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금융위는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4분기(10~12월) 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애초 금융위는 지난달 21일 로드맵을 발표한다고 공표했으나 발표 전날 이를 연기했다. 당시 금융위 관계자는 “추가 의견수렴을 거쳐 8~9월에 발표”라고 예고했는데, 이달 들어서는 ‘늦으면 12월’로 발표 시점을 더 늦췄다.
이 로드맵은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모든 상장사에 ESG 전반의 공시를 의무 도입·시행하는 내용이 골자다. 로드맵에는 연도별 ESG 공시 의무화 대상 기업과 적용 계획 등이 담긴다.
그러나 금융위는 미국이 4분기께 로드맵을 발표한다는 소식을 최근에 접하고 고민이 깊어졌다는 후문이다. 폴 문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국장은 지난 17일 한국회계기준원 등이 주최한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세미나에서 “1만6000건의 의견서를 검토하면서 4분기에 ESG 공시 기준 확정안 발표를 목표로 준비 중”이라며 “공시를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적용할지 신중하게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ESG 공시제도 로드맵과 관련 미국안을 보고 발표할지, 미국안과 무관하게 발표할지 각각 장단점이 있어 고심 중”이라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설익은 내용으로 빨리 발표하는 것도 부담이고, 미국안만 기다리다가 무작정 늦추기도 힘든 딜레마에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금융위는 상장사, 회계업계·학계 등과 만나 추가 의견수렴에 나설 계획이다. 한종수 한국회계학회장(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은 “앞으로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도입 기업, 탄소배출 관련 기업의 경우 미래의 환경 비용까지 추산해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ESG 의무공시 파장이 만만치 않다”며 “ESG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기업도 많기 때문에, 특히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안을 면밀히 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