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 측은 이날 면담 과정 전체를 언론에 공개할 것을 요구했고, 이에 우상호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언론플레이하지 말라”고 이야기하는 등 날선 발언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
이 씨의 친형 이래진 씨와 유족의 법률대리인 김기윤 변호사는 이날 우상호 위원장과의 면담 직후 취재진과 만나 “민주당 내 태스크포스(TF)의 1호 과제로 대통령기록물 공개의 국회 의결을 해달라고 건의했다”며 “7월 4일까지 기록물 공개를 민주당 당론으로 채택하지 않거나, 7월 13일까지 국회 의결이 되지 않을 경우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형사 고발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족 측이 요구한 정보는 피살 이후인 2020년 9월 23일 새벽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록과 당시 참석자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 당시 ‘해경왕’이라 불리며 해경에 월북 수사 지침을 내렸다는 의혹을 받는 청와대 행정관의 이름이 포함된 자료 등이다.
이날 1시간가량 비공개로 진행된 유족 측과 우상호 위원장 간의 면담에서는 날선 발언이 오간 것으로도 알려졌다.
김 변호사는 “처음에 회의 공개를 부탁했는데, 우상호 위원장이 ‘언론플레이하지 말라’고 말했다”며 “제가 황당해서 유족이 브리핑하는 게 언론플레이냐고 따졌다”고 밝혔다.
이어 “유족이 지난 1년 9개월 동안 정보 비공개 때문에 상처받았는데, 회의까지 비공개 하자는 게 얼마나 상처 되는 일이냐”며 “이런 태도가 유족과 협의하려는 마음인지 굉장히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다만 김 변호사는 “언론플레이 관련 발언에 대해 제가 바로 따지니 우 위원장이 사과했다”며 “조카(이 씨 아들)의 편지에도 답장을 전달해 달라고 했고, 그 부분도 행정착오 때문에 빨리 못 받아서 죄송하다고 하시더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조오섭 민주당 대변인은 별도의 브리핑에서 “우 위원장이 최대한 유족의 이야기를 경청했다”며 “유가족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리고 이런 부분이 정치 쟁점화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셨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유족의 요구에 응할 생각이냐’는 질문에 “저는 기본적으로 국가 안보에 큰 장애가 되지 않는 이상 국민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기 위해 자료를 공개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자료인지는 모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분류해서 이건 되고 저건 안 된다고 한 게 아니다”라며 “그 부분은 TF팀이 판단해서 결정할 내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