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3일 국회 문턱을 넘은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 수요 대비 초과 생산량이 3~5%이거나 쌀값이 전년 대비 5~8% 하락할 때 정부가 초과 생산량을 의무 매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한 총리는 “정부는 차마 실패가 예정된 길로 갈 수 없다”며 법안의 문제점에 대해 상세히 짚었다. △시장의 수급조절 기능 마비 △미래 농업 투자 재원 소진 △식량 안보 약화 등이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이 법안을 다시 의결하려면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169석인 민주당의 의석수를 감안해도 요건을 충족하기는 부족해 개정안을 다시 통과시키는 건 힘들 전망이다.
주요 일정
△3일(월)
09:30 간부회의(장·차관, 세종)
△4일(화)
10:00 국무회의(장관, 서울)
14:00 국회 본회의(장관, 서울)
△5일(수)
10:30 식목일 행사(장관, 세종)
△6일(목)
09:00 차관회의(차관, 세종)
△7일(금)
보도계획
△2일(일)
11:00 2023년 청년 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대상자 최종 발표
11:00 영농 대비, 가뭄대책비 60억원 긴급 지원
11:00 농식품부+한돈자조금 협업 ‘농촌한돈캠프’ 개최
11:00 농관원, 전략작물직불제 동계작물 이행점검 실시
11:00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제도 설명회 개최
11:00 국립종자원, 2023년 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11:00 농촌진흥청, 코피아(KOPIA) 연구원 21명 해외 파견
△3일(월)
11:00 개인 간 불법 종자 전자상거래 유통조사 추진
△4일(화)
13:10 양곡관리법 관련 입장발표
△5일(수)
11:00 ‘천원의 아침밥’ 사업 추가 모집 공고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제78회 식목행사 개최
△6일(목)
11:00 국산 배, 에콰도르 수출협상 타결
15:00 2023~202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대책 및 농업직불제 확대·개편, 쌀 수급 안정방안 발표
△7일(금)
06:00 ‘농촌여행 청년기획가’ 출범식 개최
△8일(토)
14:00 FAO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