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39%를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올 3월 이후 반등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과장은 “아시아 주변국의 사례를 보면 방역조치가 완화된 직후 분기에 소매판매가 빠르게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중국도 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면 소매판매가 1분기 후반부터 본격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경제 활동 재개는 우리나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장은 “중국의 경제활동 정상화는 대중 수출 회복 등을 통해 우리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중국 경제 정상화에 따라 IT경기 회복속도가 빨라지고 상품수출이 증가할 뿐 아니라 중국 해외 여행 급증 등으로 서비스 수출도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 경제가 내수 및 서비스 중심으로 재개될 경우 우리 수출에 대한 영향을 일부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경제활동 재개로 원자재 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경우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이 과장은 “에너지 및 여타 원자재에 대한 중국 수요가 늘어나면 유럽 에너지 문제 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의 봉쇄 기간 중 유럽은 LNG 등 러시아산은 대체하는 에너지를 쉽게 확보할 수 있었으나 중국이 경제활동 재개하면 중국 수요가 크게 늘어 에너지 수급 차질이 다시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올 하반기중 중국 경제활동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겨울철 러시아 가스 공급이 완전히 차단될 경우 연간 유럽 가스 공급이 수요 대비 7% 가량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에선 중국 경제 활동 재개에 대한 불확실성도 크다는 평가다. 이 과장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발생에 따른 감염병 확산세 지속, 봉쇄정책 재도입 등으로 소비 및 생산활동 회복이 지연되고 경기 반등이 제약되면서 4% 초반의 성장세를 나타내는 부정적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높은 불확실성을 반영하듯 주요 기관 및 투자은행의 올해 중국 성장률은 4.0~6.0%로 다양하다”고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 성장률을 5.2%로 상향 조정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5% 이상의 성장률을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