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협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에서 “점진적으로 노선의 확대와 자유로운 출입국 허용에 따라 실적 턴어라운드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하며 이같이 밝혔다.
하나투어는 2분기 영업수익이 전년동기대비 143.7% 늘어난 216억 원, 영업적자는 337억 원를 기록했다. 영업수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하였지만,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유안타증권은 3분기 실적도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3월 이후 하나투어의 주가는 약 40% 하락했다. 이 연구원은 “여행 업황 회복과 동사의 구조조정 효과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라는 동사의 투자포인트 그 자체가 훼손되었다기 보다는 시장의 기대보다 더딘 회복에 따른 것”이라며 “높아진 물가 등 매크로 환경도 영향이 여행 수요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정상화되지 못한 항공 노선과 출입국 관련 여러 조건들이 실제 여행 회복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된 원인”이라 판단했다.
그는 “실제 여행 성수기로 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7월 동사의 패키지 송출객수는 2만4000명으로 2019년 대비 10% 수준에 불과했다”며 “동사의 실적 턴어라운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나 더딘 Q의 회복이 P의 강세로 일정부분 상쇄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