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없어 일 못해”…봉사자 명의 빌려 1900만원 등친 소년범

사회봉사활동서 만난 피해자에 사기 혐의
타인 명의 휴대전화로 2년간 1900만원 편취
재판부 "편취 금액 적지 않고 피해자 고통 커"
  • 등록 2022-05-04 오후 3:03:52

    수정 2022-05-04 오후 3:03:52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소년범이었던 10대 시절, 보호처분에 따라 사회봉사활동에서 만난 한 자원봉사자의 명의를 빌려 개통한 휴대전화의 요금 1900만원가량을 갚지 않은 20대 남성에게 1심 법원이 벌금형을 선고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4일 법원에 따르면 서울북부지법 형사12단독 이동욱 부장판사는 사기 혐의로 기소된 A(25)씨에게 지난달 13일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A씨는 2015년 3월쯤 서울 중랑구 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소년보호처분으로서의 사회봉사명령에 따라 봉사활동을 하던 중 알게 된 자원봉사자 B씨의 명의를 빌려 개통한 휴대전화의 요금 약 1900만원을 대위변제하게 한 혐의를 받는다.

A씨는 피해자 B씨에게 “일을 하고 싶은데 휴대전화가 없어서 일할 수 없다”며 “단말기 대금과 사용요금 총 10만원을 틀림없이 결제해 줄 테니 명의만 빌려달라”고 거짓말했다. 당시 A씨는 단말기 할부대금과 사용요금 등을 납일 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피해자 B씨 명의로 개통한 휴대전화를 받아 2017년 5월 17일까지 약 2년 2개월간 △218회 소액결제 약 889만5234원 △79회 구글폰빌(인터넷 콘텐츠를 이용한 요금을 휴대전화로 대신 결제하는 일) 약 321만8810원 △단말기 할부대금 및 휴대전화 사용요금 약 689만1912원 등 총 1903만5956원 규모의 재산상 이득을 취했다.

피고인 A씨 측은 재판과정에서 “피해자가 사용요금을 내주겠다고 했고, 실제로 2년 넘게 사용요금을 변제했기 때문에 기망한 사실이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반면 피해자 B씨 측은 “피고인이 고등학교 자퇴 후 일을 하고 싶은데 휴대전화가 없어서 일할 수 없으니 피해자 명의의 휴대전화를 개통해주면 피고인이 기기 값과 통신요금 등을 모두 지급하겠다고 해 휴대전화를 개통해 준 것”이라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피고인과 피해자의 관계로 볼 때 1900만원이 넘는 휴대전화 요금 등을 피해자가 내주기로 했다는 것과 피고인의 주장대로 피해자가 휴대전화 요금 등을 기꺼이 내주기로 했다가 이제 와서 형사고소를 했다는 것은 상식에 반하거나 이례적이어서 쉽사리 수긍할 수 없다”고 피고인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면서 “피고인이 편취한 금액이 적지 않은 점, 아직도 피해금을 변제하지 않고 있고 이로 인해 피해자의 고통이 클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의 이유를 밝혔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