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관전 포인트 셋…'제로금리··양적완화·금리상한제'

"최악 국면 지났다" 평가 속에 9~10일 FOMC 회의
올해 첫 점도표 발표…자산추가 매입 규모도 '관심'
새로운 통화정책 수단 YCC 도입여부에 시장 촉각
  • 등록 2020-06-09 오전 12:00:00

    수정 2020-06-09 오전 12:00:00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afp제공]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오는 9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이틀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열린다. 이번 FOMC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세계 경제가 ‘최악의 국면’은 지나갔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에서 열리는 첫 회의인 만큼 관심이 집중된다. 전 세계 유동성을 좌지우지하는 연준의 판단에 따라 최근 ‘과열 논란’이 나오는 증시의 움직임도 달라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준이 새로운 통화정책수단으로 수익률 곡선 관리(YCC·Yield Curlve Control)를 도입할지도 관심사다.

관전포인트 ‘세 가지’ 제로금리·QE 규모, 그리고…

핵심은 연준이 얼마나 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할 것인가이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은 연준위원들이 생각하는 향후 금리 방향을 알려주는 점도표를 발표한다. 한때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 도입에 대한 가능성 역시 제기됐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등 연준 총재들이 강하게 선을 그은 데다가 지난 주말 발표한 미국 5월 고용보고서에서 시장의 기대치보다 양호한 고용시장 데이터가 발표되면서 이에 대한 기대감은 후퇴한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은 연준이 얼마나 제로(0)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에 있는지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블룸버그가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2023년까지 연준이 제로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22%는 2022년 말까지로 예상했다.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연준의 자산 매입 규모이다.

무제한 양적완화(QE)를 선언한 연준은 지난 3월 말부터 지난 2일까지 3조달러를 넘어서는 미국 국채, 모기지채권(MBS), 회사채 등을 매입했다. 이에 따라 미국 연준 대차대조표는 7조달러까지 팽창한 오른 상태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기업어음매입기구(CPFF), 회사채매입기구(PMCCF·SMCCF) 등 신용 경색을 막기 위한 조치가 실행되고 미국 금융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연준은 자산 매입 속도를 줄이고 있다.

4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연준은 하루 750억달러까지 국채와 MBS를 매입했지만, 이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이번 주에는 국채 40억달러, MBS 45억달러 가량으로 매입 규모를 축소했다.

냇웨스트 마켓츠의 존 브릭스 수석 전략가는 “연준이 테이퍼링(tapering)을 계속하면서 공식적인 계획을 내놓지 않으면 시장은 QE가 한 번에 끝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이는 연준이 의도하는 바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설문조사에서는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10조 9000억달러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중간값이 나왔다.

‘코끼리 말뚝박기’ YCC “9월 도입 유력”

결과적으로 시장은 연준이 지금까지 그대로의 정책을 지속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기가 ‘턴 어라운드’(turn around)하는 상황에서 연준이 흔들림없이 든든한 금융시장의 후원자로 남길 바라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연준의 새로운 통화정책 수단으로서 YCC를 도입할 것인지 역시 주목된다.

YCC는 중앙은행이 장기금리에 목표치를 두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다. 통상 중앙은행은 단기물을 기준으로 기준금리를 관리한다. 연준 역시 은행이 중앙은행에 하루짜리 급전을 빌릴 때 사용하는 연방기금 금리(FF금리)를 기준으로 통화정책을 하고 있다. YCC는 여기에 더해 미국 국채 2년물이나 5년물 등 장기채 금리를 새로운 기준으로 삼아 채권을 매입하거나 매도함으로써 수익률 곡선 전체를 중앙은행 관리하에 두는 것을 뜻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당장 이번 FOMC에서 YCC 도입에 대한 결정은 발표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연준은 미국 국채를 낮은 금리 하에서 매입하기 위해 더 확실한 도구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2달간 3조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현재도 최소 1조달러 이상의 5차 경기부양책이 논의되는 상황이다. 이들 중 상당수가 국채 발행을 통해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국채 발행 시에도 시장이 충격을 받지 않을 방법으로서 YCC가 유력한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만약 YCC가 성공하면 시장은 ‘어릴 때부터 말뚝에 묶인 채 자라난 어린 코끼리’처럼 연준이 설정한 목표범위 밖으로 금리가 벗어나려고 하면 자동적으로 이를 조절하게 된다. 연준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장기금리 조절에 성공하는 셈이다.

WSJ는 “연준이 지난 3월 3년물 국채 수익률 상한선을 0.25%로 고정시킨 호주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며 “연준이 최소 3년간 금리를 0% 가깝게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면 2023년 6월 이전 만기채권에 대한 금리를 제한하게 돼 국채 매입 역량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YCC 역시 양날의 칼이다.

만약 시장이 연준이 제시한 장기물 금리가 너무 낮다고 판단할 경우,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서 연준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채권을 매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인플레이션 등을 이유로 이 정책을 너무 빨리 끝내면 연준의 신뢰성을 훼손시킬 수 있지만 너무 장기화하면 금융기관들의 수익성이 악화하며 금융시장의 건전성이 훼손될 수 있다.

마크 카바나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전략가는 WSJ에 “경제 재개에 따른 경기 반등세가 지나가고 경기 회복에 시간이 걸린다는 신호가 명확해질 때, 즉 9월에 연준이 YCC를 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부진, 장미란과 '호호'
  • 그림 같은 티샷
  • 홈런 신기록
  • 꼼짝 마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