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문화계 결산]① 문화계, 시대 변화 중심에 서다

미투·南北예술단·블랙리스트 등
키워드로 돌아본 2018년 문화계
  • 등록 2018-12-18 오전 6:00:00

    수정 2018-12-18 오전 6:00:00

지난 2월 연극연출가 이윤택이 서울 종로구 30스튜디오에서 자신에 대한 성폭력 의혹에 대한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다사다난했던 2018년, 문화계는 시대 변화의 중심에 서있었다. 서지현 검사의 폭로로 시작한 ‘미투’ 운동은 연극계를 중심으로 한 문화계의 고질적인 위계 문제를 수면 위로 끄집어내며 성폭력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진 한반도 평화의 밑바탕에는 문화로 한민족의 동질성을 확인시킨 남북 예술단 공연이 있었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관련자 처벌 문제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 태도는 예술인들을 2년 만에 다시 거리로 나서게 했다.

◇문화계 넘어 한국사회 강타한 ‘미투’

2018년의 시작과 함께 위계에 의한 성폭력 문제를 폭로하는 ‘미투’ 운동이 문화계를 강타했다. 시작은 극단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이었던 연극연출가 이윤택이었다. ‘문화 게릴라’라는 수식어와 함께 한국 연극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이 연출이 자신의 극단 출신 후배 연극인들을 여러 차례 성폭력했다는 충격적인 폭로가 이어졌다. 이후 연극연출가 오태석, 뮤지컬 제작자 윤호진, 배우 겸 공연제작자 조재현 등 공연계 대표 예술인의 성폭력 문제가 끊임없이 쏟아져 나왔다. 배우 오달수, 조민기 등 연예계는 물론 음악인 남궁연이 연루된 국악계까지 그 여파가 번졌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가 공동으로 구성한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특별조사단’이 지난 6월 발표한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문화예술계 여성 종사자 중 57.7%가 ‘성희롱·성폭력을 직접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가해자와의 관계에 대해 묻는 복수응답 질문에는 선배 예술가(64.9%)와 기획자 및 감독(52.5%)이 가장 많아 위계에 의한 성폭력 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함을 드러냈다. 정부는 문화계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분야별 성폭력상담소 설치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윤택 연출은 지난 9월 열린 1심 재판에서 징역 6년형을 선고 받았다.

지난 4월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린 남북예술인의 연합무대 ‘우리는 하나’ 공연에서 출연진이 손을 흔들고 있다(사진=평양공연 사진공동취재단).


◇남북 평화 밑거름된 예술단 공연

2018년 세계를 놀라게 한 한반도 평화 분위기 전환에는 문화의 힘이 있었다. 지난 2월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을 앞두고 성사된 북한 예술단 삼지연관현악단의 공연은 남북은 하나라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시켰다. 현송월 단장을 필두로 한 140여 명 규모의 삼지연관현악단은 강릉아트센터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의 두 차례 공연을 통해 큰 감동을 선사했다. 북한 예술단이 남한에서 공연한 것은 16년 만의 일. 특히 삼지연관현악단은 체제 선전용 노래를 배제하고 남측에 친숙한 가요를 대거 선곡하는 등 이전과 달라진 모습으로 평화에 대한 북측의 의지를 드러냈다.

얼어붙었던 남북관계에 불어온 훈풍은 삼지연관현악단에 이어 4월 우리 예술단의 평양 공연 ‘봄이 온다’로 이어갔다. 가수 윤상이 음악감독을 맡고 조용필·이선희·최진희 등 북측에 친숙한 가수들과 백지영·알리·레드벨벳 등 젊은 가수들로 꾸린 우리 예술단은 4박 5일간 평양에서 머물며 북한 예술단과 한민족의 평화를 함께 노래했다. 또한 4월 남북정상회담에 깜짝 등장한 작곡가 겸 음악감독 정재일, 9월 평양정상회담을 찾은 가수 지코·작곡가 김형석 등도 문화예술을 통한 남북평화에 큰 보탬이 됐다.

◇적폐청산 발목 잡은 블랙리스트 문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는 문재인 정부가 국정과제 1호로 내세웠던 ‘적폐청산’의 일환이었다. 지난해 7월 민관 합동기구로 출범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이하 진상조사위)는 지난 6월 말 11개월간의 조사 활동을 마치고 공식 업무를 종료했다. 진상조사위는 지난 정권의 블랙리스트가 이명박 정부에서부터 이어진 것임을 밝혀냈다. 조사 결과 밝혀낸 피해자만 무려 9000여 명. 이들은 정부의 사찰을 통해 지원 배제 등의 불이익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진상조사는 끝났지만 잡음은 이어졌다. 블랙리스트에 관여한 문체부 및 산하기관 직원들에 대한 책임규명을 놓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진상조사위가 당초 발표했던 책임규명 대상자는 131명. 그러나 문체부는 법리 검토를 거친 끝에 7명에 대한 수사의뢰, 12명에 대한 주의 조치라는 사실상 ‘징계 0명’의 책임규명 이행 계획을 발표해 예술계의 반발을 샀다. 뿔난 예술인들은 문체부를 넘어 국회와 정부도 함께 책임져야 할 문제라며 국회에서 청와대까지 행진을 하는 등 2년 만에 다시 거리에 나서기도 했다.

문화민주주의실천연대가 지난 11월 국회 앞에서 ‘2018 문화예술인 대행진-블랙리스트 블랙라스트’ 기자회견을 열고 블랙리스트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2억 괴물
  • 아빠 최고!
  • 이엘 '파격 시스루 패션'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