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맞설 인재올까…‘넥슨서 엔씨까지’ 연봉 인상 잰걸음 마무리

넥슨 띄운 연봉 인상 릴레이, 엔씨서 마무리
개발직 2100만원 오르기도…비개발직도 대폭적 인상
中선 우수 인재 게임·인터넷에 몰리면서 비약적 발전 이뤄
국내서 새 바람 일어날까…‘젊은 피’ 우수 인재 수급 본격화
  • 등록 2021-03-11 오후 4:12:13

    수정 2021-03-11 오후 4:12:13

넥슨 판교 사옥 전경


[이데일리 이대호 기자] 주요 게임 기업들의 연봉 인상 레이스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달 △넥슨이 먼저 공을 던졌고 △넷마블(251270)이 받았다. 곧이어 △컴투스(078340)게임빌(063080)이 연봉 인상 대열에 합류했고 △크래프톤 △조이시티(067000)베스파(299910) △스마일게이트 △네오위즈(095660)엔씨소프트(036570) 등이 줄줄이 연봉 인상 소식을 알렸다.

게임업계 전반이 연봉을 인상한 것은 인재 수급 때문이다. 업계가 이미 위기에 직면해있다. 중국 때문이다. 이제 중국 기업과 단순 개발력 경쟁을 벌이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 될 정도로 격차가 벌어졌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개발에 1년 걸릴 게임이 중국에선 3개월 만에 나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다양한 게임 장르가 활성화된 가운데 개발자 수급도 비교적 원활하고 분업화도 잘돼 있다. 예전엔 ‘중국 게임은 공장에서 찍어내고 조립한다’고 낮잡아 봤지만, 지금은 이렇게 만드는 중국 게임도 수준급의 완성도를 보일 정도로 발전했다.

이제 국내 업계는 양적인 팽창과 공장식 개발 경쟁에선 승산이 없고, 우수 인재를 확보해 질적인 경쟁의 시기로 패러다임을 바꿀 시기가 왔다고 보고 있다. 주 52시간 업무가 안착하면서 그동안 만연했던 밤샘 개발이 사라지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이미 질적 개발 경쟁이 시작된 상황이기도 하다.

미호요 원신 대표 이미지
◇韓 모바일게임 100명이면 대작? 中 원신은 최대 500명


국내에선 모바일게임에 개발진 100명이 투입되면 블록버스터급 대작으로 본다. 지난해 출시한 모바일 흥행작 넥슨 ‘브이포(V4)’가 대표적 사례다. 현재도 100여명의 개발진이 투입돼 있다. 대형 PC온라인게임으로 넓혀봐도 200명을 넘기기가 쉽지 않다.

중국 게임은 이를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중국 미호요 ‘원신’엔 적게 잡아도 300명 이상, 많게는 500명 가량의 개발 입력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원신은 모바일과 PC, 콘솔 플랫폼 모두 지원하는 크로스플랫폼 게임이다. 대규모 개발력 투입은 물론 기술적으로도 한발 앞서 세계인을 깜짝 놀라게 했다.

게임강국 코리아 간판은 사실상 중국에 뺏긴 지 오래다. 컴투스 ‘서머너즈워’, 크래프톤 펍지 ‘배틀그라운드’ 외엔 국내 기업에서 세계적인 흥행작이 나온 지 한참의 시간이 지났다.

넥슨(네오플) 던전앤파이터, 엔씨 리니지 시리즈 등 국내 최고 브랜드 게임도 따지고 보면 흥행 지역이 중화권으로 한정돼 있거나 내수 시장에서 유독 강세를 보이는 게임이 적지 않다. 국내 기업들이 PC에서 모바일로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성공적인 적응과 코로나19 영향으로 매출 성장세는 유지하고 있으나, 흥행 바통을 이어갈 차기작이 끊기면서 위기론이 점차 수면 위로 올라오는 중이다.

컴투스 서머너즈워 대표 이미지
◇세계인이 즐기는 확률형 아이템? 돌파구 마련 필요


국내 게임은 확률형 뽑기 아이템 매출이 90% 이상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 얘기가 나오면 업계가 적극 반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단품 판매 방식의 콘솔 패키지가 자리 잡은 서구권은 게임 내 확률형 유료 아이템이 익숙지 않은 시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확률형 아이템을 잘만 활용한다면 세계 시장에서도 충분히 호평받고 성공할 수 있다. ‘서머너즈워’가 그러한 사례다. 글로벌 원빌드(단일버전), 단일 수익모델(BM)로 무려 6년이 넘게 인기를 유지 중이다. 소환수 확률형 BM이 적용돼 있는 가운데 지금은 국내보다 유럽에서 인정받고 더 인기가 높은 상황이다.

크래프톤 펍지 배틀그라운드 게임 이미지
또 하나 성공 사례인 펍지 배틀그라운드는 단품 패키지 게임이다. 캐릭터 성능에 영향을 주고 결제를 유도하는 과금 설계 없이 게임 콘텐츠로만 승부를 걸어 서구권 시장까지 제패했다는 것에 업계와 게이머들이 후한 점수를 주고 있다.

두 게임과 같은 성공 사례가 더 나오기 위해선 ‘젊은 피’와 함께 ‘뛰어난 인재’가 필요하다는 것에 업계도 공감하고 있다.

11일 연봉 인상안을 발표한 엔씨의 경우 신입 초봉의 상한선을 없애 인재 수급에 강한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뛰어난 신입 인재라면 경력 수준의 연봉을 주고도 확보하겠다는 얘기다.

몇 년 전부터 게임업계에선 “중국에선 칭화대, 베이징대 수재들이 게임과 인터넷 업계로 몰리지만, 국내는 업계 이미지도 좋지 않고 인재 수급이 쉽지 않다”고 자조적인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이 때문에 “10년 뒤 더욱 격차가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올해를 계기로 업계 내 분위기도 달라질 전망이다. 개발직의 경우 크래프톤은 초봉 6000만원을 맞췄고 엔씨소프트는 최소 5500만원을 제시한다. 이름만 대면 알만한 대기업과 비교해도 밀리지 않는다.

이번에 의미를 둘 부분은 비개발직 연봉도 대폭 올랐다는 점이다. 개발이 아닌 지원부서 인력들은 그동안 성과분배 측면에서 뒷전이었으나, 업계가 연봉 테이블 재설계와 복지 보상안을 대거 손질하면서 프로젝트 성공 시 같이 조명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신개념 수익모델(BM) 기획 등을 위해선 비개발직 인재도 대거 필요한 상황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눈물 참다 결국..
  • Woo~앙!
  • 7년 만의 외출
  • 밥 주세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