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표한 ‘2021회계연도 공공기관 결산 중점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공공기관(은행형 공공기관 제외) 부채 총액은 583조원으로 전년대비 41조 8000원이 증가했다. 공공기관의 부채총액은 지난 2013년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시행 이후 2017년까지 감소세를 보이다 2018년 이후 증가세로 전환됐다.
예산처는 “다른 기관에 비해 공기업의 부채규모나 손익의 금액이 크기 때문에 공기업의 성과 악화나 개선이 공공기관 전체 재무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공기업의 재무건전성을 관리하는 것이 공공기관 전반적인 재무성과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공공기관 부채 역시 한국전력공사 및 9개 종속회사(13조 3000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9조 1000억원), 한국가스공사(6조 3000억원), 한국주택금융공사(2조 5000억원) 등 공기업에서 주로 증가했다. 지난해말 기준 공기업의 부채 규모는 434조 1000억원으로 전년(398조 2000억원)대비 35조 9000억원이 증가해 전체 공공기관 부채 증가분의 86% 가량을 차지했다.
예산처는 “SOC, 에너지 등 주요 공기업의 부채규모 및 부채비율이 악화된 가운데, 기획재정부와 해당 주무부처는 공기업의 이자보상배율, 차입금의존도 등 지표를 관리해 부채 및 이자비용 상환능력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