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1일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 출범 후 차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0.01%라도 금리가 더 저렴한 상품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이틀간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이동했다.
하지만 아쉬움도 컸다. 플랫폼에 올라온 갈아타기 상품이 많지 않고, 플랫폼별로 제휴사 수나 상품이 달라 정확한 대환대출이 어렵다고 말하는 차주들이 부지기수다. 막상 괜찮다 싶은 상품을 골라 플랫폼에서 해당 금융사 사이트로 이동하면 실제 심사 결과 금리가 달라져 갈아타기를 취소했다는 하소연도 이어진다.
하지만 대환대출 풀랫폼에는 아직까지 시중은행뿐 아니라 카드사들도 소극적이다. 정부가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를 압박하니 어쩔 수 없이 몇 군데에만 발을 걸쳐놓았다는 후문도 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전통 금융사들이 빅테크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상당히 크다. 제품(대출상품) 제조는 금융사들이 하고, 판매(대환대출)는 빅테크들이 하면 은행에 남는 건 하나도 없고, 빅테크들만 수수료를 챙기게 될 것이란 주장이다. 결국 은행과 카드사들은 대출 취급을 위해 판매를 하는 빅테크에 종속될 것이라는 게 금융사들의 우려다.
그렇지만 소비자 없인 금융사도 없다. 금융사들이 플랫폼 종속을 걱정한다면 지금이라도 소비자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자체 플랫폼을 만드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정부가 하라고 하니 억지로 하는 시늉만 한다면, 결국 소비자는 등을 돌리고 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