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MB 정권 당시 언론장악을 진두지휘했던 인사가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언급되고 있다. 백골단으로 국민을 짓밟고 떙전 뉴스가 판을 치던 5공화국 시절로 퇴행하자는 것이냐”며 “입만 열면 자유를 찾는 정권이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데에 혈안”이라고 꼬집었다.
박광온 원내대표도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국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이 전국에서 벌이고 있는 핵물질 장류 저지 서명운동에 대한 열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국민의힘은 여전히 국민의 분노와 불안에 진정성 있게 응답하지 않고 있다. 국회 검증특위 구성과 청문회 실시, 방류저지 촉구 결의안 등에 대해 신속하게 응답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어 “언론과 노동 대한 반민주적 탄압 등 국정 난맥의 조짐이 분명해지고 있다. 오랜시간 국민적 합의를 거치면서 형성된 언론자유와 합법적 노동운동의 보장의 가치를 가볍게 파괴하고 있다”며 “국민들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민주당은 국민의 삶을 지키는 정책과 입법에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청래 최고위원도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 등 헌법에 명시된 내용을 언급하면서 “헌법 수호는 대통령의 책무다. 윤석열 정부는 헌법을 준수하기 바란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최종적으로 탄핵이 인용된 이유는 박 전 대통령이 헌법 수호 의지가 없다는 것이었다. 윤 대통령은 참고하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수많은 사람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동관 전 수석을 방통위원장에 지명할 경우 언론 자유의 종말을 공식화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모든 방법을 총동원해 언론 탄압을 저지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