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경제 좋아진다"는 홍남기…'근자감' Vs '바닥 탈출'

수출·투자·생산·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 살펴보니
수출 물량·생산·투자 2개월째 증가세 ‘긍정 신호’
예상보다 더 나빴던 상반기…회복 장담은 어려워
미중 무역갈등·반도체 시세 하반기 주요 변수될듯
  • 등록 2019-06-05 오전 12:00:00

    수정 2019-06-05 오전 12:00:00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19년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사전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현재 한국 경제가 위기상황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대내외 여건을 봐도 하반기 경제가 나아지는 양상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방송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 뿐 아니라 경제부처 당국자들은 올해 경기사이클은 ‘상저하고’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아 강조했다. 최악의 경제성적표를 받아 든 시점에서 희망적인 메신저일 수 있지만 당장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변명으로 들리기도 한다.

올 1분기 경제성장률은 10년 만에 가장 낮은 마이너스(-) 0.4%를 기록했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던 수출액도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하락 중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내외 연구기관도 올 들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2%대 초반으로 잇따라 하향조정했다.

하반기를 한 달 앞둔 현 시점에서도 ‘상저하고’는 여전히 유효할까. 주요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그 조짐은 일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같은 다양한 국내외 변수로 전문가의 예측도 엇갈린다.

연합뉴스 제공
수출액 6개월 연속 줄었으나 물량 2개월째 증가

올 들어 우리 경제에 발목을 잡는 가장 큰 어려움은 수출이다. 수출액은 지난해 12월부터 올 5월까지 6개월 연속 줄었다. 올 2월 전년보다 11.4% 줄어든 395억달러로 바닥을 찍은 이후 4월(488억달러) 전년대비 감소율이 2.0%까지 줄어들면서 회복 흐름인가 싶더니 5월(459억달러) 들어 감소 폭이 9.4%로 다시 늘었다. 막내리길 기다렸던 미중 무역분쟁은 오히려 심화했다. 국제무역액 자체가 줄어들면서 무역 의존도가 큰 우리에 악영향을 줬다.

그러나 최근 수출 흐름을 자세히 살펴보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요인이 있다. 4월 이후 수출물량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점이다. 수출 단가가 줄어서 액수가 줄었을 뿐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란 악재 속에서도 해외에선 꾸준히 우리 물건을 찾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5분의 1 가량을 차지하는 반도체의 5월 국제시세는 큰 폭 내렸다. D램이 전년보다 57.3% 낮고 낸드 역시 24.6% 하락했다. 국내외 전문가의 예측대로 하반기 시세 회복이 이뤄진다면 반전을 노려볼만하다. 지난해까지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자동차와 선박 수출이 2~3개월째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이 같은 수출에서의 긍정 요인은 국내 경제지표로도 이어지고 있다. 4월 산업생산 지표 전월대비 0.7% 증가했다. 설비투자도 4.6% 늘었다. 둘 다 3월에 이은 2개월 연속 증가다. 지난해 한국GM이 군산에서 철수하는 등의 제조업 구조조정 여파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현 경기와 앞으로의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4월 들어 98.5와 98.2로 지난해부터 이어졌던 하락세를 멈췄다. 이 역시 우리 경제가 경기 저점에 가까워졌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 월별 수출 물량 및 단가 증감률 추이.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하락세 끝 단정은 어려워…전문가들도 전망 엇갈려

그러나 이 같은 일부 지표의 긍정적인 변화만으로 하반기 경기 회복을 단정하긴 어렵다. 또 회복하더라도 회복 정도가 얼마만큼이 될 지 예측할 수 없다. 정부는 올 상반기 경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긴 했으나 실제론 예상보다 더 나빴다.

물가상승률이 최근 경기위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5월 물가는 전년대비 0.7% 상승에 그쳤다. 올 1월 이후 5개월 연속 0%대 상승률이다. 2015년 국제유가 하락과 메르스 사태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10개월 연속 하락했던 이후 가장 길다. 특히 식료품이나 에너지처럼 대외 변수가 큰 품목을 뺀 근원물가지수도 0.6% 증가에 그치며 1999년 12월 이후 가장 낮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현 우리 경제상황을 ‘준디플레이션’ 상황으로 진단하기도 했다. 근원물가지수는 내수 경기를 가늠하는 ‘경제 체온계’로도 불린다.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란 초대형 대외 변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적정 수준에서 갈등을 봉합하리란 예측과 달리 2000억달러 규모 중국 수입품에 관세폭탄을 떨어트렸다. 이에 맞서 중국도 다양한 보복 카드를 꺼내들었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 보복전이 이어진다면 9개월 이내에 국제적인 경기침체가 올 수 있다고 했다.

현재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작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2개월 연속 하락했다가 4월에 보합세를 기록했다. 향후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10개월 연속 하락했다가 올해 4월 보합세를 기록했다. 단위=포인트.[출처=통계청]
전문가는 최근 경기와 하반기 회복 전망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 전반적으로 최근 일부 지표에 긍정 신호가 있는 건 분명하지만 추이를 더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수출이 물량 기준으로 플러스로 전환했고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을 고려하면 하반기엔 수출 지표 회복이 기대된다”며 “4월 산업생산과 설비투자의 증가도 경기침체 우려를 조금이나마 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윤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세를 멈춘 건 경기 바닥 탈출의 신호”라며 “2분기까지 저점을 다지고 하반기부터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그러나 “고용지표는 등은 여전히 부진하고 미중 무역분쟁 등 수출 관련 불확실성도 상존한다”며 “4월 산업활동 관련 지표 회복은 분명 희망적 신호이지만 한 달의 수치만으로 문제를 헤쳐나갈 수 있다고 얘기하기는 이르다”고 전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도 “생산지표 증가도 낮은 수준이고 투자도 지난해 부진의 기저효과 측면이 있다”며 “침체한 상황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는 게 맞으며 저물가를 고려하면 사실상 디플레이션으로 봐도 이상하지 않다”고 전했다.

경기 화성에 위치한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내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삼성전자 제공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사실은 인형?
  • 사람? 다가가니
  • "폐 끼쳐 죄송"
  • '아따, 고놈들 힘 좋네'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