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자료에 따르면 당국은 발사 대행 용역비용에 연구진 인건비·활동비 등 부대비용을 포함해 아리랑 6호에 464억원, 차세대중형위성에 255억원을 각각 투입했다. 전체 용역비용(각각 747억원·414억원)의 절반 이상을 이미 지급한 것이다.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2호 발사의 상황도 좋지 않다. 국토 정밀 관측을 목적으로 2018년 1158억원을 투입기로 한 이 프로젝트 역시 작년 하반기 러시아 발사체를 카자흐스탄에서 발사한다는 기존 계획이 사실상 무산된 상황이다. 당국은 2024~2025년 중 발사를 목표로 대체 발사 계획을 추진 중으로 알려졌다.
현 시점에서 아리랑 6호와 차세대 중형위성 2호의 발사가 정확히 언제 이뤄질지 장담하기 어렵다. 또 러시아 측으로부터 기존 지급액 일부를 반환받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이뤄진 서방의 대(對)러시아 제재는 현재 진행형이고, 전쟁은 장기화하고 있다. 러시아 측과의 계약 내용에 ‘(계약 미이행시) 향후 발사 기회 제공’이라는 문구가 있지만 러시아 측이 향후 추가 비용 없이 위성 발사 용역을 수행해줄지는 미지수다.
박완주 의원은 “연구진의 수년 노고가 빛을 보지 못해 안타깝다”며 “이미 719억원의 국민 혈세가 집행된 만큼 다부처의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해 계약금 반환 대응과 대체 발사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