를 두고 보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했다.
작년 4분기 달러화가 4.5% 하락했는데 원화는 달러화 대비 4.8% 올라 달러화 하락폭보다 원화 강세 강도가 더 셌다. 작년 12월만 놓고 볼 경우 달러화가 2.1% 하락한 반면 원화는 외려 0.2% 상승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작년 4분기에 크게 반영된 영향이다.
조 위원은 “많은 분들이 환율을 우려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경상수지 흑자로 조금씩 개선되고 외환보유액도 탄탄하기 때문에 경제 펀더멘털은 나쁘지 않은 수준”이라며 “환율 변동성이 있지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최근 원화가 유독 약세를 보인 것이 한미 금리 역전폭 때문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조 위원은 “다른 변수들이 다 변하지 않으면 환율은 금리차로 수렴된다고 본다”면서도 “그러나 수개월 동안 내외금리차는 변화가 없었지만 환율 수준은 변화가 있었다. 금리차보다 다른 요인이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