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추락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물가다. 수입물가는 원화 약세에 두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외환당국은 작년말 종료했던 한국은행과 국민연금 공단의 외환스와프 거래를 재개하는 등 원화 가치 방어에 나섰다.
|
13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25.7원)보다 15.3원 하락한 1310.4원에 마감했다. 이날 한은과 국민연금이 연말까지 350억달러 한도 내에서 외환스와프 거래를 재개했다는 소식에 1327원까지 올랐던 환율이 20원 가량 급락하며 장중 1308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원화 반등은 ‘외환스와프 거래 재개’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일 뿐, 올 들어 원화는 주요국 통화 대비 약세 흐름이다. 연초 이후 달러화가 1.9%(12일 기준) 하락했는데 원화는 이날까지 외려 3.5% 하락했다.
이데일리가 주요 16개국 통화를 분석한 결과 올 들어 12일까지 원화는 4.6% 하락해 러시아 루블화(-9.7%), 남아프리카공화국 란드화(-7.3%) 다음으로 하락폭이 컸다. 호주 달러화와 뉴질랜드 달러화도 약세를 보였지만, 하락률은 2.4%, 2.5%에 불과했다. 반면 이 기간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는 각각 2.7%, 3.2% 상승했고, 중국 위안화는 0.4% 올랐다.
원화의 추락은 펀더멘털 약화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계속 하향 조정되는 추세다.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을 1.6% 전망에서 내릴 수 있다고 밝혔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성장률을 1.7%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특히 IMF는 중국의 성장률을 5.2%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고, 미국은 1.6%로 0.2%포인트 상향 조정해 우리나라보다 높게 제시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미국, 중국 등 세계 성장률을 상향 조정하면서도 우리나라 성장률은 0.2%포인트 내린 1.6%를 제시했다.
무역수지는 이달을 포함해 1년 1개월째 적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선 경상수지마저 두 달째 적자다. 해외와의 거래를 통해 오히려 달러가 빠져나가고 있다는 얘기다. 올 들어 3월까지 외국인의 주식·채권 투자금도 8000만달러 순유출이라 달러 유입이 위축되고 있다.
일각에선 4월이 외국인이 배당금을 해외로 역송금하는 시즌이라 달러 유출로 원화 약세가 가중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다만 지난 10년간 4월 원화 가치 변동률을 분석해보면 5개년은 하락했고, 나머지 5개년은 상승했다. 역송금 시즌이 끝나더라도 원화 약세가 개선될 가능성은 낮다는 얘기다.
|
한은은 원화 약세 방어를 위해 작년말 종료했던 국민연금과의 외환 스와프를 재개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무역수지 적자 개선이 늦어지고 해외 투자 수요는 계속되는 데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나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변동성이 큰 편”이라며 “외환스와프를 통해 환율 상단에 대한 인식이 생기면 시장 안정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원화 약세를 개선하기 위해선 수급 측면 외에 펀더멘털 회복이 중요해 보인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론 4월 배당금 역송금 등으로 환율이 1300~1320원선에서 움직이지만 중장기적으론 연준의 긴축 종료와 달러 약세를 따라갈 것”이라면서도 “국내 펀더멘털 측면에서 볼 때 환율이 드라마틱하게 내려가긴 어렵고 1290원대 정도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한미 금리 역전폭 등 내외 금리차를 축소해 원화 가치 하락을 방어했으나, 현 상황에선 금리 인상이 오히려 펀더멘털을 망칠 수 있어 이 역시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오히려 물가 안정시 경기 부양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대(對)중국 수출,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런 것들은 우리나라가 대응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며 “하반기 물가가 2%대 가시권에 들어갈 경우 추가경정예산이든 금리 인하든 경기부양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