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지난 6일 대장동 개발 비리 자금 은닉 등 혐의로 김씨를 불러 조사했다. 김씨는 지난달 자신의 차에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해 병원으로 이송됐다가 20여 일간 치료를 마치고 퇴원했다.
검찰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남욱 변호사 등의 진술을 토대로 김씨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측에 대장동 사업 특혜 대가로 428억원 상당의 천화동인 1호 지분을 약속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하지만 김씨는 남 변호사 등의 진술은 거짓이라고 반박하고 천화동인 1호 실소유주는 자신이라고 주장해왔다.
법조계는 김씨가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후 심경 변화를 겪고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는 태도로 바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 비리 구조 전반을 파악했지만, 의혹의 ‘최윗선’으로 지목되는 이재명 대표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김씨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른바 ‘50억 클럽’ 수사도 김씨의 입에 달려 있다. ‘정영학 녹취록’에 따르면, 김씨는 대장동 개발 사업의 위험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박영수 전 특검, 권순일 전 대법관, 곽상도 전 의원 등에게 50억원을 주기로 약속했었다. 검찰은 김씨가 이들에게 언제 어떤 방식으로 돈을 건네려고 했는지 파악해야 한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검찰이 김씨의 재구속을 시도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범죄수익 은닉 혐의 관련해 측근들이 구속된 만큼 주범인 김씨도 구속할 필요가 있고, 또다시 자해나 극단적 선택을 하지 못하도록 ‘안전 확보’ 차원에서 신병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검찰 관계자는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필요한 방식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