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가 만났습니다]권용원 금투협 회장 "10년뒤 4300조 굴릴 운용사 키워야"

2030년 자산규모 4346조..전년대비 3배 급증
블랙록자산운용 자기자본 35조 달해..국내운용사 242곳 합산 6.1조 불과
혁신금융 21.4조.."증권사 IB 지금은 더 갈 때"
R공포·박스피..실물경제와 연계 모험자본 투자 늘려야
  • 등록 2019-04-03 오전 6:30:00

    수정 2019-04-03 오전 7:26:43

권용원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지난달 26일 가진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자산운용사들도 몸집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데일리 김재은 김성훈 기자] “왜 자산운용사는 작아도 된다고 생각하나요? 지난해 1522조원인 국내 자산운용 규모는 2030년에 4346조원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몇 년전 증권사들이 자본확충에 적극 나선 것처럼 이젠 자산운용사도 그에 걸맞는 몸집을 갖춰나갈 때라고 봅니다.”

권용원 금융투자협회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빌딩에서 가진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자기자본 확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유상증자, 기업공개(IPO), 대주주 배당 축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본을 늘려 해외투자 기회를 잡고, 인수합병(M&A) 등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생각이다. 실제 글로벌 1위 블랙록자산운용의 자기자본은 35조1000억원이고, 수탁고는 6600조원에 달한다. 국내 1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자기자본은 1조4900억원 수준이다.

최근 신용평가사를 중심으로 경고등이 켜지고 있는 증권사의 IB부문 확대에 대해서도 공격적으로 더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일정부분 리스크 관리는 필요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운용사, IPO·유상증자 등 대형화 추진

국내 자산운용사 중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을 제외하면 상위 4곳의 평균 자기자본은 2000억원에도 못 미친다. 현재 수탁고가 231조원을 웃도는 삼성자산운용의 자기자본은 4200억원이 채 안된다. 지난해 말 기준 242개 자산운용사의 평균 자기자본은 243억원(총 6조1433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수위권 자산운용사들의 수탁고는 80~100% 가까이 증가했다.

권 회장은 이처럼 고속성장을 지속 중인 자산운용사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시스템 투자, 대체투자 등 신성장분야 진출, 해외 진출 등에 나서려면 자본확충을 통한 대형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100조원 규모인 국내 외부위탁운용관리(OCIO)시장에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가 도입될 경우 1000조원 시장으로 10배나 커질 전망이다.

지금은 투자은행(IB)의 일부로 치부되는 자산운용사들이 경쟁력을 가질 때 국민 재산 증식에도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권 회장은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혁신금융과 국민재산 증식을 자본시장의 가장 핵심적 역할로 꼽았다.

“해외투자가 늘어나고, 주식·채권 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부동산 등 투자 형태가 다각화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운용사들은 자기자본이 적어도 너무 적다. 미래를 위한 투자를 위해 지주사에 대한 배당을 덜하거나 유상증자나 기업공개(IPO)를 하는 활동들이 늘어날 것으로 본다.”

그동안 배당을 꾸준히 하던 KB자산운용이 올해 배당하지 않고, 100% 내부 유보로 쌓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공모펀드 등 운용사의 투자수익률 제고는 좀 더 노력할 부분으로 지적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개선과정을 거치고 있지만, 완전경쟁 시장에서 수익률없이 크는 건 한계가 있다는 판단이다.

펀드 수수료에 대해선 “이미 글로벌 선진국 수준과 비슷하거나 그 이하로 낮다”면서도 “다만 너무 낮은 수수료 수준은 투자관련 제반요소 부실화 등 투자수익률을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기준 국내 전체펀드의 운용보수는 0.252% 수준으로 미국(0.3%)보다 낮다. 주식형 펀드의 판매보수는 0.431%로 일본(0.48%)과 비슷하고, 영국(0.95~1.6%)에 비해선 절반이하 수준이다.

혁신금융 21.4조…증권사 IB 더 나서야

권 회장은 자산운용사 대형화와 함께 국내 금융투자회사의 보다 적극적인 IB 업무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자본시장의 양대 축인 혁신금융 제고와 국민재산 증식을 위해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금투업계가 대기업집단을 제외하고 기업에 공급한 직접금융 자금 규모는 21조4000억원에 달했다. 불과 1년전인 14조5000억원에 비하면 47%가량 급증한 수치다.

이중 회사채가 9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자기자본투자(PI) 5조7000억원,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 4조2000억원, 펀드 1조6000억원 순이었다.

권 회장은 “증권사들의 IB가 실물 부동산에 많이 치우친 측면이 있어 포트폴리오의 쏠림 등은 관리하고 주의해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더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국내 금융투자회사의 해외점포수는 15개국 114개에 달한다. 이중 85개가 금융투자사 현지법인으로 은행(52개), 보험(32개) 등을 압도한다. 금융투자회사의 해외 대체투자 펀드 규모는 2015년말 21조7000억원에서 지난해말 68조5000억원으로 3배이상 늘어난 상태다.

그는 특히 “IB나 자산운용업이 결국 상품을 만드는 것인데, 단순히 IB 비중을 늘린다기보다 국민 재산 증대와 맞물려 환헷지 후 6%대 중위험 중수익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국내 증권사들의 IB부문 이익은 2009년 6.1%(6062억원)에서 2018년 9월 말 현재 13.9%(1조2070억원)으로 2배 이상 늘어났지만 아직 10%대에 그친 탓이다.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투자은행의 IB부문 비중은 40%를 웃돈다.

다만 감독당국이나 신용평가업계에서 증권사 IB 및 부동산 투자 확대 관련 전수조사나 경고음 제기 등은 일정부분 리스크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고 봤다.

R공포·박스피…“신산업 경쟁력 강화·제도개선 병행돼야”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데 대해 “2008년 금융위기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며 “코스피가 박스권인데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뭔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10년 전 금융위기 땐 자본시장 노출이 적었고, 실물경제가 좋았던 만큼 상당히 잘 극복했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지금은 과거에 비해 노출도가 커졌고, 기업실적 둔화 등이 가시화하고 있어 신산업 등 실물경제 경쟁력 강화와 함께 제도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게 권 회장의 시각이다.

그는 “조선,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엔터, 게임 등 다양한 산업에서 위기다, 바닥이다 얘기가 나오지만 우리나라처럼 산업의 스펙트럼이 다양한 나라는 드물다”며 “삼성전자나 현대차는 세계 기업으로 커나가며 투자와 M&A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신산업에선 유니콘, 데카콘 기업 등 보다 많은 자금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곧 상장되는 미국 공유차량 업체 우버의 시가총액이 130조원에 달하는 것처럼 미래 대세업종은 △성장주기가 단축되고 △성장형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점 △적절한 규제개선이 뒤따르며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4가지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다 보니 시장자금을 보강하는 수단으로 대형증권사 뿐 아니라 중소형사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는 것.

그는 “시중의 단기부동자금 1100조원에서 1%만 자본시장에 유입된다 해도 11조원이고 5%면 55조원에 달한다”며 “그만큼 (금융투자회사들의) 펀더멘털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권 회장은 모험자금 공급을 실물경제와 연결시키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최근 자본시장 활성화 대책 등 정부 차원의 제도개선 노력이 다각적으로 이뤄지며 업계는 상당히 고무된 분위기다. 이 가운데 기업과 벤처캐피탈의 협력 강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오늘도 그는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박결, 손 무슨 일?
  • 승자는 누구?
  • 사실은 인형?
  • 한라장사의 포효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