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탕탕탕…탕탕탕탕탕”
군대를 제대한지 10년 만에 처음으로 실탄이 장전된 총의 방아쇠를 당겨봤다. 군 시절에도 그저 `M16` 소총만 몇 차례 쏴봤을 뿐, 기관총을 직접 손에 잡은 건 처음이었다. 먼저 관계자의 시범 사격이 있었다. `K16` 기관총은 땅이 울릴 정도로 굉음을 내며 수십 발의 총알을 쏟아냈다. 본 기자의 차례가 됐고, 자못 긴장된 상태에서 체험 사격을 시작했다.
지난달 30일 부산 기장군 철마면에 위치한 `SNT모티브` 부산공장을 찾았다. 국내 기술로 소총·권총·저격총 등을 만드는 이곳에서는 K1A, K2, K5 등 군인이라면 알 수 있는 총들을 만든다. 1973년 설립된 국방부 조병창에서 시작해 이후 민영화(대우정밀공업)를 거쳐 현재의 SNT모티브가 됐다.
1973년 지은 공장 그대로…6000평 규모
SNT모티브는 대한민국 국군 주력화기인 △K2 △K2C1 소총을 비롯해 △K1A 기관단총 △K7소음기관단총 △K6 △K12 등 다양한 라인업의 기관총을 갖추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기존의 낡은 `M60` 기관총을 대체하는 국산 신형 기관총인 `K16` 개발, 군 전력화를 시작했다. 이외에도 `K-14` 저격용 소총 등도 개발해 군에 납품 중이다.
공장 내에는 노리쇠 뭉치, 총열 등 총기에 들어가는 부품들이 다양하게 전시돼 있었다. 구식 설비와 신식 설비가 공존하는 가운데, 각 부품이 완성돼 최종 검사를 마치면 곧바로 조립장으로 넘어간다. 완성 총기는 근무자들이 직접 수동으로 조립했다.
마지막으로, 불량이 없는지 직접 사격을 해보고 이상이 없을 시엔 분리해서 세척 후 다시 조립해 완성한다. 완성된 총기에는 고유의 일련번호가 부여된다.
|
생산공장에서 약 1㎞ 정도 이동해 야외 사격장에 도착했다. 현장에는 특수작전용 총기인 STC16 자동소총을 비롯해 다양한 총기가 있었는데,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K16 기관총이었다.
K16을 골라 손잡이를 잡아봤다. 무게 10.4㎏에 7.62㎜ 구경의 탄환을 사용하는 K16의 `그립`(grip)감은 묵직했다. 보호장구를 착용한 뒤 통제관의 지시에 따라 개머리판에 왼손을 올리고 그 위에 턱을 괴었다. 연사(連射)로 총알이 나가는 만큼 반동이 강하기에 최대한 총기를 고정시켜야 한다.
방아쇠를 살짝 당기자 3발의 총알이 순식간에 날아가 버렸다. 이번엔 조금 더 길게 방아쇠를 당겨보니 7~8발의 총알이 발사됐다. 나머지 총알을 모두 소진할 때까지 방아쇠를 당겼고, 주어진 50발의 총알은 몇 초도 안 돼 모두 발사됐다. K16은 1분당 최대 950발까지 쏠 수 있다고 한다. 사격을 모두 마치자 매캐한 화약 냄새가 코를 찔렀고, 그제야 실탄을 발사했다는 실감이 났다. 반동이 강해서인지 자세도 처음에 비해 흐트러져 있었다.
K16에는 기본형, 공축형, 승무원형이 있는데 이날 쏜 것은 기본형이었다. SNT모티브 관계자는 “기본형은 근접 전투 시 소대 일반지원 또는 보병분대에 배속해 적 밀집부대 등 지역표적 제압용으로 운용된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이 사용 중인 M60과 K3(5.56㎜)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K16은 지난해 12월부터 야전에 실전 배치되고 있다. M60보다 신뢰성이 4배 향상됐고, K3 기관총보다는 사거리 30%·파괴력 2배 정도가 늘었다. 방위사업청은 2024년까지 육·해·공군과 해병대 등 각군 보병부대와 전차·장갑차·함정·헬기용 기관총을 K16으로 바꾸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