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만 7억6000만원'…AI 인재, 유럽가면 이만큼 받는다

AI 투자 붐에 유럽 사업 확장 기업들 증가
구글 딥노이드도 안심 못할 판…창업·이직 잇따라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스톡옵션·고연봉 등 다양한 유인책
"AI 사업 확대 지속에 인력 쟁탈전 심화될 듯"
  • 등록 2024-03-12 오후 2:39:32

    수정 2024-03-12 오후 7:27:31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거액의 연봉을 지급하거나 최고 인재를 뺏기거나 선택지는 두 가지다.”

최근 인공지능(AI) 붐을 타고 빅테크 기업들의 유럽 지사 개설이 늘면서 인재 확보전이 가열되고 있다. 경험을 갖춘 AI 관련 인력 풀(pool)이 좁은 탓에 구글의 자회사 딥마인드조차 고액 연봉을 제시할지, 아니면 우수 인력을 잃을지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
로이터통신은 11일(현지시간) 오픈AI의 챗 GPT 성공으로 AI 투자 붐이 일면서 유럽에 진출한 AI 기업들이 인재 유치 과정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에서는 최근 내로라하는 AI 기업들의 지사 개설이나 사업 확장이 잇따르고 있다. 오픈AI는 지난해 영국 런던에 첫 해외 지사를 개설한 데 이어 더블린에 사무소를 꾸렸고, 다른 국가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영국 지사를 설립한 캐나다 AI 스타트업 코히어도 직원수를 50명으로 두 배 늘릴 예정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AI 오디오 기업 일레븐랩스도 인력을 기존 50명에서 100명으로 늘릴 계획인데, 채용 공고에는 유럽에 거주해야 한다는 조건을 명시했다.

AI 열풍을 타고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운 기업들이 앞다퉈 사업을 강화하면서 관련 업계에선 인재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대표적인 예가 알파고로 잘 알려진 구글 자회사 딥마인드다. 지난 2010년 설립, 2014년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는 게임부터 구조 생물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AI 적용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 선두기업인 만큼 인재 유출 고민도 크다. 직원들이 다른 AI 기업에 이직하거나 벤처 창업을 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실제로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 무스타파 술레이만은 지난 2022년 회사를 떠나 미국에서 인플렉션AI를 창업했고, 딥마인드 연구자인 아서 멘쉬는 현재 프랑스 AI 스타트업 미스트랄의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

문제는 딥마인드를 비롯한 AI 기업들이 동일한 인재 풀을 놓고 경쟁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점이다. AI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기업들이 늘어나는 데 반해 AI 기술과 경험을 갖춘 인력 규모는 수요를 못 따라 가면서 빚어진 현상이다.

딥마인드조차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면서 AI 기업들은 인재 유치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로이터는 딥마인드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초 일부 선임 연구원들에게 수백만 달러 상당의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RSU)을 부여했다고 전했다. RSU는 임직원에 단기 성과급을 주는 대신 중장기 성과 평가를 통해 일정 기간 뒤 주식을 주는 성과 보상 제도로 국내에선 2020년 한화그룹이 가장 먼저 도입했다. 현금보상이나 스톡옵션은 단기 성과에 집착할 수 밖에 없는 만큼 장기 발전에 전념할 수 있는 제도로 우수 인재를 오래 머물게 하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다른 AI 스타트업들도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제공 등의 유인책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AI 기업 임원들은 인력난의 수혜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임원 헤드헌팅업체 에이버리 페어뱅크에 따르면 지난해 영국 AI 기업에 재직중인 임원들의 기본급이 기존 35만파운드(약 5억9000만원)에서 5만~10만파운드(약 8400만~1억7000만원) 인상된 것으로 파악됐다. 기본급만 최대 7억6000만원을 받게 되는 셈이다.

찰리 페어뱅크 에이버리 페어뱅크 전무는 “지난해 영국 AI 기업의 최고 경영진 급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면서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 코히어 등 해외 AI 대기업이 런던 시장에 진출하면서 AI 인재 확보 경쟁이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다시 뭉친 BTS
  • 형!!!
  • 착륙 중 '펑'
  • 꽃 같은 안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