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대형엔진 34년째 1위…친환경 엔진 시장서도 두각”(종합)

현대重, ‘대형엔진 생산 2억마력 달성 기념식’ 개최
“日경쟁사보다 53년 늦게 시작했는데도 먼저 달성”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요인은 ‘차별화된 기술력’
“친환경엔진 시장 장악 나서…쉼 없이 기술력 강화”
  • 등록 2023-03-22 오후 4:16:21

    수정 2023-03-22 오후 7:29:19

[울산=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현대중공업의 대형엔진 생산 2억마력 행사를 기념하는 1만6200TEU급 컨테이너선의 초대형 메탄올 엔진 생산은 대형엔진 2억마력 생산량이라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친환경 엔진, 나아가 친환경 조선해양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현대중공업은 메탄올 연료 엔진을 시작으로 암모니아·수소 친환경 엔진 개발과 고도화에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가삼현 한국조선해양(009540) 부회장(대표이사)은 22일 울산 현대중공업 본사 엔진조립공장에서 열린 ‘대형엔진 생산 2억마력 달성 기념식’에서 친환경 엔진 개발에 힘을 쏟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지난 34년간 지켜온 대형엔진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자 끊임없는 기술 혁신으로 미래 에너지 생태계에 들어맞는 엔진을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들이 22일 울산 본사에서 열린 ‘대형엔진 생산 2만마력 기념식’에서 7만4720마력급 선박용 대형엔진에 시동을 걸고 있다. (사진=현대중공업)
1979년 첫 엔진 생산…10년 만에 시장 점유율 1위 차지

HD현대(267250) 조선 계열사인 현대중공업(329180)은 이날 세계 최초로 대형엔진(2-Stroke) 총생산량 2억마력 달성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대형엔진 생산 누계 2억마력 돌파는 현대중공업이 1979년 첫 대형엔진을 생산한 지 44년 만으로, 2억마력은 쏘나타급 중형차 약 125만대가 내는 출력과 같은 힘이다.

이날 행사에선 7만4720마력급 선박용 대형엔진에 시동을 거는 것으로 대형엔진 생산 누계 2억6만6277마력 달성을 기념했다. 유정대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본부 안전생산부문장은 “일본 경쟁업체보다도 53년이나 늦게 대형엔진 생산을 시작했는데도 지난 2010년 세계 최초로 1억마력을 생산한 데 이어 이번엔 2억마력 생산도 먼저 이루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조선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선박 심장인 엔진을 자체 제작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 1976년 엔진 사업에 착수, 1978년 당시 단일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생산능력 90만마력의 대형엔진공장을 준공했다. 현대중공업은 1979년 9380마력급 엔진 1호기를 성공적으로 제작하며 세계 엔진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현대중공업은 이후 생산 10년 만인 1989년부터 34년째 전 세계 대형엔진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에도 세계 시장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그 배경엔 2001년 세계 최초로 전자제어 대형엔진 생산, 2007년 세계 최대인 10만8920마력급 엔진 제작 등 세계 최초·최대의 기록을 만든 ‘차별화된 기술력’이 있다는 게 현대중공업 측 설명이다.

현대중공업이 22일 울산 본사에서 세계 최초로 대형엔진 생산 2억마력을 달성한 점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고 있다. (사진=현대중공업)
친환경 엔진으로 2억마력 달성…암모니아·수소 엔진도 개발 중

이날 기념식에서 2억마력을 달성하게끔 한 엔진 역시 현대중공업의 기술력이 집결됐다는 평가다. 해당 엔진은 차세대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메탄올과 디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탄올 이중연료(Dual-Fuel)’ 엔진이다. 여기엔 한국조선해양이 개발한 메탄올 연료공급시스템(LFSS)이 장착됐다.

현대중공업은 탄소중립 시대의 친환경 엔진 시장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다. 현재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대형엔진의 60% 이상이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메탄올·에탄 등 친환경 연료 엔진이다. 이 밖에도 지난해 12월엔 LNG·수소 혼소(混燒) 엔진 실증에 성공하며 수소 연료 엔진 개발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한주석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대표는 “이번에 2억마력을 달성하게 된 엔진이 세계 최초 초대형 메탄올 엔진이라는 점은 탈탄소 시대로 가는 변곡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의 시장 환경은 더 많은 도전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엔진기계사업부는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구축, 혁신과 도전을 통해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차세대 연료로 손꼽히는 암모니아 연료 엔진 개발에도 속도를 높이겠다는 계획도 드러냈다. 유 부문장은 “암모니아 연료 엔진은 대형엔진과 힘센엔진(중형엔진) 모두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대형엔진은 내년 말, 힘센엔진은 내년 초쯤을 목표로 해서 개발을 완료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은 대형엔진뿐 아니라 선박용 중형엔진(4-Stroke) 분야에서도 세계 시장 점유율 30% 이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지난 40여년간 고품질 엔진 제작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의 조선 강국으로 우뚝 서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것처럼 앞으로도 쉼 없이 기술력을 강화해 조선산업의 재도약을 이끌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표=현대중공업)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