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美 3대 지수 하락 출발…FOMC 회의 결과 주목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20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 오전 9시 55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06% 하락한 39086선에서, S&P500지수 역시 0.06% 내린 5175선에서, 나스닥지수는 0.12% 하락한 16147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 시장은 미 연준의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경계하는 모습이다.이번 회의에서 FOMC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5.25%~5.5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은 연준이 공개하는 점도표를 통해 올해 금리 인하 시기와 속도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최근 발표된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높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올해 금리 인하가 더 적게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하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점도표를 통해 올해 총 3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한편 이날 비트코인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전일대비 1% 하락한 6만3530달러선에서 거래 중이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멕시코 음식 프랜차이즈 업체인 치폴레멕시칸그릴(CMG)이 미국 증시 역대 사상 최대인 50대 1 주식 분할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 중이다. 회사는 오는 6월 연례 주주총회에서 분할 결정에 대한 승인을 받으면 6월 중에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INTC)은 미국 행정부로부터 반도체법에 따라 최대 195억달러의 자금을 지원받게 됐다. 이 소식에 주가가 소폭 상승하고 있다.테슬라(TSLA)는 오는 4월 1일부터 중국에서 제조된 모델Y의 가격을 약 700불 인상할 것이란 소식을 전해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시그넷주얼러스(SIG)는 배당금을 인상하고 자사주 매입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매출과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를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락 중이다. 바이오엔테크(BNTX) 역시 지난 분기 재고 폐기 증가로 인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4.03.20 I 장예진 기자
  • 美 3대 지수 혼조 출발…FOMC 경계·엔비디아 하락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9일(현지시간) 엇갈린 흐름으로 장을 출발했다. 오전 10시 10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16% 상승한 38853선에서 움직이고 있는 반면, S&P500지수는 0.21% 하락한 5138선을, 나스닥지수는 0.59% 내린 16008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시장은 전일 상승을 뒤로 하고 하루 앞으로 다가온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발표를 앞두고 다소 경계하는 모습이다. 이번 회의에서 미 연준(Fed)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5.25%~5.50%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은 오히려 올해 금리 인하와 관련해 연준이 어떤 내용을 발표할지에 주목하고 있다.한편 기대를 모았던 엔비디아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인 ‘GTC 2024’에서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공개했지만 강력한 신제품에 대한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주가는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가 보통주 200만달러 규모의 보통주 추가 발행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다만 신주를 발행하면 기존 주식의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에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이다.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샤오펑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퓨전파마슈티컬(FUSN)은 약 24억달러 규모에 아스트라제네카에 피인수된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에 주가가 급등 중이다.
2024.03.19 I 장예진 기자
  • 美 3대 지수 상승 출발...FOMC·엔비디아 GTC 주목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8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출발했다.오전 9시 50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16% 상승한 38789선에서, S&P500지수는 0.91% 오른 5163선에서, 나스닥지수는 1.53% 상승한 16218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번주 시장은 3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비롯해 엔비디아의 ‘GTC 2024’,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 등 굵직한 이벤트를 앞두고 있다. 지난주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아쉬운 지표를 확인하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이번주 예정된 FOMC 회의를 통해 연준이 금리 인하 시기를 언제로 예상하는지 확인하려는 모습이다. 실제로 점도표에서 올해 세 차례보다 적은 금리 인하를 시사한다면 시장은 크게 실망할 것으로 예상된다.한편 이번주에는 이날부터 오는 21일까지 엔비디아의 GTC 2024(GPU 테크놀로지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시장에서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기조연설 및 신제품 공개를 통해 엔비디아의 주가가 다시 한 번 날아오를지 주목하고 있다. 이외에도 20일에는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 21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디지털 행사 등이 예정되어 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애플이 구글의 제미나이 AI를 아이폰에 탑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GOOGL)의 주가가 상승 중이다.테슬라는 북미와 유럽에서 오는 4월 1일부터 주력 제품인 모델Y의 가격을 소폭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는 S&P500지수에 편입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큰 폭으로상승하고 있다.
2024.03.18 I 장예진 기자
  • 美 3대 지수 하락 출발…‘세 마녀의 날’ 우려↑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5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오전 10시 10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34% 하락한 38792선에서, S&P500지수는 0.58% 하락한 5120선에서, 나스닥지수는 0.85% 내린 15993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 시장은 주가지수 선물 및 주가지수 옵션, 개별 주식 옵션 만기가 동시에 겹치는 ‘세 마녀의 날’을 맞아 크게 조정 받는 모습이다. 또한 전일 발표된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물가에 대한 우려를 다시 키운 가운데 다음주 예정되어 있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 대한 경계감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월가에서는 연준이 점도표를 통해 올해 세 번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고 있는 지 여부를 점도표를 통해 공개할 지에 주목하고 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어도비(ADBE)가 실망스러운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주가가 하락 중이다.자빌(JBL) 역시 단기적인 역풍으로 인해 매출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하면서 실망 매물이 출회하는 모습이다. 울타뷰티(ULTA)는 지난 분기에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주가가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마이크론(MU)은 씨티그룹에서 AI 관련 수혜가 예상된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제기했다. 이에 주가가 상승 중이다.
2024.03.15 I 장예진 기자
영림원소프트랩,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전략’ 세미나 개최
  • 영림원소프트랩,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전략’ 세미나 개최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ERP 전문기업 영림원소프트랩(060850)이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PMS·Project Management System) 업종을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전략’ 세미나를 열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경기도 광명시 테이크호텔에서 70여명의 기업 경영정보시스템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으며, 시연 위주로 진행됐다. (사진=영림원소프트랩)주요 연사로는 이정무 솔코 상무, 심영근 영림원소프트랩 상무, 이민석 다우기술 차장이 나서 각각 △솔리드웍스 PDM(Product Data Management·제품정보관리) 솔루션 소개 및 BOM(Bill of Material·자재명세서) 관리방안 △프로젝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전사적 자원관리) 솔루션 소개 및 활용방안 △다우오피스 그룹웨어와 ERP 연계 사례를 발표했다. 마지막 세션에선 심영근 영림원소프트랩 상무와 이정우 솔코 상무가 △통합정보시스템(PDM+ERP+그룹웨어) 운영 방안에 대해 합동 발표를 했다. 여기선 ERP·PDM·그룹웨어를 하나의 시스템처럼 통합할 수 있으며, 이는 △장비 △설치산업 △IT △서비스 △건설 엔지니어링 등 모든 수주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새로 패키지화한 건설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업무의 유기성과 효율성 향상 효과가 뛰어나 시장 반응이 뜨겁다는 것이 업계 의견이다. 세미나 참석자 상당수는 “자료 위주의 발표로 진행되는 일반적인 세미나와 달리 실제 사례와 함께 데모 시연 위주로 전개된 부분이 유익했다”며 “직접 시스템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시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심영근 영림원소프트랩 PMS사업부 상무는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 전문가들이 시장 변화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세미나를 기획했다”며 “하반기엔 IT와 서비스 업종을 대상으로 유용한 정보를 얻어갈 수 있는 자리를 준비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2024.03.15 I 박순엽 기자
  • 美 3대 지수 하락 출발…2월 PPI 7개월래 최고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4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오전 10시 20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20% 하락한 38965선에서, S&P500지수는 0.24% 내린 5152선에서, 나스닥지수는 0.10% 하락한 16162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은 개장 전에 여러 지표들이 발표됐다. 먼저 미국의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6%, 전년 대비 1.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월 기록한 0.3%, 1.0%보다 높은 상승률이다. 전월비 상승률은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았고, 전년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생산자 물가는 통상 소비자물가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만큼 시장에서는 기대만큼 둔화하지 않은 인플레이션 지표에 다소 실망하는 모습이다.지난달 미국의 소매판매 역시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미 상무부는 2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6% 증가한 7700억달러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시장 예상치를 밑돈 소매판매 상승률은 물가 상승 우려를 해소하는 요인이다. 더불어 이날 발표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1000건 줄어든 20만9000건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한편 월가에서는 오는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은 금리 결정 자체에 주목하기 보다는 연준이 새로 공개하는 점도표를 통해 올해 금리 인하 시작 시기를 눈여겨보고 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로빈후드(HOOD)가 시장 호황 등에 힘입어 지난달 주식 및 가상화폐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주가가 급등 중이다. 달러제너럴(DG)는 지난 4분기에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이다.딕스스포팅굿즈(DKS) 역시 기대 이상의 실적과 함께 분기 배당금을 10% 인상한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반면 센티넬원(S)은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주가가 하락 중이다.
2024.03.14 I 장예진 기자
  • 美 3대 지수 혼조 출발…PPI 발표 주목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3일(현지시간) 엇갈린 흐름으로 장을 출발했다.오전 10시 5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25% 상승한 39104선에서 움직이고 있는 반면, S&P500지수는 전일대비 0.14% 하락한 5168선을, 나스닥지수는 0.57% 내린 16172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시장은 전일 발표된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소화하며 미 연준(Fed)의 6월 금리 인하 기대감을 유지해가는 모습이다.월가에서는 주요 물가지표인 CPI 수치가 오름세를 보였지만 근원 물가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어 인플레이션이 올바른 방향으로 완화되고 있다는 낙관론을 제기했다. 이제 시장은 오는 14일 발표되는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이번 주 남은 경제지표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연준 위원들은 오는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공개 발언을 할 수 없는 블랙아웃에 돌입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웰스파고가 테슬라(TSLA)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축소로 제시하고 목표가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하락 중이다.달러트리(DLTR) 역시 지난 4분기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실적과 일부 매장을 폐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실망 매물이 출회하는 모습이다.반면 펫코(WOOF)는 지난 4분기 기대 이상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하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2024.03.13 I 장예진 기자
  • 美 3대 지수 상승 출발…2월 CPI 예상밖 상승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2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출발했다. 오전 10시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25% 상승한 38865선에서, S&P500지수는 0.42% 오른 5140선에서, 나스닥지수는 0.46% 상승한 16093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개장 전 발표된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한 달 전보다 0.4% 상승해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월 CPI는 3.2% 상승해 전월 기록한 3.1%보다 빠르게 오른 것이다. 특히 지난 2월 물가 상승에는 휘발유와 주거비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월가에서는 여전히 연준이 오는 6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시장은 연준이 오는 20일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97%로 전망하고 있으며, 5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22%, 6월에 인하할 확률은 55%로 나타나고 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오라클(ORCL)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강력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 중이다.아처대니얼스미드랜드(ADM)은 지난 4분기에 실망스러운 실적을 기록했지만, 투자자들이 우려한 재무 보고에 대한 회계 조사 상태를 공개하면서 오버행 이슈를 해소한 모습이다. 이에 주가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보잉(BA)은 미 연방항공청이 737맥스 생산에서 여러 이슈를 발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하락하는 모습이다. 콜스(KSS)는 지난 4분기 예상치를 하회하는 매출을 기록한 가운데, 아쉬운 연간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2024.03.12 I 장예진 기자
물가 고착화 우려에도…뉴욕증시 상승 출발
  • 물가 고착화 우려에도…뉴욕증시 상승 출발
  •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여전히 끈적한(sticky) 것으로 나타났지만, 뉴욕증시는 소폭 오름세로 장을 시작했다. 1월과 비교해 예상보다 물가가 크게 뛰지 않은 점에 시장이 일부 안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은 6월 금리인하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오전 9시35분 기준 다우지수는 0.24%, S&P500지수는 0.42%, 나스닥지수는 0.53% 상승하고 있다.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끈적한(sticky)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가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2월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8% 올라, 월가가 집계한 예상치(3.7%)를 웃돌았다. 근원 CPI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지표로, 기조적 물가 흐름을 볼 수 있다. 다만 지난달 3.9%를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소폭이나마 상승률이 낮아졌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4%로, 시장 예상치(0.3%)를 웃돌았다. 헤드라인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2%, 전월 대비 0.4% 각각 올랐다. 시장예상치는 각각 3.1%, 0.4% 였다.주거비가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며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주거비는 전월대비 0.4%, 전년대비 5.7% 상승했다. 주거비는 갱신된 임대계약으로 임대료 인하 데이터가 계속 반영됨에 따라 점차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수치상으로는 끈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서비스 비용은 전월대비 1.4%, 전년동기대비 9.9% 올랐다.이에 따라 주거비와 에너지, 식료품을 제외한 서비스물가인 ‘슈퍼코어 CPI’는 전월대비 0.47% 상승했다. 지난 1월(0.85%) 보다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빠른 속도다. 서비스 물가는 현재 연방준비제도가 주시하는 항목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상품 서비스 외에 서비스 물가 둔화세가 확인돼야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서비스물가 상승세가 둔화되지 않는 한 연준이 쉽게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 고착화 우려에 국채금리는 모두 오르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5bp(1bp=0.01%포인트) 오른 4.417%, 2년물 국채금리도 4.4% 상승한 4.578%에서 움직이고 있다.BMO 캐피털마켓의 금리 전략가인 이안 린겐은 “근원 CPI 상승률이 전월대비 0.358%에 불과하고 슈퍼코어 CPI 상승률이 0.47%로 둔화됐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6월 인하는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찰스 슈왑의 수석 채권 전략가인 캐시 존스는 “이번 보고서는 연준이 긴축을 좀 더 오래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하락 추세가 평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고, 연준은 금리 인하 전에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하는 것으로 보고 싶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03.12 I 김상윤 기자
황현순 전 키움증권 사장, ‘사람인’ 사내 이사 후보로 선임
  • 황현순 전 키움증권 사장, ‘사람인’ 사내 이사 후보로 선임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황현순 전 키움증권 사장이 국내 대표 구인·구직 사이트 사람인(143240)의 사내이사 후보에 올랐다.황현순 키움증권 사장. (사진=키움증권)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사람인은 오는 20일 열릴 예정인 주주총회에서 황 전 사장을 신규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했다고 공시했다. 사람인은 황 전 사장에 대해 “전 키움증권 대표이사로서 금융 플랫폼을 다년간 운영하며 키움증권을 국내 거래량, 거래규모 1위로 성장시킨 경험이 있다”며 “향후 사람인이 비즈니스를 확장함에 있어서도 금융 영역 등 타 산업과의 연계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최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한다”고 강조했다. 사람인은 국내 대표적인 구인·구직 사이트로, 키움증권과 함께 다우키움그룹의 계열사다. 최대주주는 다우기술로 사람인의 지분 32.66%를 보유하고 있다.앞서 황 전 사장은 2000년에 키움증권의 전신인 키움닷컴증권 창립 당시 합류해 리테일 총괄본부장, 그룹전략실장,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지난 23년간 키움증권 성장을 주도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황 전 사장은 지난해 11월 영풍제지 미수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하기로 결정했다.
2024.03.12 I 이용성 기자
  • 美 3대 지수 하락 출발…CPI 발표 앞두고 경계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11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 오전 10시 15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55% 하락한 38508선에서, S&P500지수는 0.58% 내린 5093선에서, 나스닥지수는 0.59% 하락한 15990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시장은 오는 12일 공개되는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월가에서는 2월 CPI가 전년 대비 3.1% 상승해 지난 1월과 같은 속도의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예상보다 물가 지표가 약하다면 시장 랠리가 이어지겠지만, 반대로 강하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로 강해졌던 시장 랠리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분석이다. 가상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은 15년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두드러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관련주들이 함께 들썩이는 모습이다. 반면 AI 관련주들은 동반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최근 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최고가 랠리를 기록한 엔비디아의 경우 월가에서 일부 차익실현에 따른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한편 연준 위원들은 오는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블랙아웃’에 들어갔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듀오링고(DUOL)는 JP모건이 ‘비중확대’로 커버리지를 개시하면서 기대감에 힘입어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장 마감 이후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오라클(ORCL)은 강보합권에서 움직이며 실적 발표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넷플릭스(NFLX)는 오펜하이머가 시장 지배력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이라며 목표가를 상향 조정했다는 소식에 소폭 상승 중이다. 반면 보잉(BA)은 지난 주말 미국 사법당국이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수사에 착수했단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하락 중이다.
2024.03.11 I 장예진 기자
엔비디아 기침하자 코스피도 하락…2650선 '털썩'
  • [코스피 마감]엔비디아 기침하자 코스피도 하락…2650선 '털썩'
  •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코스피가 11일 하락 마감했다. 지난주 인공지능(AI) 황제주 엔비디아가 차익 매물이 실현되며 그동안의 급등세를 뒤로한 채 5% 급락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역시 4% 하락한 영향에 국내 반도체 관련주 투심도 얼어붙은 모습이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0.77%(20.72포인트) 내린 2659.6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전거래일보다 0.55% 내린 2665.58에 시작한 지수는 2677.21까지 올랐지만 기관과 외국인 매도세에 다시 2660선 밑으로 내려갔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반도체에 집중됐던 수급이 오늘은 그동안 소외됐던 업종들로 유입됐다”며 “이번주 미국 물가지표와 더불어 일본 춘투(임금협상) 등 중요한 매크로 일정에 대한 경계심리까지 반영돼 증시 약세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수급별로는 개인만 1856억원 사들였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77억원, 1128억원 순매도했다. 프로그램별로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해 2270억원 매도 우위였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체로 내렸다.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4%대 하락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반도체 관련주가 일제히 약세였다. 삼성전자(005930)는 1.23% 내린 7만2400원, SK하이닉스(000660)는 3.08% 하락한 16만6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외에도 현대차(005380)가 3.75% 내렸고 삼성SDI(006400)는 2.93% 하락했다. 기아(000270) 포스코홀딩스 LG화학(051910) 포스코퓨처엠(003670)도 1%대 내림세였다. 반면 네이버는 1.01% 오른 18만9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035720)도 2.63% 오른 5만4600원을 기록했다. ‘조국 테마주’로 꼽히는 화천기계(010660)는 19.78% 올랐다. 화천기계 주가는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총선 출마 의향을 밝히며 최근 급등을 거듭하고 있다. 다만 조 대표는 화천기계와 직접적 관련이 없다고 선을 긋는 상황이다.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합성) 상장지수펀드(ETF)는 11.62% 급등했다. 업종별로도 하락 우위였다. 의료정밀은 3.06% 급락했고 증권도 2.80% 내렸다. 제조업과 운수장비, 철강금속, 전기전자도 1%대 하락했다. 반면 기계는 1.07% 올랐고 서비스업도 1.50% 상승했다. 섬유의복도 0.58% 올랐다. 간밤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8% 하락한 3만8722.69를 기록했다. S&P500지수도 0.65% 하락한 5123.69를 기록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16% 하락한 1만6085.11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를 제외한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주 각각 0.93%, 1.17% 하락마감했다. 6거래일 상승세를 마치고 5% 넘게 하락한 엔비디아 외에도 최근 급등했던 반도체주들이 내림세를 보이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 넘게 급락했다. 이날 코스피 거래량은 3억8297만주, 거래대금은 8조6855억원이었다. 357개 종목이 올랐고 518개 종목이 내렸다. 59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2024.03.11 I 김보겸 기자
코스피, 엔비디아 충격에 하락 출발…2660선
  • 코스피, 엔비디아 충격에 하락 출발…2660선
  •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코스피 지수가 11일 하락 출발했다. 인공지능(AI) 황제주 엔비디아가 1000달러를 앞에 두고 5% 넘게 급락하면서 반도체 관련주 투심이 얼어붙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41분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0.62%(16.51포인트) 떨어진 2663.84에 거래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엔비디아 급락 영향에 일제히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8% 하락한 3만8722.69를 기록했다. S&P500지수도 0.65% 하락한 5123.69를 기록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16% 하락한 1만6085.11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를 제외한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주 각각 0.93%, 1.17% 하락마감했다. 다우지수는 10월 이후 최악의 한주를 보냈다.이날 장 초반만 해도 약 5% 오른 974달러까지 급등한 엔비디아가 차익 매물 실현에 하락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미즈호 증권의 데스크 기반 애널리스트 조던 클라인은 “일종의 (급등에 따른) 피로감 탓”이라며 “(엔비디아를 포함한) 반도체 주가는 과매수 상태였고,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이른바 퀀트 머신이 매도를 가속화했다”고 설명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645억원, 외국인이 38억원어치 사들이고 있다. 기관은 671억원 순매도 중이다. 업종별로는 섬유의복과 서비스업, 기계가 1% 넘게 상승 중이다. 반면 의료정밀은 3.23% 하락하고 있으며 증권과 보험도 2%대 내림세다. 금융업과 철강금속도 1% 넘게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하락 우위다. 반도체 관련주는 엔비디아 하락 여파에 내림세다. 삼성전자(005930)와 SK(034730)는 각각 0.68%, 2.68% 하락 중이다. 현대차(005380)가 1.38% 하락하는 반면 기아(000270)는 1.32% 상승하고 있다. 삼성물산(028260)과 네이버는 1% 미만 소폭 오름세다.
2024.03.11 I 김보겸 기자
엔비디아 급락에 뉴욕증시 하락…TSMC, 보조금 6조원 받는다
  • [뉴스새벽배송]엔비디아 급락에 뉴욕증시 하락…TSMC, 보조금 6조원 받는다
  •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엔비디아가 1000달러를 눈앞에 두고 5% 넘게 급락하면서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최근 인공지능(AI)발 랠리가 과도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차익 매물이 쏟아진 영향이다. 최근 급등했던 인텔과 브로드컴 등 반도체 주식들도 함께 하락 마감했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지원법에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 대만 TSMC가 최소 6조6000억원 보조금을 받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005930) 역시 이 보조금을 두고 미국 정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다음은 11일 개장 전 주목할 뉴스다. 엔비디아.(사진=AFP)◇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8% 하락한 3만8722.69에 마감.-S&P500지수도 0.65% 하락한 5123.69를 기록.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16% 하락한 1만6085.11에 마감.-S&P500지수를 제외한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주 각각 0.93%, 1.17% 하락마감. ◇엇갈린 고용지표...비농업고용↑ 실업률↑-이날 미국 노동부 고용통계국은 2월 비농업고용이 27만5000건 늘었다고 발표. -다우존스 컨센서스 추정치 19만8000건과 지난 1년간 월평균 증가수 23만명을 웃도는 수치.-다만 지난해 12월 33만3000건 증가는 29만건 증가로, 1월 35만3000건에서 29만건 증가로 하향 조정하며 시장 환호.-실업률이 3.9%로 예상치(3.7%)와 전월(3.7%)을 모두 웃돌며 시장이 긍정적으로 해석. ◇AI 황제주 엔비디아 급락-장 초반만 해도 약 5% 오른 974달러까지 급등하던 엔비디아, 하락세 보이며 5% 빠지며 마감.-6일 연속 상승세 멈춘 건 최근 급등한 부담에 따라 차익매물이 크게 나온 탓.-미즈호 증권의 데스크 기반 애널리스트 조던 클라인은 “일종의 (급등에 따른) 피로감 탓”이라며 “(엔비디아를 포함한) 반도체 주가는 과매수 상태였고,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이른바 퀀트 머신이 매도를 시작했고, (매도세를) 가속화했다”고 설명.◇반도체주도 급락...애플만 8일만에 1%↑-최근 급등했던 반도체주식들이 모두 급락 마감.-엔비디아 외 인텔(-4.66%), 브로드컴(-6.99%), AMD(-1.89%),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37%), 암 홀딩스(-6.65%), 마벨 테크놀로지(-11.36%)도 하락.-테슬라는 이날도 1.85% 빠지며 한주간 13%나 하락. -그나마 애플은 1.02% 오르며 8일 만에 상승세로 전환.◇TSMC, 미국 정부에 반도체 보조금 6조원 받는다-대만 TSMC가 미 정부의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에 따라 최소 50억달러(약 6조6000억원)의 보조금 받을 전망.-8일(현지 시각)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는 TSMC가 미 정부에서 50억달러 이상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라고 보도. -TSMC는 400억달러 투자해 애리조나 피닉스 인근에 파운드리 공장 2개 지을 계획.-수십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삼성전자도 보조금 규모 확대하기 위해 텍사스주 신규 공장 건설 이외에도 추가 미국 투자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SK하이닉스도 미국 내 15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패키징(후공정) 공장 건설 추진.◇국제유가 하락...中 수요 감소 영향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92센트(1.17%) 하락한 78.01달러에 마감 -원유시장에선 중국의 수요가 감소했다는 소식 영향으로 풀이. -S&P글로벌에 따르면 중국의 원유 수입은 올해 첫 두 달간 하루 평균 1080만배럴을 기록했는데, 작년 12월 대비 5.7% 하락.
2024.03.11 I 김보겸 기자
고용보고서 보다 힘쎈 엔비디아…뉴욕증시 흔들다
  • 고용보고서 보다 힘쎈 엔비디아…뉴욕증시 흔들다[월스트리트in]
  •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인공지능(AI) 황제 엔비디아가 급락하면서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장초만 해도 5% 급등하면서 1000달러에 다가섰지만,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매물이 대거 쏟아나오면서 5.5% 급락했다. 최근 인공지능(AI) 발 랠리가 과도했다는 평가가 영향을 미친 하루였다.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8% 하락한 3만8722.69를 기록했다. S&P500지수도 0.65% 하락한 5123.69를 기록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16% 하락한 1만6085.11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를 제외한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주 각각 0.93%, 1.17% 하락마감했다. 다우지수는 10월 이후 최악의 한주를 보냈다.뉴욕증권거래소 (사진=AFP)◇엇갈린 고용지표에도 시장은 ‘비둘기’ 신호로 해석이날 나온 고용지표는 엇갈렸지만, 장초반만 해도 투자자들은 비둘기(통화완화) 신호로 해석하며 투심을 끌어올렸다. 이날 미국 노동부 고용통계국은 2월 비농업고용이 27만5000건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 컨센서스 추정치 19만8000건과 지난 1년간 월평균 증가수 23만명을 웃도는 수치다.다만 지난해 12월, 올해 1월 고용수치는 대폭 수정했다. 지난해 12월 33만3000건 증가는 29만건 증가로, 1월 35만3000건에서 29만건 증가로 하향 조정됐다. 시장이 환호하는 근거다.일자리 대부분은 의료서비스와 정부 고용에서 나타났다. 전체 증가분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의료서비스는 6만7000건 늘어나며 지난 1년간 월 평균 증가폭인 5만8000건을 웃돌았다. 외래 의료 서비스(2만8000건), 외래 건강관리 서비스(2만8000건), 요양(1만1000건) 등이 늘었다. 정부 고용은 5만2000건으로, 지난 1년간 수치와 유사했다. 의료서비스와 정부 고용은 경기 사이클에 영향 받지 않는 비경기적 분야인 만큼 시장은 고용시장이 더 뜨거워지지는 않았다고 보기도 했다. 특히 실업률이 3.9%로 예상치(3.7%)와 전월(3.7%)을 모두 웃돈 점도 시장은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 원인 중 하나인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1% 올랐다. 전년대비로는 4.3% 증가한 수치다.임금이 급등하지 않고 일자리가 계속 늘어나는, 그야말로 연준이 바라는 연착륙 시나리오다. 하지만 경기가 여전히 탄탄한 만큼 연준이 금리인하 시기를 앞당길 소재로는 작용하지 못했다.모건스탠리의 이트레이드의 크리스 라킨은 “이번 보고서가 연준의 금리인하에 확실한 신호가 되지는 못했지만, 그렇다고 연준이 올해 금리인하 계획에 차질을 빚을 만한 내용도 없었다”고 평가했다. ◇5% 급등했다 5.5% 급락한 엔비디아엔비디아도 이같은 신호에 힘입어 장 초반만 해도 약 5% 오른 974달러까지 급등했다. 시총은 2조4000억원 가량까지 불어나며 시총 2위 애플을 거의 2000억달러까지 좁혔다.하지만 이내 하락세를 보이더니 5%가량 빠지며 마감했다. 6일 연속 상승세가 중단된 셈이다. 최근 급등한 부담에 따라 차익매물이 크게 나온 탓이다. 엔비디아가 뚝 떨어지자 뉴욕3대 지수도 하락세로 돌아섰다.미즈호 증권의 데스크 기반 애널리스트 조던 클라인은 “일종의 (급등에 따른) 피로감 탓”이라며 “(엔비디아를 포함한) 반도체 주가는 과매수 상태였고,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이른바 퀀트 머신이 매도를 시작했고, (매도세를) 가속화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그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인공지능 주식이 최근 처럼 매일 상승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엔비디아 외 인텔(-4.66%), 브로드컴(-6.99%), AMD(-1.89%),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37%), 암 홀딩스(-6.65%), 마벨 테크놀로지(-11.36%) 등 최근 급등했던 반도체주식들이 모두 급락 마감했다. 테슬라는 이날도 1.85% 빠지며 한주간 13%나 하락했다. 그나마 애플은 1.02% 오르며 8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국채금리, 유가는 ‘뚝’…유럽은 혼조세‘비둘기’ 신호로 해석된 고용보고서에 힘입어 국채금리는 소폭 하락했다. 오후 4시40분 기준 글로벌 구채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국채금리는 1.3bp(1bp=0.01%포인트) 하락한 4.079%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3.6bp 떨어진 4.478%에 거래되고 있다.. 30년물 국채금리는 보합인 4.254%를 기록 중이다.달러 가치는 약보합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주요 6개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 대비 0.06% 하락한 102.76에서 움직이고 있다. 일본은행이 3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에 엔화가치는 계속 오르고 있다. 달러당 엔화는 147.10엔으로 전 거래일 대비 0.64% 뚝 떨어졌다.국제 유가는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92센트(1.17%) 하락한 78.01달러에 장을 마쳤다. 원유시장에선 중국의 수요가 감소했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친 것을 보인다. S&P글로벌에 따르면 중국의 원유 수입은 올해 첫 두 달간 하루 평균 1080만배럴을 기록했는데, 작년 12월 대비 5.7% 하락했다.유럽지수는 혼조세를 보였다. 범유럽 지수인 Stoxx600은 0.02% 올랐고, 영국 FTSE100지수는 0.43%, 독일 DAX지수는 0.16% 떨어졌다. 프랑스 CAC 40 지수도 0.15% 오른 채 거래를 마쳤다.
2024.03.09 I 김상윤 기자
엔비디아 5.5% 급락…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 [속보]엔비디아 5.5% 급락…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인공지능(AI) 황제 엔비디아가 급락하면서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8% 하락한 3만8722.69를 기록했다.S&P500지수도 0.65% 하락한 5123.69를 기록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1.16% 하락한 1만6085.11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를 제외한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주 각각 0.93%, 1.17% 하락마감했다.증시에서 엔비디아가 미치는 영향은 너무 커졌다. 장초반만 해도 엔비디아는 약 5% 오른 974달러까지 급등했다. 지난 2월 미국 실업률이 3.7%에서 3.9% 올랐고, 전월대비 임금상승률도 0.1%에 그쳤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몰렸다. 시총은 2조4000억원 가량까지 불어나며 시총 2위 애플을 거의 2000억달러까지 좁혔다.하지만 이내 하락세를 보이더니 5%가량 빠지며 마감했다. 최근 급등한 부담에 따라 차익매물이 크게 나온 탓이다. 엔비디아가 뚝 떨어지자 뉴욕3대 지수도 하락세로 돌아섰다.미즈호 증권의 데스크 기반 애널리스트 조던 클라인은 “일종의 (급등에 따른) 피로감 탓”이라며 “(엔비디아를 포함한) 반도체 주가는 과매수 상태였고,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이른바 퀀트 머신이 매도를 시작했고, (매도세를) 가속화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그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인공지능 주식이 최근 처럼 매일 상승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4.03.09 I 김상윤 기자
  • 美 3대 지수 상승 출발…임금 상승률 ‘둔화’ 주목
  • [이데일리 장예진 기자] 뉴욕증시가 8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출발했다.오전 10시 10분 기준 다우지수는 전일대비 0.31% 상승한 38910선에서, S&P500지수는 0.54% 오른 5185선에서, 나스닥지수는 0.93% 상승한 16424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 개장 전 발표된 미국의 2월 비농업 고용보고서에서는 지난달 고용이 27만5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월에 기록한 22만9000명 대비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며 월가 전망치인 20만명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다만 실업률이 이전과 같은 수준을 보일 것이란 전망과 달리 오르고 임금상승률 역시 둔화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하 기대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또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파월 의장의 발언이 시장 상승을 지탱해주는 모습이다.전일 유럽중앙은행(ECB)은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동결하고 오는 6월 금리 인하를 시사한 점 역시 시장 강세에 기여했다. 특징적인 종목으로는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NVDA)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강한 랠리를 펼치고 있다. 이날도 개장과 동시에 957달러선까지 치솟으며 장중 또 한 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모습이다. 반면 브로드컴(AVGO)는 지난 분기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 가이던스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매물을 던지면서 주가가 하락 중이다.마벨테크놀로지(MRVL)는 AI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여러 다른 사업부의 부진한 흐름으로 인해 손실폭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이에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이다.글로벌 대형 유통업체인 코스트코(COST) 역시 실망스러운 매출 공개에 연간 멤버십 가입비를 인상하지 않는다고 전하면서 시장이 크게 실망한 분위기다.
2024.03.09 I 장예진 기자
美2월 실업률 오르고 임금상승률 제한적…“비둘기 신호다”
  • 美2월 실업률 오르고 임금상승률 제한적…“비둘기 신호다”
  •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의 2월 고용시장에서 고용이 예상보다 늘어났지만, 실업률은 상승했고, 임금상승률은 높지 않았다. 시장은 ‘비둘기’(통화완화 가능)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뉴욕증시 선물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국채금리는 뚝 떨어졌다.8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 고용통계국은 2월 비농업고용이 27만5000건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 컨센서스 추정치 19만8000건과 지난 1년간 월평균 증가수 23만명을 웃도는 수치다. 다만 지난해 12월, 올해 1월 고용수치는 대폭 수정했다. 지난해 12월 33만3000건 증가는 29만건 증가로, 1월 35만3000건에서 29만건 증가로 하향 조정됐다. 시장이 환호하는 근거다. 미국 2월 비농업고용건수 증가폭 추이 (그래픽=트레이딩이코노믹스)일자리 대부분은 의료서비스와 정부 고용에서 나타났다. 전체 증가분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의료서비스는 6만7000건 늘어나며 지난 1년간 월 평균 증가폭인 5만8000건을 웃돌았다. 외래 의료 서비스(2만8000건), 외래 건강관리 서비스(2만8000건), 요양(1만1000건) 등이 늘었다. 정부 고용은 5만2000건으로, 지난 1년간 수치와 유사했다. 의료서비스와 정부 고용은 경기 사이클에 영향 받지 않는 비경기적 분야인 만큼 시장은 고용시장이 더 뜨거워지지는 않았다고 보는 분위기다. 음식 서비스 및 주점 고용은 4만2000건 늘었다. 지난 3개월간 큰 변화가 없었다.실업률이 3.9%로 예상치(3.7%)와 전월(3.7%)을 모두 웃돈 점도 시장은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62.5%다.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 원인 중 하나인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1% 올랐다. 전년대비로는 4.3%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보고서가 나오면서 다우지수 선물은 상승세로 전환했고, S&P500과 나스닥 선물도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국채금리는 뚝 떨어졌다. 연방준비제도(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7.4bp(1bp=0.01%포인트) 하락한 4.44%, 10년물 국채금리는 2.3bp 떨어진 4.069%를 기록 중이다.
2024.03.08 I 김상윤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