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 국면 저무니…항공·식음료·철강주 ‘쑥’
2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대한항공(003490)은 2만23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한 달 전(1만9350원) 대비 15.5% 상승한 수준이다. 아시아나항공(020560)도 1만1000원으로 장을 마감해 한 달 전(9640원)보다 14.1% 올랐다. 같은 기간 제주항공(089590)은 9730원에서 1만1630원으로 19.5% 상승했다. 진에어(272450)도 1만310원에서 1만2380원으로 20.1% 뛰었다.
여행주도 최근 한 달간 주가가 상승곡선을 그렸다. 하나투어(039130)는 이날 5만2300원을 기록해 전월(4만1400원) 대비 26.3% 올랐다. 모두투어(080160)도 1만5480원에서 1만6620원으로 7.4% 상승했다.
|
철강 업계에선 POSCO홀딩스(005490)가 한 달간 4.2% 상승했다. 현대제철(004020)은 8.1% 올랐으며, 동국제강(460860)은 17.7% 급등했다.
최근 이들 종목이 공통적으로 주가가 우상향한 것은 환율 하락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항공사들은 항공기 대여와 항공유를 달러로 구매하는데 환율이 하락할 경우 비용이 감소해 실적이 개선에 기여한다. 여행주는 원화 강세 시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난다. 식음료와 철강업체들은 해외에서 원자재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원화 강세로 제조원가 부담이 완화하는 수혜를 누릴 수 있다.
환율·유가 동반 하락 국면…‘비용 절감’ 내수주 매력적
지난달 1300원 중반대에서 등락했던 원·달러 환율은 최근 1200원대에 안착한 모습이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1291.6원을 기록해 전월 1352.4원 대비 60.8원(4.5%) 하락했다.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상승률이 3.2%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3.3%)를 밑돌며 긴축 종료 기대감이 커지자 달러 약세가 이어지면서다. 금융정보업체 리피니티브는 미국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는 내년 봄부터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오는 24일 미국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 지표 공개 시 환율 하락 수혜주가 상승 탄력을 다시 한 번 받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미국 경제 지표가 둔화할 경우 달러 약세가 심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11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결과는 내년 연준이 금리 인하를 결정하는 충족 요건인 달러 약세 압력으로 받아들여지며 미국채 10년물 금리 하락과 달러 하락 강도를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