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칼럼]6.25 전사자 신원 확인, 유가족 참여 절실

윤지원 상명대 국가안보학과 교수
  • 등록 2020-08-12 오전 10:14:28

    수정 2020-08-12 오전 10:14:28

올해는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호국영웅들을 기억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온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6.25전쟁 영웅들 147구의 유해 봉환식이 서울공항에서 거행됐다. 147구의 유해는 북한지역에서 발굴된 것이다. 하와이 미국 국방부 산하 전쟁 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으로 이송 보관돼 한·미 간 공동감식을 거쳐 국군전사자로 판명된 분들이다. 70년 만에 조국의 품으로 돌아온 것이다.

이들 유해 중 유가족 DNA 비교분석 등을 통해 7구의 신원이 확인됐다. 국방부는 유가족들을 만나 7분의 애틋한 사연을 방송과 신문을 통해 알리고 있다. 지난 7월 24일에는 필자가 진행 중인 국방TV ‘국방포커스’ 프로그램을 통해 유가족들의 70년간 못 다한 감동적인 이야기와 유전자 시료 채취의 중요성 및 방법 등을 소개했다.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4월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육군본부에서 처음 시작됐다. 연 평균 300구 내외의 많은 국군전사자 유해와 인식표나 도장 등 유해의 신원을 확인 할 수 있는 유품들도 함께 발굴되면서 2007년 1월 국방부로 사업 주체가 전환됐다. 같은 해 시행기관으로 유해발굴감식단이 창설됐다.

미국과도 2008년 8월 유해발굴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2012년 12구, 2016년 15구, 2018년 65구의 한미 간 유해 송환이 이뤄졌다. 2018년 9.19 남북공동 군사합의에 따라 오랜 염원이었던 남북공동유해발굴사업도 전개했다. 다만 북한의 소극적 태도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남측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에서만 유해발굴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유해들 중 유가족 품으로 돌아간 참전 당시 23세, 1남 1녀의 아버지였던 남궁선 이등중사의 사연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약 2m 깊이에서 발견된 두개골 파편과 특이한 유품으로 M1 방탄모와 변색된 만년필 등이 출토됐다. 현장에서 전사자의 이름을 알 수 없었지만 DNA 감식을 통해 남궁선 이등중사로 밝혀졌다.

지난 20여 년간 유해발굴사업은 적지 않은 성과를 냈다. 국방부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최다 유해가 발굴됐으며 전년 대비 유가족 유전자 시료도 2배 이상을 채취했다. 올해는 1만2500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를 확보하고 2022년까지 총 11만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 확보와 오는 10월 신원확인센터 준공을 통해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도 부족한 수준이다. 6.25전쟁에서 전사한 국군은 13만7899명으로 이중 1만 2000여 구의 전사자 유해만 발굴됐다. 확보된 유가족 유전자 시료는 약 5만여 개 정도로 이를 통해 현재까지 확인된 국군 전사자 신원은 149명에 불과하다.

국방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그동안 대국민 홍보를 통해 유해발굴사업에 대한 인식은 높아져 90%에 달했지만, 아쉽게도 유전자 시료채취나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포상금 제도 등 세부내용에 대한 인지도는 30% 이하로 현저히 낮았다. 국방부는 유가족들의 DNA 시료채취의 중요성에 대한 캠페인과 홍보활동에 적극적이지만, 현재 6·25전사자의 직계 가족들은 대부분이 고령이고 점차 세대가 바뀌고 있어 유가족 DNA 시료를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

우리 주변에는 아직도 본인이 6.25 전사자 유가족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고 한다. 게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유전자 시료채취를 위해 보건소나 진료소 방문을 꺼리는 유가족들이 많은 상황이다. 국방부 외에 지방자치단체와 언론, 기업 등 여러 기관·단체들이 홍보에 동참해서 유가족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6.25전쟁 전사자들 중에는 젊은 나이에 참전해서 직계가족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전자 시료채취 대상은 전사자의 직계가족은 물론 8촌까지도 가능하다. 더 많은 호국영웅들을 빠른 시일 내에 가족의 품으로 돌려드리기 위해 비무장지대에서의 남북공동유해발굴 사업 재개도 절실하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빠빠 빨간맛~♬
  • 이부진, 장미란과 '호호'
  • 홈런 신기록
  • 그림 같은 티샷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