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앞으로 여러 가지 정치적 선택과 내년 총선을 대비한 공천 과정에서도 동일한 기준”이라며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원칙과 기준을 갖고 민주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과정 관리에 있어서 투명하고 공정하고 유능하게 관리하며 그 결과는 제가 제일 먼저 무한 책임을 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국회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에 따른 당내 이탈표 징계를 두고 “이분들을 징계할 수 있는 권한을 원내대표가 갖고 있지는 않다”면서 “일부 당원들이 당내 윤리심판원에 제소해 거기서 잘 살펴보고, 이게 징계를 받을 사안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윤리심판원이) 독립기구이기 때문에 거기서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과정에서 당 지도부가 어떤 결정을 할 때 인위적으로 개입해서 과정을 왜곡하지 않는다면, 과정에 대한 공정성만 담보된다면 충분히 원칙으로 하는 데 큰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며 “당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윤리 기준에 따라서 공정하게 심판하고 결정하고 심의해서 결론을 내면 모두 따르면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전당대회를 통해서 선출된 당대표이기 때문에 개별 의원들이 (이 대표의) 당 대표직을 내려놓으라 말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며 “민주적 다양성을 존중한다 하더라도 그 주장이 당의 심각한 어떤 정치적 부담을 주는 것은 자제해야 되고,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당의 기강을 잡아야 된다”고 역설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해 “내일(4일) 열리는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자연스럽게 논의가 될 것”이라면서도 “전반적인 기류는 (임명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기류가 높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면서 “대법원장의 공백에 따른 혼란보다, 부적절한 인물이 대법원장이 취임함으로 인한 사법부의 공황 상태가 더 걱정”이라며 “부적절한 임무를 어쩔 수 없이 해준다는 것은 인사청문회 제도 취지에도 맞지 않고 사법부의 미래에도 맞지 않다. 원칙과 기준에 따라서 부적절한 인물이면 부결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추진하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 여부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기조를 바꾸라는 의미”라며 “일개 법무부 장관 한동훈을 어떻게 하라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대통령이 협치와 대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지금처럼 독선과 대결로 갈 것인지를 선택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0월은 국회 국정감사로 집중해야 되기 때문에 다른 이슈를 흐트러뜨리고 싶은 생각은 없다”며 “일단 국감 이후에 판단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