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당안을 대표 발의했던 양향자 국민의힘 반도체특위 위원장은 개정안 통과후 “세액공제율 8%는 대한민국 반도체산업의 사망선고”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반도체학회 등은 이날 성명을 내고 “한국 반도체 미래가 없어졌다”고 개탄했고,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국회와 정부가 계속 세액공제비율 확대 논의를 이어가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기재부는 반도체 시설투자에 대한 8% 세액공제가 반도체 경쟁국에 비해 적지 않은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미국은 내년부터 반도체 설비투자에 25% 공제율을 적용하지만 비우호국 투자 금지 등 엄격한 요건을 두고 있어 우리나라와 수치만으로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며 “일본의 경우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공제가 아예 없다”고 반박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반도체 R&D(연구개발) 분야에 대해 30~50%의 세액공제율을 적용해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지원이 부족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기대에 못 미쳤을 수 있지만, 따져보면 절대로 적은 수준이 아니라는 얘기다. 하지만 기재부가 세수가 줄어들 것을 우려해 세액공제율 확대에 반대한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양 위원장의 개정안을 토대로 세수 감소액을 추계한 결과 △2024년 2조6970억원 △2025년 2조8186억원 △2026년 4조4094억원 △2027년 4조4599억원 △2028년 4조6835억원 △2029년 4조8139억원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26년부터는 4조원 이상 세수가 급감할 것으로 추산했다. 내년 예상 국세 수입(400조5000억원)의 1%가 넘는 규모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반도체 산업 발목을 잡은 격”이라며 “세수 확보에 치중해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소탐대실’의 결과를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기재부 관계자는 “반도체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제율을 결정했다”며 “세액공제율 8%는 여야와 치열한 토론 끝에 합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