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우의 FX칼럼)멀미나는 장세에서 할 일은?

  • 등록 2002-02-05 오후 2:09:17

    수정 2002-02-05 오후 2:09:17

[edaily] 환율의 출렁거림이 다소 과합니다. 옛날 할머니들이 쓰시던 말로 "아주 짓이 났다."고나 할까요? 11월 27일의 1261.90원에서부터 12월 28일의 1334원까지는 1개월에 걸쳐 72원이나 환율이 상승하는 추세가 있는 장이었지만, 그 이후 1300.20원(1월 7일)까지의 급락세 이후 다시 1335.30원(1월 23일)까지의 급등, 다시 1월 말 1305.10원까지 30원이 빠지다가 2 Big을 하루 사이에 왔다갔다 하는 달러/엔 따라 Gap-up과 Gap-down을 거듭하는 장세... 그야말로 시장참여자들이 정신 차리기 힘든 나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하듯이 환율의 등락을 예견하여 돈을 벌어 보겠다는 세력들로서야 이런 날들이 계속되었으면 싶겠지만 환율의 4~5% 변동만으로도 그 동안의 생산/ 판매를 위한 노고가 수포로 돌아가게 되어 있는 기업체들의 입장에서는 끔찍한 노릇입니다. 어차피 그 누구도 내일을 장담할 수 없는 장세 속에서 환율의 움직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에 서있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헤지(Hedge)는 해야 한다 지난 1월 22일로 기억된다. 전일 종가 1320.40원에 비해 12원 정도가 치솟았던 날이었는데 거래업체로부터 된통 혼(?)이 났다. "아니, 이렇게 환율이 10원 넘게 오르고 하는 날이면 아침에 미리 귀띔이라도 해 주었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우리같은 기업하는 사람들이야 하루 종일 환율만 쳐다보고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를 수 밖에 없는데 야속합니다.".... 그 당시는 개장 초 높게 시작하는 환율에 달러를 팔아 놓으면 장 마감 무렵에 짭짤하게 챙길 수 있었던 이른바 "전강후약 (前强後弱)" 장세가 며칠째 이어 오던 때라 그 날도 대부분의 인터뱅크 딜러들이 장 중 숏포지션을 일으켜 놓고 달러/엔의 하락이나 외환시장 내에서의 물량공급을 기대하며 마냥 기다리고 있던 차였다. 그런데 132엔대 중반에서 횡보하던 달러/엔 환율이 갑자기 134.50까지 치솟으며 135엔대 돌파를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여기저기서 숏커버링 매수세가 쇄도했고, 은행권 딜러들의 예상과 달리 시장에 공급되는 물량은 없자 오퍼공백사태가 벌어지며 환율은 순식간에 1330원대로 진입해 버렸다. 장 마감 후에 들리는 후문에 의하면 그 날 시장에는 온통 시체만 즐비하였다고 한다. 필자는 그러한 업체의 볼멘 소리에 다음과 같이 대답이라 할 수도 없는 대답을 하였다. "오늘은 나름대로 전망과 뷰를 갖고 딜을 하는 사람이었다면 다 손실을 보는 날이었습니다. 달러/엔의 상승세가 주춤거리는 듯 했고 국내외 증시가 좋아서 웬만하면 환율이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짐작하기 쉬웠다 보니 시장 포지션이 과도하게 숏(달러과다매도)으로 몰려 있었던 듯 합니다. 환율이 10원 이상 폭등하거나 폭락하는 날은 웃는 사람보다 우는 사람이 더 많은 날로 생각하시면 될 겁니다."... 그리고 "그렇다면 지금 이 대목에서라도 달러를 사 두어야 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하는 질문에는 "글쎄요, 이제 당장 위로는 많이 가야 10원 정도의 룸이 있어 보이는데 급한 결제수요가 아닌데도 미리 사 두는 것은 또 한 번 마지막 매수세가 되어 단가 좋은 롱들에게 밥이나 되는 것은 아닌지 조금 우려됩니다. 저 같으면 남들 흥분해서 살 때 팔아 두고 시장이 흥분하여 아래쪽을 노릴 때 사 보는 거래패턴을 취하고 싶습니다."... 필자가 요즘 안타깝게 여기는 것 중의 하나는 외환거래가 제법 발생하는 중소업체라 하더라도 그들이 보유한 換리스크 관리(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체계는 극히 취약하다는 점이다. 얼마간의 비용이 아까워 실시간(real time) 환율보다 5~15분 지연된 "옛날 환율"을(외환시장에서 10분이면 얼마든지 역사가 바뀔 수 있다) 무료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보면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으로는 승자가 될 수 없다. 은행을 통한 선물환 거래(Forward transaction)나 선물회사를 이용한 선물거래(Futures trading)--물량이 그다지 크지 않을 경우에 적합--를 통한 적정 레벨에서의 헤지를 권유하면 "에이, 헤지라고 해 두었다가 안 한만 못한 경우가 나중에 발생하면 우린 짤려요."하는 대답이 돌아 온다. 차트 공부를 해서 어느 정도 레벨이면 매수할 만한 시점인지 아니면 보유달러를 처분할 시점인지 나름대로 판단하시라고 권해보면 "그 차트란 게 어디 늘 맞는다는 보장이 있나요? 무슨 소린지도 잘 모르겠고, 설령 차트 다룬 책에서 본대로 해 봐도 잘 안됩디다."라는 대답을 들을 때가 많다. 필자의 후배 한 명은 이제 막 일어나는 개인기업을 운영하면서도 철저한 환리스크 헤지를 병행해 가고 있어 그 예를 들어볼까 한다. 수입 L/C를 개설하고 3개월 후에 결제대금 20만불이 필요한 경우에 그는 L/C 개설시점의 환율이 회사의 적정마진을 보장한다면 요즘처럼 언제 달러/엔 환율이 튀어 오를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형국에서는 지체없이 원/달러 선물 4계약을 매수 함으로써 20만불을 사기 위해 필요한 원화를 확정시켜 둔다. 20만불로 은행에 가서 3개월 선물환 거래를 하자고 요구하기에도 여의치 않은데다 그런 거래에서 수수료(스왑마진+은행 수수료) 부분에서 얼마 정도 바가지(?)를 쓰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기 때문이란다. 물론 3개월 후에 실제 환율이 더 떨어지는 경우라면 이런 헤지거래는 하지 않은 것보다 못하다. 그러나 그는 "헤지는 헤지에서 끝나야 한다."는 개념이 정립되어 있으며, 정말 눈에 보일 정도의 환율 하락반전의 기미가 포착되면 같은 개수의 원/달러 선물 매도포지션을 취하는 기민한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이 두 가지 경우 선물거래에 필요한 총 증거금은 2천만원에 해당한다. 한 가지 더 첨언하고 싶은 것은 달러선물 거래의 증거금을 현재의 1계약당 250만원에서 조금 낮추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IMF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상장된 달러선물이어서 그런지 현행 원/달러 선물거래에 소요되는 증거금은 국채선물에 비해 비싼 편이며, 그 결과 레버리지(leverage) 효과가 낮고 헤지거래에 드는 비용도 높아지다 보니 달러선물 시장은 환율변동폭의 확대추세 속에서도 침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슨 얘기를 하고싶어 이런 장황설을 늘어 놓는가 하면,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의 위험을 안고 있는 기업체라면 어떤 방식에 의한 것이든 환리스크 헤지 방안을 항상 강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넋 놓고 있다가 환율이 며칠 사이에 30~50원을 치솟고 신문마다 엔低가 어떠니 원화환율이 불안하다느니 하는 기사로 도배되는 시점에 가서야 뒤늦게 달러매수에 뛰어든다거나 며칠 연속 환율이 급락하여 마치 바닥이 없을 것처럼 보이는 시점에 보유달러를 시장에다 던진다면 항상 "내가 사고 나니 환율이 빠지고 내가 팔면 환율은 오르더라."는 탄식만 나올 뿐이다. 엔화 환율이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일본경제의 악화를 반영하여 여기저기에서 예상하듯 140엔까지는 갈 것 같다. 지금 1310원대에서의 환율에서 결제한다면 우리 회사의 수지를 맞출 수가 있다... 이런 판단이 선다면 매수 헤지를 하는 것이 옳다. 다들 달러/엔이 140엔까지 오른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엔 135엔 이상은 힘들어 보인다. 우리 원화환율도 달러/엔 따라 작년 하반기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는데 1320원이나 1330원대의 환율에서 달러를 팔 수만 있다면 수지가 맞아 든다......이런 상황이라면 매도 헤지를 해 두는 것이 옳다. 두 경우 모두 향후 환율방향이 예측과 맞고 안 맞고는 헤져(Hedger)들에게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헤지(hedge)와 투기(speculation)는 엄연히 다르다. 헤지를 하였다가 오히려 결과가 나빠진 상황만 문제 삼는 기업풍토가 불식되지 않는다면 우리 나라에서 환리스크 관리라는 테마는 영원히 풀 수 없는 숙제가 된다. 무릎에서 사고 어깨에서 파는 정도의 기분으로 헤지를 해 나가야 하며, 1년 동안 영업 잘 해 놓고도 환율 때문에 적자 났다는 푸념을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헤지는 해야 한다. 실무자는 하고 싶어도 "나중에 깨질까 봐"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높은 분"들의 헤지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1310원대에 갇혀 버린 환율 1334원에서 1300원 근처까지를 두 차례에 걸쳐 왕복달리기를 하고 난 뒤라 지금 외환시장은 다소 피로한 증세를 보이고 있다. 출렁거리는 장이 몇 주 동안 이어졌으면 벌어 둔 것 지켜 나가자는 세력들과 심한 타격을 입은 내공이 회복될 때까지 기다리자는 세력들로 크게 나뉘어 지는 데에다 그렇게 해서 엷어진 레인지 장세에서 강점을 보이는 몇몇 군데가 장 중 수급이나 뉴스에 따라 다소 과장된 몸짓을 보이며 하루는 오르고 하루는 내리는 방향없는 장세가 펼쳐지기 마련이다. 2월 들어 국내외 시장은 극심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관심의 대상인 달러/엔 환율은 135엔대 안착이 두 차례의 시도 끝에 무산된 채 조정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엔화의 급격한 절하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나온 것으로 보이는 일본 관료들의 기존 입장과는 다소 상반된 듯한 코멘트, 그리고 연일 하락세를 이어 가며 위태위태한 모습을 보이는 뉴욕증시의 동향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Weekly candle chart를 살펴보면 이미 지난 주에 큼직한 먹구름 덮힘형의 추세 반전신호가 포착되어 130엔이나 심지어 129엔대까지의 추가조정이 얼마든지 가능해 보인다. 급격한 엔화절하가 야기할 수 있는 해외투자자금들의 유출이 일본으로서는 두려울 수가 있고 시기적으로도 3월 결산을 앞둔 일본기업들의 본국송금용 엔화수요가 부각되는 시점이라 당장 달러/엔 환율이 135엔대를 상향돌파하기보다는 어느 정도의 조정국면을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루가 멀다 하고 보도되는 일본 현지의 심각한 경제적 난맥상이 달러/엔 환율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금보다는 훨씬 높은 레벨인 140엔대 이상이라는 점에 또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시점이라 함부로 달러/엔 환율이 많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하기에도 겁이 난다. 뉴욕증시 또한 혼조세다. 여러 가지 경제지표들이 경기침체기의 바닥을 이미 지났음을 시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엔론社의 파산 이후 부각된 기업들의 회계분식에 대한 경계감이 이미 단기급등 이후 추가상승의 모멘텀이 부족해 눈치만 살피던 뉴욕증시를 나락에 빠져 들게끔 하고있다. 나스닥 지수의 경우 이제 50포인트 정도 밖에 남지 않았지만 지수 1800의 지지여부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레벨이 지지된다면 뉴욕 투자자들도 향후 장세를 그리 비관적으로만 보고 있다고 할 수 없어 국내 증시에도 힘을 실어 줄 수 있겠지만, 허무하게 밀리면서 투매현상까지 빚어진다면 국내 증시 또한 이제 막 시작된 조정국면이 깊이 그리고 오래 갈 수도 있겠다. 수출의 급감으로 무역수지가 이미 새해 들어 대폭 감소한 상황에서 외국인들의 투자금액 유출입 여부가 올 한 해 달러/원 환율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엔화환율 따라 움직이는 "분위기에 좌우되는 환율"은 결국 엔화 따라 언제라도 원위치를 할 수 있는 반면, 실수급에 따라 오르거나 내린 환율은 그에 상응하는 물량이 맞받아쳐 주지 않으면 적정환율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앞으로는 엔화만큼이나 국내 증시에 유입되거나 빠져나가는 외국인 투자자금 동향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제법 긴 설 연휴를 앞두고 이번 주 환율은 131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정도로 마무리 될 가능성이 크다. 10원 근처에서는 사고 싶고 20원 위에서는 팔고 싶은 것이 요즘 대부분 시장참여자들의 심리인데, 혹 달러/엔이 출렁거리면 1310원 아래나 1320원 위로 훌쩍 튈 가능성은 상존한다. 사흘 정도의 연휴 기간 동안 국제금융시장에서 무슨 일이 어떻게 벌어질 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럴 때가 헤지 물량이 있으면 헤지를 해 둬야 하는 시점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한라장사의 포효
  • 사실은 인형?
  • 사람? 다가가니
  • "폐 끼쳐 죄송"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