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9,962건

  • 김병현, 폭행이냐 실랑이냐
  • [조선일보 제공] 지난 8일 폭행 혐의로 고소된 미 프로야구 보스턴 레드삭스팀의 김병현 선수는 정말 스포츠지 사진기자를 폭행한 것일까? 세간의 이목이 쏠린 가운데 경찰이 이를 밝혀줄 당시 현장 CCTV 화면의 내용 일부를 지난 15일 밝혔다. 이날 서울 강남경찰서는 당시 사건이 빚어졌던 현장인 서울 역삼동 스포츠클럽 내부의 CCTV 화면을 분석, “CCTV 화면에 김 선수가 기자의 옷을 잡은 채 끌고가고 넘어뜨리는 장면이 담겨 있어 이는 상당한 증거로서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김 선수의 폭력이 실재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경찰은 “사건 당일 오후 8시15분쯤부터 약 1분간 찍힌 김 선수 관련 CCTV 화면은 당시 상황이 어떠했는지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정도”라고 덧붙였다. 경찰의 이 같은 발표가 알려지자 김 선수측은 매스컴을 통해 “실랑이는 있었지만 그것이 법적으로 폭행에 해당한다면 응당한 처벌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당초 “폭행한 사실은 없으며 사과해야 할 쪽은 오히려 사진기자”라는 김 선수의 입장에서 다소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또 양측이 동의해 CCTV 화면을 언론에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김 선수측은 이날 “CCTV에 사건 발단부터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만 찍혀 있다면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에 절대 공개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선수측도 ‘맞불’을 놓을 태세다. 김 선수의 매니저는 “사진기자가 신분을 밝히지 않은 상태에서 찍지 말라는 데도 허락 없이 사진을 찍어 김 선수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사진기자와 소속 스포츠신문사를 상대로 초상권 침해와 명예훼손 혐의로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단순한 폭행사건을 두고 왜 일주일째 지루한 논란이 계속되는 것일까? 이 과정에서 전치 4주의 진단서를 발급받아 입원해 있는 사진기자측은 김 선수의 ‘폭행’ 장면을 봤다는 목격자를, 김 선수는 ‘기자가 먼저 반말하는 장면’을 목격한 목격자를 내세우기까지 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표면적으로 ‘폭행’ 여부의 공방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양측의 진술이 거의 일치한다”고 해석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상황을 두고 김 선수는 ‘자신의 초상권과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실랑이’로, 기자는 ‘폭행을 당한 것’으로, 각각 한쪽만 보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한편 CCTV 화면 내용이 김 선수의 폭행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경찰은 “화질이 식별 가능해 증거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이지 김 선수의 폭행을 입증한다는 뜻은 아니며 김 선수가 초상권 보호를 위해 자기 방어를 한 것으로 볼 수도 있어 폭행 여부를 단정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 "한나라당 경선참가 방해"..미스코리아출신 소송
  • [조선일보 제공] 미스코리아 출신으로 지난 2000년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한 한승민 씨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현 지구당 위원장과 한나라당이 본인의 동대문갑 국회의원 후보 경선 참여를 방해하려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서울지법 남부지원은 6일 한씨가 현 한나라당 동대문갑 지구당위원장인 장광근 의원과 한나라당을 상대로 당원 지위 확인과 1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다고 밝혔다. 한씨는 소장에서 “장 의원이 내년 동대문갑 국회의원 후보경선에 내가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각종 지역구 행사에서 ‘비당원이 당원 행세를 한다’고 말하는 등 내 명예를 훼손했다”며 “난 탈당한 적이 없고 지난 대선 때는 2030부본부장직을 맡아 선거운동을 한 당원인데도, 한나라당도 내 당원 여부를 확인해주지 않아 장 의원의 불법행위에 가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장 의원측은 “동대문갑 지구당을 인계받는 과정에서 다시 입당원서를 내달라고 했으나, 한씨가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한씨가 당원임을 입증할 자료가 없다”며 “오히려 한씨가 나를 중상모략하고 있어 지난 8월 명예훼손혐의로 형사고발한 상태”라고 말했다.
  • 다음, 법적대응 착수..조기진화키로
  • [edaily 정태선기자] 다음(035720)커뮤니케이션은 `분식회계 및 부당내부자 거래` 의혹을 제기한 언론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묻기로 내부 방침을 정하고 구체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다음의 유창하 법무팀장은 29일 "분식회계와 부당내부자 거래에 대해 근거없는 기사로 회사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에 모든 방법을 동원해 법적 책임을 묻기로 했다"고 말했다. 유 팀장은 "민사, 형사 소송과 함께 언론중재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며 3가지 방안을 모두 함께 병행할 수도 있다"며 "형사상으로는 `명예훼손`혐의로 고소하고, 민사상으로는 `손해배상`을 제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준비과정이 오래걸리는 민사소송보다 형사소송을 먼저 제기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르면 내일(30일)중 소장을 접수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의혹이 제기된지 사흘째를 맞이하고 있는 다음은 하한가로 떨어졌던 주가도 회복기미를 보였다. 이날 오전 일찍 1400원이 오르며 `분식 의혹` 부담을 털어내는 모습이었으나 오후부터 밀려 전일보다 1000원 하락한 채 5만6000원에 마감됐다. 당초 분식회계 의혹이 제기되기 전 5만9600원 수준이었던 주가를 회복하기에는 아직 먼 상태다. 다음은 수일동안 이재웅 사장을 비롯해 법률팀, 홍보팀, 마케팅팀 등을 중심으로 전사차원에서 이번 사건 해결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연일 밤샘 회의를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다음은 사내 법무팀 7명을 비롯해 법무법인 `율촌`의 외부 컨설팅을 받으며 진상을 규명하고 사건을 조기에 진화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2003.10.29 I 정태선 기자
  • "송두율→김철수 개명, 황장엽씨 직접 보고받아"
  • [조선일보 제공] 황장엽(黃長燁) 전 북한노동당 비서는 지난 18일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의 상도동 자택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내가 노동당 국제비서로 있을 때 `송두율 교수가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이 된다`는 보고도 받았고 또 `대남공작을 위해 송 교수의 이름을 김철수로 바꾼다`는 보고도 직접 받았다”고 말했다고, 김 전 대통령측 관계자가 25일 전했다. 황씨는 "내가 (1997년) 한국에 망명해서 이 얘기를 한 것은 한국 정부도 당연히 이 얘기를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인데 송 교수가 나에 대해 명예훼손으로 소송을 걸고 한국 정부는 오히려 그에게 면죄부를 주려 하고 있다"며 "이럴 줄 알았으면 공연히 말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비서는 재판부에 보낸 답변서 등을 통해서도 "송 교수가 북한에 와 김일성을 접견한 이후 통일전선부 부부장이 나에게 `송 교수에 대한 주체사상 교육을 맡아달라`고 부탁하면서 `위에서 송 교수를 크게 쓸 생각이며, 그의 이름을 김철수로 부르기로 했다`고 부연했다"고 증언했었다. 이에 대해 송 교수의 변호인인 김형태 변호사는 "지난 2001년 민사 재판에서 다 나왔던 이야기이고 전혀 새로울 것 없다"며 "재판에 나왔던 황씨는 그런 주장을 한 뒤 반박을 하자 횡설수설했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그러나 "김철수는 많다. 강철서신의 김영환도 그렇고 서경원도 김철수였다. 김철수라는 이름 자체가 사법처리 대상은 아니다"며 "김철수가 정치국 후보위원인지, 정치국 후보위원으로서 활동을 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검 공안1부는 국가정보원이 재독(在獨) 사회학자 송두율(宋斗律·59) 교수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검찰에 송치할 경우 송 교수를 직접 불러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국정원 수사팀은 송 교수에 대한 과거 수사와 이번 직접 조사를 종합해 `송두율이 김철수`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 기자협회 "정순균 차장, 기자들의 인격 모독"
  • [edaily 안근모기자] 한국기자협회(회장 이상기)는 22일 논평을 통해 "정순균 국정홍보처 차장이 21일자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에 한국기자들이 심각한 도덕적 결함을 갖고 있는 것처럼 기고한 데 대해 우리는 그의 현실인식 수준과 상식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기협은 "`기자들이 사실확인도 않고 기사를 쓰는 바람에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경제적 손실을 끼치고 있다` 정 차장이 주장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우리는 분명히 지적하고자 한다"면서 "기자들은 한 줄의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시간과 정열을 쏟는 사람들임을 기자출신인 그 자신이 모를 리 없다"고 따졌다. 이어 "정 차장이 `부처마다 중요하다 싶은 기자들에게 술과 식사를 대접하고 정기적으로 돈봉투를 돌렸다`고 했는데, 이는 촌지수수 등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떨치기 위해 애쓰는 대다수 기자들의 인격을 심히 모독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기자협회는 "기자들을 일방적으로 왜곡하는 것과, 기자의 명예를 존중하며 언론이 제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국정홍보처 본연의 임무를 다하는 것 중 어느 것이 국가이익과 사회통합에 더 부합하는 길인지 정 차장은 다시 한번 심사숙고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2003.08.23 I 안근모 기자
  • "관료,기자에 정기적으로 돈봉투"-국정홍보 차장
  • [edaily 국제부] 국정홍보처 정순균 차장은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 온라인판 22일자 기고문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소송은 정부와 언론의 오랜 유착관행을 바로잡고 투명한 관계를 설정해야 한다는 절실한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차장은 이 글에서 많은 한국 기자들이 중요한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기사를 작성하곤 함으로써 개인의 명예와 사생활을 훼손하고 사업상의 피해를 입힌다고 밝혔다. 또 정부 관료들이 각 부처별로 영향력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자들에게 술과 식사를 대접하고 정기적으로 돈봉투를 건넸다고 소개했다. 정 차장은 정부의 소송 제기가 이같은 관행을 바로잡는 동시에 악의적으로 날조된 기사에 대응하기 위한 "대담한 개혁조치"의 일부이며 몇몇 언론과 학자들이 이를 언론탄압으로 과장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정 차장의 이번 기고는 18일자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에 실린 "노무현 대통령과 언론"이라는 제목의 사설에 대한 반박문 형식으로 게재된 것이다. 당시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은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사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었다. 다음은 AWSJ에 실린 기고문 원문. Standing Up to the Press in Korea I refer to your Aug. 18 editorial, "President Roh vs. the Press," and wish to address why the Korean government is waging war against the misguided practices of the press and President Roh Moo Hyun has filed a libel suit against some newspapers. The government action was necessitated by the dire need to correct the long-standing collu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and to set up new transparent relations. President Roh defines it as "healthy relations of tension" vis-a-vis the press. Many Korean reporters tend to file a report without first checking and confirming important points, resulting in damaged personal reputations, infringement of privacy and business losses.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80% of the government"s request for correction or rebuttals were found to be valid during the past five months. Many government officers used to subscribe to the early-morning issues of daily newspapers to see if there were any unfavorable stories, so that they could call the editors before the main issue came out. The officials curried various favors with the media, maintained a select group of supposedly influential reporters at each government agency, wined and dined them, and regularly handed them envelopes of cash. In order to rectify these wrong practices as well as establish a new whole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is launching a set of bold reforms. One measure was to disband the exclusive group of reporters assigned to Cheong Wa Dae -- the office of the president -- and various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and institute a regular briefing system, open to all media representatives. Other actions involved banning government agencies from subscribing to early morning editions of daily newspapers and prohibiting bureaucrats from making improper contacts with reporter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providing sufficient access to news sources. The policy of the incumbent administration is to respond boldly and in a lawful manner to obviously erroneous articles as well as malicious and concocted reports. Some media and journalism scholars allege that this represents oppression of the press. But I have to make clear that the government has never lost faith in freedom of the press. In the sense that freedom of expression, especially criticism against a government, constitutes the essence of freedom of the press, that very freedom is blossoming under the current administration more so than under any previous administration or even anywhere in the world.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incorrect reports are being made openl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nd law. It is time the old abuses by the Korean press, including misguided concoction of facts and incorrect reporting, are stopped once and for all. All the Korean administration asks of the press is that it files reports on the basis of truthful and correct information. This is not asking too much of a responsible media. Jung Soon-kyun Vice Minister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2003.08.22 I 국제부 기자
  • 인터넷매체, 내년 총선때 보도 제약 없을 듯
  • [edaily]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가 지난 7월20일 내놓은 선거법 개정안 중 인터넷 매체를 언론사로 인정하고 이에 준하는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는데 대해, 정치권과 학계 관계자들은 환영의 뜻을 표했다. 이에따라 내년 17대 총선에서는 인터넷 매체들의 후보자 대담·토론회 및 인터뷰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오후 2시부터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인터넷기자협회, 인터넷신문협회 등의 공동 주최로 열린 "선거법 개정과 인터넷 언론" 세미나에 참석한 각 정당 국회의원과 선관위 관계자, 언론학자들은 인터넷 언론 관련 선거법 개정안에 대해 변화된 미디어 환경을 고려한 전향적인 조치로 평가했다. 그러나 인터넷 언론사로 인정하는 기준과 선관위가 인터넷의 폐해를 막기위한 조치로 마련한 인터넷 게시판 실명인증절차 도입 방안에 대해서는 참가자들이 이견을 나타내기도 했다. ◇인터넷매체도 "법적 언론기관" 자격 부여받을 듯 이날 발제를 맡은 김용희 선관위 지도과장은 "인터넷 신문이 갖는 여러가지 장점과 사실상의 언론기능의 수행 및 그 영향력 등에도 불구하고 선거법상 후보자 초청 대담·토론회를 개최할 수 있는 언론기관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 이를 제지한 바 있다"며 "현실과 제도가 괴리되어 있는 문제해결을 위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강래 민주당 의원은 "선관위의 전향적인 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이에 대해 당과 국회의 선거법 논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인터넷언론사 인정기준..게시판 실명인증제에 격론 인터넷 언론사 관련 참가자들이 선거법 개정의 전체적인 방향에 동의했지만, 각론에 있어서는 의견차이를 보였다. 특히 선거법상 언론사로 인정하는 인터넷 매체의 기준과 게시판 실명인증 절차 도입에 관해서는 참가자들간 의견이 엇갈렸다. 선관위는 인터넷 언론사 인정 기준을 "정치·경제·사회·문화·시사 등에 관한 보도·논평 및 여론등을 전파할 목적으로 취재·편집·집필한 기사를 인터넷을 통해 보도·제공하거나 매개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경영·관리하는 자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자"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대해 이재진 교수는 "인터넷 언론사에 대한 구체적인 적시가 필요하다"며 "훈련된 인력에 의한 게이트 키핑 여부, 매체의 사이즈 등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거법 이전에 정간법 개정 이뤄져야 인터넷언론사 인정 기준과 함께 선관위가 인터넷 상의 허위·비방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한 정당, 후보 홈페이지, 인터넷 언론사 등 선거관련 사이트의 게시판 실명인증 도입문제도 논란이 됐다. 선관위 김용희 과장은 "선거일 전 120일(대통령선거는 300일)부터 게시판이나 대화방에 실명인증 후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술적 장치를 설치하도록 명문화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원희룡 의원은 "인터넷의 본질은 익명성에서 오는 자유로운 토론에 있다"며 "게시판의 실명을 강제한다면 인터넷의 특징을 가질 수 있겠는가"고 밝혀, 이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반대 의사를 밝혔다. 변희재 시대소리 운영위원도 "지난 대선때 비방·명예훼손이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았고, 명예훼손이 이루어질 경우 현재도 형법상 처벌이 가능하고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2003.08.21 I 양효석 기자
  • `퇴출은행 보상법` 재논의..기존 입장만 확인
  • [edaily 양효석기자] 한나라당이 지난 2000년 발의한 "퇴출은행피해자 보상에 관한 특별법"을 다시 논의 했으나 야당과 여당·정부간 간극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20일 오후 3시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금융정책소위를 개최, `강제부당 퇴출은행의 피해자보상에 관한특별법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소위에서는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야당측 주장과 이를 반대하는 여당 및 정부측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퇴출은행 피해자보상 특별법`은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이 2000년 12월 동료의원 140명을 대표해 발의, 현재까지 금융정책소위에 계류중인 법안. 지난 98년 6월29일 경기·충청·동화·대동·동남은행 등 5개 은행 퇴출과정에서 강제적이고 부당한 행정처분에 의해 피해를 당한 퇴출은행 주주와 직원들에 대해 명예회복과 피해보상을 규정하자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날 재경부측은 "지난 2000년 서울행정법원에서 부실은행 퇴출이 적법하다는 판결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이 특별법을 다시 들고 나온 이유를 이해하기 힘들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와함께 "이번 특별법이 통과돼 소액주주들이 입은 피해를 국가가 보상할 경우 금융 구조조정 원칙을 훼손할 우려가 있으며, 고용승계가 되지 않은 직원들의 임금을 보전해주는 문제는 여타 생명보험사나 증권사와 형평성 논란 우려가 있다"는 지적했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당시 위헌 소지가 있는 미비법을 가지고 강제 퇴출시킨 것은 문제있다"며 "정부가 구조조정 과정에서 천문학적인 공적자금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강제퇴출은행건에 4500억원 정도를 마련하는 것이 왜 안되는지 모르겠다"고 다그쳤다. 한편 특별법을 발의한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은 강제퇴출 5개은행 공동투쟁위원회측에서 나온 퇴출 당사자들과 만나 "예산이 들어가는 법인 만큼 쉽게 통과시키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정부측에선 인수은행에게 자금을 각출시키는 것은 정부의 월권행위인 만큼 보상은 어렵다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소위에는 민주당 금융정책소위 위원들과 김광림 재경부차관, 이동걸 금감위 부위원장, 박대석 강제퇴출 5개은행 공동투쟁위원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2003.08.20 I 양효석 기자
  • 盧, 30억 손배소송 그 배경과 파장
  • [edaily 김진석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국회의원과 언론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해 정치권과 언론계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청와대와 한나라당간의 정면 대립으로 인한 정국경색 우려을 낳고 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노 대통령이 12일 서울지방법원에 장수천 사업 등과 관련해 의혹을 제기한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과 이를 보도한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사 등 4개 언론사를 상대로 30억원의 손해배상소송 제기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의 이번 소송은 대통령 특유의 정공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이지만 자칫 득보다는 실이 많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미 한나라당은 게세게 반발하고 있고, 한국기자협회도 이번 소송이 자칫 언론자유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논평을 내놨다. 노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소송을 제기했을까.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노 대통령은 지난 2일 국정토론회에서 "언론의 특권적 횡포에 맞설 용기가 없는 지도자들은 그만둬야 한다"고 밝힌 자신의 발언을 실천에 옮긴 것일까. 아니면 또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가. 노 대통령은 서울지법에 낸 소장을 통해 "김문수 의원이 수개월간 근거 없고 사실과 전혀 다른 허위 내용의 명예훼손을 계속하고 해당 언론사들은 이렇다 할 사실확인도 거치지 않은 채 김 의원의 신빙성 없는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해 명예에 큰 손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또 이날 경주에서 있었던 경북도민과의 간담회를 통해 `언론과의 관계`를 언급하며 "권력과 언론이 유착하지 않겠다"며 "정상화되는 과정에서의 갈등이 있는 수준이다"고 진단했다. 이로 인해 "대통령의 권력이 약하거나, 사회가 혼란해지거나, 언론을 탄압하는 것이거나 하는 게 아니다"며 "아주 정상적인 것으로 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직 야당 국회의원을 상대로 소송을 낸 만큼 야당의 반발은 물론 자칫 정국경색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즉각 `대통령 친인척 및 측근들의 비리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관철시키겠다고 밝혀 청와대와 한나라당 간의 정면 대립 양상이 펼쳐지고 있다. 박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대통령이 각종 의혹에 대해 해명, 진실을 고백하지는 않고 오히려 이를 제기한 야당 의원과 언론을 상대로 제소하는 등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 언론특별대책위원회는 지난 5일 "노무현 대통령의 대(對) 신문 전쟁 선포, 인터넷 국정신문 발행 추진, 공정거래위의 신문지국 조사 계획 발표 등은 고도로 기획된 정치적 음모"라며 "이는 기존의 언론시장을 인위적으로 재편·장악함으로써 내년 총선 승리와 통치 기반의 토대 구축을 시도하겠다는 음험한 책략이다"고 참여정부의 언론정책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또 특정 언론과 지나치게 대립각을 세우는 것도 그 본질을 떠나 곱지만은 않은 모습이다. 이번 소송을 계기로 일부 언론사와의 불편한 관계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 대통령은 지난 2일 "우리사회에 중요한 것은 공정한 의제를 발굴하고 이를 공론의 장에서 토론하고, 결과를 수렴하는 공동체의 기본가치"라면서 "이 같은 수렴기능을 제대로 해야할 언론이 그 역할을 못하고 있다"며 언론을 질타한 바 있다. 이날 노 대통령은 "언론은 다른 부분으로 평가 되서는 안 되며, 이미 법이 있으므로 법을 단호하게 집행해야 한다"며 "원칙을 가지고 당당히 대응하는 것이 시민적 참여주의를 지향하는 시대의 책임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이번 소송 제기는 구두적 언급을 뛰어 넘은 것이고, 해당언론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그 파장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이다. 한국기자협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이 신문사를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낸 것은 자칫 언론 자유를 위축시키지 않을까 우려되며 우리는 법원이 이 사건을 공정하게 판결할지 주목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협은 언론에 대해서도 "이번 사건을 계기로 사실관계를 정확히 확인해 오보 또는 `부풀리기식`, `편파` 보도 등으로 국민의 신뢰를 잃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어쨌든 노 대통령의 이번 소송은 진행형의 문제로 불똥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이번소송을 이유로 현직 대통령이 법정에서 진술하는 일이 벌어질 것인지 여부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보다는 청와대와 야당과의 정면대립으로 인한 정치적 공방으로 국정운영 여력이 소모적으로 소진될 것이란 우려가 부담스러운 게 현실이다.
2003.08.13 I 김진석 기자
  • 盧, 김문수의원과 4개언론 상대 30억 손배소송(상보)
  • [edaily 김진석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장수천 사업과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을 제기한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과 이를 보도한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사를 상대로 30억원의 손해배상소송을 12일 서울지방법원에 제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 대통령이 김 의원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액은 10억원이며 4개 언론사에 대해서는 각각 5억원씩이다. 현직 대통령이 현직 국회의원과 언론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노 대통령이 12일 오후 2시 서울지방법원에 김문수의원과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사를 상대로 장수천 사업등과 관련해 근거없는 사실을 보도한데 대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소송의 배경`에 대해 "노 대통령이 근거없는 보도로 인해 대통령직을 수행하는데 피해를 끼쳤다고 판단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이번 소송과 관련 인지대 등 제반 비용은 대통령의 사비로 썼다"며 "소송 대리인인 법무법인 덕수를 통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소송의 담당 변호사는 이돈명, 김형태, 이정희, 송호창, 윤영환 변호사등 5명이며, 소송에 따른 인지대만 1105만5천원이 소요됐다고 윤 대변인은 전했다. 윤 대변인은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사`만 소송의 대상이 된데 대해 "가장 왜곡의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기준으로 판단했다"며 "추후 타 언론사로의 소송 확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소장에서 "김문수 의원이 근거없고, 사실과 전혀 다른 허위 내용으로 명예훼손 행위를 계속했고, 해당 언론사들도 이렇다 할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 김 의원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해 명예에 큰 손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장수천` 사업관련 보도 이외에도 경남 김해시 진영읍 토지 소유 문제를 비롯해 이기명씨 소유 용인 토지 문제, 형 건평씨 소유의 거제국립공원내 토지 특혜 의혹 등에 대해서도 소장을 통해 반박했다.
2003.08.13 I 김진석 기자
  • 盧, 김문수의원과 4개언론 상대 30억 손배소송
  • [edaily 김진석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한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과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 사장을 상대로 30억원의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노 대통령이 김 의원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액은 10억원이며 4개 언론사에 대해서는 각각 5억원씩이다. 현직 대통령이 현직의원과 언론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노 대통령이 이번 소송 제기로 법정에 나와 진술하는 초유의 일이 벌어질 것인지 여부도 관심을 끌고 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노 대통령이 12일 오후 2시 서울지방법원에 김문수의원과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사를 상대로 장수천 사업등과 관련해 근거없는 사실을 보도한데 대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이번 소송과 관련 인지대 등 제반 비용은 대통령의 사비로 썼다"며 "소송 대리인인 법무법인 덕수를 통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소장에서 "김문수 의원이 근거없고, 사실과 전혀 다른 허위 내용으로 명예훼손 행위를 계속했고, 해당 언론사들도 이렇다 할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 김 의원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해 명예에 큰 손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2003.08.13 I 김진석 기자
  • 청와대, 악의적 보도 곧바로 법적소송
  • [edaily 김진석기자] 청와대는 11일 앞으로 비방보도가 명백한 언론보도에 대해서는 언론중재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하는 등 법적 대응을 강화키로 했다. 이날 `청와대 브리핑`은 "비판의 범위를 넘어서는 비방의 목적이 분명한 악의적 보도는 언론중재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소송을 제기하거나 언론중재위 청구와 별도로 민·형사상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는 국내언론비서관실 방침을 전했다. 이같은 조치는 최근 청와대의 거듭된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대통령 및 비서실을 겨냥해 정확한 사실확인 없이 악의적으로 비방하는 보도가 급증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브리핑`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이날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월간중앙 등 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서울지검에 명예훼손에 따른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동아일보의 경우 7월1일자 `김영완씨 도난채권 거래자 올 3월 청와대 수사민원` 제하의 보도 관련으로, 조선일보는 7월4일자 `내부정보 누설자 2-3명 압축` 기사로, 중앙일보는 7월28일자 `신계륜, 박범계 경질 건의` 기사로, 월간중앙은 4월호에 실린 `대통령 민정수석 작성 노무현 인사파일` 기사 내용을 문제로 삼았다. 청와대는 이에 앞서 문화일보가 6일자로 보도한 `청와대 선물 베게 특별제작` 제하의 기사와 관련, 문재인 민정수석 명의로 취재기자 2명을 지난 8일 서울지검에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등 모두 5건의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다.
2003.08.11 I 김진석 기자
  • 문재인 수석 "마구잡이 비난말라"..언론보도 반박
  • [edaily 조용만기자] 양길승 부속실장 향응파문에 대한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조사결과 발표와 관련, 언론이 은폐의혹과 거짓말 주장을 제기하는 가운데 조사발표의 당사자인 문재인 민정수석이 언론보도를 조목조목 반박하는 글을 e메일로 보내 또 다른 파장이 예상된다. 문 수석은 청와대 비서실 직원들에게 보낸 e메일에서 논란을 빚고 있는 4월 술자리 비공개와 대통령 고교동기의 합석 등에 대해 해명하고 이를 은폐나 거짓말로 몰아가는 언론보도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또 휴대폰을 이용한 무리한 취재관행과 아전인수식 보도태도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다음은 e메일 전문. `양실장 관련 은폐, 축소, 부실조사 의혹에 대한 민정수석의 견해` 이번 기회에 다함께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양 실장 문제에 대해 청와대가 어디까지 밝혀야 하는 걸까요? 이렇게 묻게 되는 것은 국민의 알권리 못지 않게 개인의 사생활과 사적 비밀도 최대한 보호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판단이 보다 수월할 것으로 보이는, 대통령의 동기가 술자리에 참석했다는 부분부터 생각해 봅시다. 그가 무언가 잘못을 했다면 모를까 단지 참석만 했을 뿐이라면 신상이 공개되어 무슨 큰 의혹이라도 있는 것처럼 구설수에 휘말릴 아무런 이유가 없습니다. 보호받아야 할 그의 사생활이고 사적 비밀이기 때문입니다. 대통령의 동기라 하더라도 공직자가 아닌 사인인 이상 그 점에 있어서 일반인과 다를 바가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언론이 이런 문제에 대해 아무런 분별이 없는 것이 우리의 실상입니다. 정○○씨의 경우 뒤늦게 연락을 받고 와서 30분 가량 참석하였다가 돌아간 사실이 전부임을 언론 스스로 확인하고서도 그가 어떤 사람인가 파헤치고 그의 참석 자체가 무슨 큰 의혹인 것처럼 마구 써대지 않았습니까? 명백한 사생활 침해이고 명예훼손 아닙니까? 그런 터에, 언론이 분별해서 보도하지 않는 터에, 이것의 본질과 무관한 술자리 참석자들의 신상을 청와대가 어떻게 밝힐 수 있습니까? 저는 그런 이유로 대통령의 동기라는 분에 대해서도 다른 참석자들과 마찬가지로 성만 공개하면서,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름을 공개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것이 무슨 은폐입니까? 더구나 이○○씨의 경우 모든 언론이 조○○씨를 지목하고 있을 때 조○○씨가 아닌 이○○씨임을 제가 밝혔고, 언론은 그것을 단서로 이○○씨의 신상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은폐입니까? 저는 지금 오히려 참석자들의 성까지도 공개하지 않았어야 했다고 후회하고 있습니다. 양 실장 본인의 문제로 돌아가 봅시다. 먼저 분명히 밝힐 것은 양 실장의 술자리를 7월 9일 처음 보도한 `오마이 충북`은 술자리 자체의 문제는 지적한 바 없고, 오직 총선을 대비한 공·사조직 점검차원의 방문이 아니었냐는 의혹제기 차원으로 보도했을 뿐입니다. 그리고 당시 중앙언론들은 그 사실을 입수하고서도 기사거리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전혀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민정수석실은 참석자 중에 사건에 연루된 문제 있는 인물이 있어 계속 접촉할 경우 비호의혹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양 실장을 상대로 추궁한바, 양 실장은 그가 그런 인물임을 알지 못한 채 만난 것이라고 극구 해명하면서 앞으로는 일체 접촉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였습니다. 그래서 민정수석실은 처신에 각별히 유의토록 주의조치 하는 한편 비서실장께 그 사실을 보고하였는데, 이것이 1차조사 라고 불리는 경과입니다. 이것이 부실조사였고 미온적인 처리였다고 한다면 과연 그때 민정수석실이 그러한 상황에서 어떤 조치를 취했어야 한다는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당시 민정수석실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행위를 놓치지 않고 포착하여 비리예방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였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양 실장은 민정수석실이 문제삼았던 내용이 뒤늦게 언론보도되어 옷을 벗게 되었는데, 그가 금품수수와 청탁 등의 비리를 행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면 결과적으로 민정수석실의 문제제기 때문에 옷을 벗게 된 셈이어서 참으로 그에게 미안한 노릇입니다. 다음으로 4월의 술자리를 발표에서 제외하였다는 부분입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민정수석실의 조사는 양 실장이 제출한 사표수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고, 조사대상은 언론이 문제삼은 6월 28일의 술자리였습니다. 조사결과 우리가 나름대로 내린 결론은 이미 발표한 바와 같이 술값이 훨씬 더 많았고, 선물도 받았으며, 그 자리에서 청탁성의 부탁도 있었으나 그 이상으로 금품을 수수하거나 양 실장이 청탁이나 비리 등을 실행한 사실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양 실장이 그에 앞서 4월에도 이○○씨를 만난 일이 있었으나, 술을 마시러 갔다가 가볍게 인사를 나눈 정도였을 뿐 청탁은 없었으며, 사건이 수사 또는 내사되기 전이어서 청탁이 있을 상황도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조사된 내용 중 이른바 `징계사유`에 해당할 내용만 정리하여 인사위원회에 부의하였고, 사표수리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인사위원회가 끝난 즉시 언론에 그 사실과 함께 인사위원회에 올린 보고서 그대로를 공표하였습니다. 거듭 말하거니와 그 날 저는 별도의 보도자료를 만들지 않고 인사위원회에 올린 보고서를 그대로 기자들에게 배포하였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4월의 술자리는 그 보고서에서 빠졌는데, 물론 `징계사유`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는 양 실장의 사표를 수리하는 마당에 그 사유가 아닌 부분은 언론에 공표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앞에서 말한 `보호받아야 할 사생활` 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양 실장도, 다른 참석자들도 잘못이 아닌 행위가 공표되어 논란에 휩싸일 이유가 없습니다. 실제로 4월의 술자리가 알려지자 일부 언론은 청남대 반환행사 전날 밤 부속실장이 청남대를 떠나 술을 마신 것 자체가 문제라는 식으로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양 실장이 반환행사 준비 차 전날 먼저 청남대에 내려갔지만 일과후의 밤 시간은 그의 자유시간인데 무슨 당치 않은 비난입니까? 그런 식으로 언론이 사생활 보호를 주의하지 않는 풍토 속에서 언론에 공표할 때 미리 주의하지 않으면 누가 주의하겠습니까? 물론 저는 민정수석실의 조사결과가 반드시 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수사기관도 밝혀내지 못하는 일이 많은데, 하물며 수사권한이 없는 민정수석실이겠습니까? 그래서 민정수석실은 사표수리와 별도로 조사한 정보를 검찰에 그대로 알려주었습니다. 그러니 혹여 무언가 더 있다면 그것을 파헤치는 것은 이제 수사기관의 몫입니다. 언론도 마찬가지입니다. 공표된 내용만으로 만족하지 못한다면 더 취재해서 보도하는 것은 언론이 스스로 할 몫입니다. 베갯잇에 봉황자수가 있었다느니, 대선 유세 때도 양실장이 이○○씨를 만난 일이 있니 하며 터무니없는 보도를 하지말고 말입니다. 민정수석실의 조사결론이 옳은지는 두고 볼 일입니다만, 만약 그 결론과 달리 금품수수나 청탁실행 등의 비리행위가 드러난다면 당연히 민정수석실이 비판받을 수 있겠습니다. 조사권한과 능력이 충분한데도 부실조사가 되었다면 문책이 논의될 수 있겠고, 조사권한과 능력이 부족한 것이 문제라면 강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한지 논의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제가 민정수석실의 조사결과에 따라 판단하고 처리했다는 것을 전제해 놓고 보면, 축소니 은폐니 하는 비난은 당치 않습니다. 설령 앞에서 말한 저의 견해가 옳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견해의 옳고 그름을 놓고 비판하여야지, 제가 마치 어떤 의도를 가지고 축소·은폐한 양 마구잡이로 비난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왕 언론의 사생활 보호를 말했으니 기사 아닌 취재과정의 사생활보호에 대해서도 한마디 보태겠습니다. 저는 휴대폰 전화를 직접 받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자들의 전화를 직접 받게 되는데, 그 때문에 일을 제대로 할 수 없을 때도 적지 않습니다. 어쩔 수 없는 일이거니 하는데, 문제는 새벽부터 밤12시가 넘도록 까지 전화를 하는 것입니다. 특히 아침에 출근준비를 하는 시간에 걸려오는 여러 통의 전화는 참 곤란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기자들은 그런 시간에 전화하는 것을 미안해합니다. 그러나 아무 때나 전화할 권리가 있다는 식으로 행세하는 기자들도 일부 있습니다. 지난 31일 저는 휴가중이었고 저의 휴가일정은 언론에 보도도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날 새벽 7시경 아직 잠에 빠져 있을 때 전화가 걸려왔고 옆에서 잠을 자던 아내가 전화를 받고는 제가 잠을 자고 있어서 바꿔 줄 수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그 기자는 화가 나서 "휴가중인 문재인 민정수석은 양 부속실장에 대한 보도가 나간 지난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서 깊은 잠에 빠져 있는 상태였고, 전화를 받은 부인은 `잠을 자고 있어 전화를 받을 수 없다` 고 했다" 고 기사를 썼습니다. 저는 그때 집에 있지 않았고 수안보에 있었습니다. 그 기자는 "향응파동 속에 민정수석실은 휴가다, 한마디로 도덕적 해이에 빠졌다"고 결론을 내렸는데 다른 언론들은 민정수석실에서 사정팀까지 여러 명 청주에 내려가서 조사를 하고 있다고 오히려 조사상황을 선정적으로 보도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잠들어 있던 휴가일 새벽에 기자의 전화를 받지 않은 제가 잘못입니까, 그 때 전화한 기자가 미안해야 할 일입니까? 취재할 때도 남의 사생활에 좀 신경 써 달라고 주문한다면 지나친 요구입니까?
2003.08.09 I 조용만 기자
  • (스케치)고 정몽헌회장 빈소 표정⑤
  • [edaily 박영환기자] ○…4일 오후 들어 정몽헌 회장의 빈소가 마련된 아산병원 장례식장에는 고건 국무총리와 김부겸 무소속의원, 이부영 무소속의원, 한화갑 민주당전대표, 류장선 서강대학교 총장 등이 잇달아 빈소를 방문해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빈소를 방문한 인사들은 하나같이 남북관계의 해빙에 기여한 정 회장의 죽음에 대해 애도를 표시하면서 "고인의 죽음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훼손되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오후 5시 45분경 수행원들과 함께 빈소를 방문한 고건 국무총리는 고인의 명복을 빈 뒤 소감을 묻는 질문에 대해 "불행한 소식을 듣고 안타까웠다"고 운을 뗐다. 고건 총리는 이어 "고인이 추진해온 남북사업은 고인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차질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일부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통합연대 김부겸 의원도 고인의 죽음에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에 "한사람을 희생양을 만들고 하는 이런 분위기는 그쳐야 할 것"이라고 말해, 최근의 특검수사 등과 관련한 불만을 간접적으로 토로했다. 한나라당 탈당후 신당 창당을 추진하고 있는 무소속 이부영 의원도 "뭐라고 애도의 뜻을 표시해야 할지 모르겠다"면서 "공인의 유지를 받들어 남북협력사업이 계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밖에 류장선 서강대학교 총장도 "정주영 명예회장이 살아있을 당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회고한 뒤 "정몽헌 회장의 희생을 통해 남북관계가 진전돼서 민족이 하나가 되는 날이 하루빨리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2003.08.04 I 박영환 기자
  • (증시조망대)경기지표 자체보다 해석이 중요
  • [edaily 안근모기자] 지표가 시장의 심리를 바꿔놓기도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의 심리가 지표의 질을 규정한다. 관심이 집중됐던 2분기 어닝시즌에서 우리는 일단 지표의 질보다 그 것을 변덕스럽게 해석하는 심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어닝시즌에서 경기지표로 바통이 넘겨진 이번주 증시도 그 연장선에 있는 지 모른다. 지난주 20일선의 견고한 지지를 확인했고, 이번 주에는 대체로 개선된 경기지표 발표가 예상되는데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방향성에 대한 확신 없이 `증시 변동성이 커질 것 같다`고만 예측하고 있는데, 그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경기선행지수가 3개월 연속 상승하고, 신규실업수당 신청건수가 기준치 아래로 떨어졌는데도 열광하지 않은 미국의 주식투자자들은 현 증시의 심리상태를 대변하고 있다. 한 달째 내리막길을 걸으며 종합주가지수와 괴리되고 있는 등락주선(ADL:advance decline line)의 선행성을 예로 들어 시세의 노화(老化)를 지적하는 기술적 분석 전문가(삼성증권 유승민 연구위원)도 있다. 하지만, 그동안의 기간조정이 충분했다고 여길만큼 증시주변의 유동성과 기대감이 강하게 살아 있다면, 다시금 경기지표의 불충분한 대목을 무시할 수도 있다. 전기비냐 전년동월비냐, 원지수냐 계절조정치냐, 선택은 시장의 마음에 달려 있다. 지난 주말의 뉴욕증시는 다시금 살아나려는 낙관의 불씨를 보여줬다. 냉담했던 전날과 달리 "광범위한 수준에서 지표가 호전되고 있는 것은 의심할 나위없는 사실이며, 최근의 증시는 지난 4년동안 가장 긍정적인 모습"이라는 흥분의 목소리(앤더슨&스투르딕의 투자전략가 켄트 엥겔케)가 터져나왔다. 감탄사가 이어질 것인가, 탄식이 되살아날 것인가. 내일 통계청이 발표할 6월 산업활동동향(경기선행지수와 재고순환)이 주초반 증시를 이끈 뒤, 주후반에는 7월 수출입동향(수출증가율 및 자본재 수입증가율)이 미국의 신규실업수당 신청건수 및 2분기 GDP와 함께 증시 방향성을 규정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시각 금요일밤의 제조업 ISM지수(기준선 50 및 시장 기대치 51.8 상회여부)는 박스권 기간조정을 끝낼 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종잡을 수 없는 심리가 시장을 잠시 지배하고 있지만, 매우 중요한 시기에는 결국 지표가 심리를 규정한다. 계절성과 불규칙성을 감안하더라도 부인할 수 없는 지표의 개선이 나타난다면, 지친 투자자들은 새로운 에너지를 얻을 것이다. 증권사 데일리 -교보: 주초 예상되는 재상승 움직임에 몸을 실어야 -서울: 경제지표 개선 예상..방향성은 `랠리 연장`쪽으로 가닥 가능성 -메리츠: 외국인, 비(非)IT 매수 확산하는 가운데 매수강도 강화 가능성 -대우: 수출개선 가능성..변치 않을 색깔은 전기전자 업종 -대신: 짧고 좁은 폭의 등락장세는 추가상승 위한 에너지 축적과정 -동원: 박스권 탈출의 조건..금리안정 선행지수 ISM제조업지수 -동부: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반등여부가 중요 -굿모닝신한: 핵심지표 발표될 주중반 이후 방향성 모색 -LG: 경기지표 개선 예상되나 호재 수용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브릿지: 하방경직성 유지..거래소보다 코스닥에 관심 -동양: 하방경직성 기대 높으나, 조정 마무리 근거는 미약 -한양: 20일선 하회시 실적호전주 경기민감주 저가매수 전략 -대투: 690선 수준 하락시 저점매수..전고점 근접시 단기매도 -우리: 박스권 지속..종목별 활발한 움직임 예상 -신영: 일시적 수급주체 부재와 시세확산 마무리..지수조정 연장 가능성 조간신문 ◇헤드라인 -경향: 작년 조세부담률 사상최고..납세자 "稅고통 허리휜다" -동아: 제조업 노동생산성 3% 증가..임금은 11%나 올라 -세계: 현대차 노사대립으로 파행..생산·수출이 무너진다 -조선: "제조업이 무너진다"..고임금·분규·친노정책 환멸 -한국: 핵 폐기장, 현금보상 논란..정부, 위도주민위해 법개정 추진 -한겨레: 핵위기 넘어 평화로 가자..정전 50돌 평화대회 선언문 -매경: 주5일근무제 "국회가 앞장서 결단 내려야" -서경: 현대차 해외공장도 스톱..한달간 1조3000억 생산차질 -한경: 현대차 해외공장도 가동 중단..러시아 이집트 등 올스톱 ◇주요기사 -5대그룹 내부거래 되레 늘어..삼성 88조로 43% 차지 -삼성독주 갈수록 확대..18개 기업집단 총 순익의 58% -노동부, 자발적 장기실업자도 실업급여 지급추진 -서울 새입주아파트 매매가, 평당 1000만원 첫 돌파 -6월 카드 신규발급 32% 급감..5월보다 25만장 줄어 -카드회사 전환사채 모두 팔렸다 -우리은행 "국민 폐쇄점포 사겠다" -금융권, 임금피크제 도입 공식논의 -검찰, 재벌 2·3세 상대 거액사기 포착..전 외국계은행원 구속 -"연말까지 경기회복 힘들다"..기업인·연구소장 긴급인터뷰(한경) -美 경기회복 청신호..실업↓내구재주문↑(매경) -한은 금고엔 금보다 돈 수북..돈은 12조, 금괴는 4.5톤 불과 -경제부총리 "부처 국장급 30%이상 이공계출신 발탁" -삼성전자, 50나노급 반도체 기술 개발 -LG화학, 中 텐진에 PVC공장 증설 -안연구소, 윈도 보안 주의보 발령 -팬택 부회장, "연내 LG잡고 2위 오른다"(매경) -온라인 광고시장 부활..美 대기업 오프라인서 눈돌려 -사내 비리신고 핫라인설치 증가..포스코·LG 등 "비리와 전쟁"(조선) -최규선 특종, 뉴스위크 편집장 피소..자서전대필자 "허위보도로 명예훼손" -최병렬-이회창 회동.."앙금 풀기엔 아직…" -위도 보상 노린 전입 급증..주민 석달새 22% 늘어
2003.07.28 I 안근모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