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26건

(르포)동탄, 환경은 `好` 교통은 `不好`
  • (르포)동탄, 환경은 `好` 교통은 `不好`
  • [화성 동탄=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서울 강남에서 동탄신도시 입구인 기흥IC까지 걸린 시간은 40분. 다만 기흥IC에서 동탄 시범단지까지 20분가량이 더 걸렸다. 신도시 공사차량과 기흥, 동탄 주민차량이 몰리면서 기흥IC에서 동탄신도시로 드나드는 길이 병목현상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병목 현상은 기흥IC가 현재보다 5km 아래 동탄신도시 인근으로 옮겨지면 해소될 것이란 게 한국토지공사 측의 설명이다. 또 토공 측은 교통난 해소를 위해 2008년까지 간선버스 17개 노선, 광역버스 20개 노선, 병점역 연결 노선 250회 이상을 배치해 교통 문제를 해결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설명에도 불구하고 입주민들은 당분간 교통 불편을 감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입주에 맞춰 개통될 예정인 주요 도로 7곳 가운데 4곳만 개통됐고, 서울 양재로 연결되는 오산-영덕(13.6km)구간도 작년 10월에 착공돼 2008년 말이나 돼야 준공이 되기 때문이다. ◇화성 동탄신도시, 삼성전자 등 자족도시 조건 갖춰 동탄신도시 초입에는 삼성전자 기흥반도체 공장이 자리 잡고 있다. 동탄신도시가 베드타운이 아닌 자족신도시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국토지공사 관계자는 "동탄신도시는 삼성전자 산업단지 외에 총 29만 여평에 첨단 벤처 및 연구단지가 조성되고 이곳에 삼성반도체, 일동제약, 3M 등 60여개 업체가 입주를 기다리고 있어 자족 기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 기흥 공장을 지나면 동탄신도시 시범단지가 나온다. 시범단지는 지난 1월 말부터 입주를 시작해 집들이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 시범단지는 이달 단지 규모가 가장 큰 월드메르디앙, 반도보라빌 1473가구를 마지막으로 입주가 끝난다. 이미 시범단지 내 금강스위첸, 롯데·대동 다숲캐슬, 현대 아이파크, 포스코 더샵, 삼성래미안, 삼부르네상스, 한화꿈에그린, 우남퍼스트빌, 금호어울림 등 9개 단지 5100여가구는 집들이를 마쳤다.  ◇동탄신도시 시범단지 이달 중 입주 마무리  시범단지에 이어 2차 단지 6400가구는 오는 9월, 3차 단지 1만9700가구는 내년 3월부터 각각 입주에 들어간다. 현재 시범단지 입주에 맞춰 각급 학교도 문을 열었고 버스도 운행을 시작해 도시다운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시범단지에서 이제 막 터파기 작업이 한창인 곳이 눈에 띈다. 이 곳은 동탄신도시의 심장부인 복합단지 메타폴리스 건설 현장이다. 공사 펜스로 둘러싸인 이 곳은 최고 66층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 6개동이 2010년까지 지어진다. 동탄신도시는 그린신도시를 표방할 정도로 쾌적성이 단연 돋보인다. 한국토지공사 관계자는 "동탄신도시는 ㏊당 135명을 수용하는 저밀도 개발과 40% 이상에 이르는 높은 녹지율, 11만3000평에 달하는 센트럴파크가 들어서 차세대 친환경 도시의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그린신도시 표방, 월드·반도 등 각 단지별 조경, 편의시설 돋보여 이 같은 그린신도시 테마는 각 단지별 조경, 편의시설에도 녹아 있다. 시범단지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월드메르디앙. 반도보라빌은 주차장을 지하로 들이고 지상에는 공원과 녹지를 조성한 덕에 여유롭게 보인다. 또 동간 거리가 적당히 넓어 시원시원하고 공간 구성이 안정된 느낌을 준다. 단지 내 보행자 전용 통로를 각종 조경시설(야외공연장, 분수 등)과 연계해 걷기 좋게 만든 것도 눈에 띈다. 이밖에 4층까지 대리석을 올린 저층부 마감과 100억원을 들여 조성한 조경 식수도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다. 월드메르디앙. 반도보라빌의 또 다른 강점은 주민 편의시설. 지상에서 바깥이 훤히 보이는 누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도록 하는 등 주민편의성을 높였다. 또 휘트니스센터, 영화관, 카페테리아 등의 다양한 시설을 갖춰 단지 내에서 모든 여가 생활을 가능토록 했다. 현재 동탄신도시 아파트 시세는 평당 1300만~1500만원 수준에 형성되고 있다. 3년 전 분양가와 비교해 보면 평당 600만~700만원 가량 올랐다. 전매 제한이 없지만 나오는 매물은 드물다는 게 현장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이는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가 이뤄질 경우 올해부터 차익의 50%를 양도세로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하한가에 맞춰 다운계약서를 작성, 양도세를 줄이는 편법적인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귀띔했다. 
2007.05.08 I 윤진섭 기자
달콤한 칵테일…불빛 가득한 야경…홍콩의 밤에 취하다
  • 달콤한 칵테일…불빛 가득한 야경…홍콩의 밤에 취하다
  • ▲ 별이 쏟아지는 듯한 착각이 드는 화려한 조명 밑에서 어느새 취기가 돈다. 시내 한복판의 술집 골목인 란 콰이 퐁(lan kwai fong)은 홍콩의 밤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가득하다.[조선일보 제공] 볼 데도 많고 먹을 데도 많고, 갈 데도 너무 많은 홍콩. 홍콩섬의 경우 센트럴(Central)을 중심으로 애드미럴티, 란 콰이 퐁, 소호 등이 대개 택시로 3000원 정도 밖에 들지 않는 가까운 거리라 부담 없이 다닐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쇼핑’ 그리고 ‘한 잔’을 키워드로 홍콩을 누볐다. 출장 업무를 끝냈다면, 홍콩의 밤 거리와 유럽풍의 자유 분방한 여유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술집부터 섭렵해보자. 영국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가벼운 분위기에서 술을 마실 수 있는 펍(pub) 스타일의 술집이 눈에 띈다. 가게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개 할인을 해주는 ‘해피 아워(happy hour-오후 5, 6시에서 9시까지)’에 주목할 것. ▣ 술집 천국 란 콰이 퐁(Lan Kwai Fong) 홍콩의 전형적인 술집 거리. 40~50홍콩 달러(5000~ 6000원)의 맥주 한잔 시켜놓고 죽 치고 앉아있어도 별로 눈치 주는 사람 없다. ↘ 위스키 프리스트(Whiskey Priest)_2~3명 정도 앉을 수 있는 작은 테이블은 야외까지 합쳐 겨우 7개 정도 밖에 안되지만 정통 ‘아이리시 펍’을 느끼고 싶은 사람들의 단골 명소다. 60여 가지 위스키를 갖췄으며 영국식 피시 앤 칩스(생선과 감자 튀김종류)를 맛볼 수 있다. 특히 위스키 프리스트 만의 ‘폭탄주’가 큰 인기인데, 기네스, 킬케니 등 아일랜드 맥주와 스카치 위스키를 약간 섞어 마시는 식(한국식 폭탄주를 생각하면 오산). 가격도 68~100홍콩 달러(8400원~1만2400원)등 일반 맥주 가격의 1.5~2배 정도지만 이미 입소문이 났다. 2869 0099 ↘ 럭스(Lux)_란 콰이 퐁 초입에 있는(반대 방향에서 내려 왔을 때는 란 콰이 퐁 끝자락) 대형 술집이다. 젊은이들 사이에선 ‘머스트 비지트(must visit)’ 장소로 꼽히고 있다. 캘리포니아 피트니스 센터가 있는 대형 건물 1층에 있는데 최근엔 외장 공사를 하고 있어 약간 어수선한 분위기긴 하다. 이 곳이 더 인기 있는 이유는 금요일과 토요일 밤 11시30분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댄스 타임이 있기 때문. 점심 세트 메뉴에서 98홍콩 달러(1만2500원정도) 정도면 3코스 식사를 할 수 있는데 각종 야채와 게살을 올린 샐러드가 신선하다. 30-32 다길라 스트리트(D’Aguilar Street) 2868 9538 IFC(홍콩역) 대형 쇼핑 센터인 IFC 꼭대기 층의 바(Bar)가 인기. ↘ 이솔라 바&그릴(ISOLA bar&grill)/레드 바(Red bar)_‘이솔라 바’는 IFC 빌딩 3·4에 위치한 이탈리안 레스토랑 겸 바.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야외 테라스 자리는 미리 예약을 해야 될 정도로 손꼽히는 데이트 장소다. 점심 세트 메뉴를 주문하면 218홍콩 달러(약 2만7000원정도)에 커피·디저트를 포함한 6코스 음식을 맛볼 수 있다. 2383 8765. 4층의 ‘레드 바’ 역시 인기. IFC 지도에는 3층이라고 표시돼 있지만 또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야 된다. 요즘엔 저칼로리 야채 위주 음식으로 웰빙 마니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칠레산 농어와 튀긴 새우 등이 구미를 당긴다. 항구를 바라보는 야경 때문에 인기기도 하지만, 낮에도 야외 카페가 꽉 찰 정도로 사람들이 바글바글하다. 8129 8882 애드미럴티(Admiralty) ↘ 페트루스(PETRUS)_아일랜드 샹그릴라 호텔 맨 위층(56층)에 위치한 와인 바 겸 프렌치 레스토랑. 약간 돈 좀 쓰고, 분위기 잡을 때 오면 괜찮다. 호텔 담당자측은 “홍콩에서 가장 좋은 와인은 모두 갖고 있다”고 자랑하기 바빴다. 10가지 이상의 프랑스 정통 치즈와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다는 평. 점심은 보통 310~350홍콩 달러로 그다지 참을 만 하지만, 저녁은 800~950홍콩 달러로 조금 부담스러운 편이다. 2820 8590 침사추이(Tsim Sha Tsui) ↘ 아쿠아(AQUA) 바(www.aqua.com.hk)_지하철 침사추이역에 내린 뒤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페킹 로드(Peking Road)의 대형 펜트 하우스 ‘원 페킹(One Peking)’ 29층, 30층에 위치해 있다. 단, 최근 무척 유명해졌기 때문에 예약을 하지 않으면 좋은 자리 잡기 힘들고, 덕분에 사람들도 너무, 너무, 너무 많아 조용한 분위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겐 추천했다가 괜히 욕먹기 쉬운 곳. 음료수 한잔에 보통 120홍콩 달러(1만4800원 정도)는 넘는다. 28층에 위치한 광동식 음식점 후통(Hutong)에 분위기를 낸 뒤 올라가 술 한 잔 하는 것도 현지인들의 추천 코스! 3427 2288 ▣ 쇼핑 천국 한국행 비행기 타기 전 쇼핑 나설 분들, 기념품 산다고 벼룩 시장이나 야시장을 뒤지는 취향이 아니라면, 기왕 ‘사모님’이나 ‘마나님’ 혹은 스스로를 위한 선물을 사려는 분들은 눈요기도 할 겸 명품 가게에 손때를 마구 묻혀주고 와야 재미다. 맛집으로 소문난 곳도 대체로 쇼핑센터 주위에 있는 터라 말 그대로 ‘원스톱 쇼핑’이다.  ▲ 쇼핑 1번지 랜드마크 1층에 위치한 "루이 비통"매장↘ 랜드마크(센트럴)_두말 할 필요없는 쇼핑 공간. 지하부터 4층까지 전세계 내로라 하는 브랜드는 대개 입점했다. 디오르, 펜디, 구찌, 랑방, 루이 비통에서 보테가 베네타, 마놀로 블라닉, 마르니, 다이앤 폰 퍼스텐버그 등 하루에 다 보기도 힘들 정도인 90여 가지 고급 브랜드가 총망라돼 있다. 유사한 스타일의 쇼핑 건물인 ‘프린세스 빌딩’이 바로 맞은 편에 또 있다. 버버리와 프라다, 돌체 & 가바나 등을 구경할 수 있는 ‘알렉산드라 하우스’, 주로 아르마니 전체 라인을 선보이는 ‘차터 하우스’ 등이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한국보다 10~15% 정도 싸다. 음식점 중에선 알렉산드라 하우스 지하에 있는 ‘페킹 가든’(Peking Garden·2526-6456)이 인기. 베이징 덕 맛이 일품이다. ↘ 퍼시픽 플레이스(애드미럴티·www.pacificplace. com.hk)_아일랜드 샹그릴라, 콘래드, JW 매리어트 호텔과 바로 연결돼 있는 대형 쇼핑몰이다. 호텔에서 잠자고, 낮에 내려와 쇼핑하고, 지하에서 밥 먹으면 하루 종일 시간이 후딱간다. 샤넬, 클로에, 에르메스 등 고가 제품부터 자라, 망고, 스포막스 등 중저가 숍까지 있어 폭 넓은 구미를 가진 쇼핑객을 위해 좋다. 3층에 위치한 셀렉트 숍인 조이스(Joyce)엔 존 갈리아노, 클로에, 이세이 미야케 등이 구비돼 있는데 인기 상품만 한자리에 모아둬서 인지 다른 숍 보다 사람들이 많았다. 1층 이탈리안 음식점인 그라파(2868-0086)와 타이 바질(2537-4682)은 상대적으로 싼 가격이라 지갑에 덜 미안하다. ↘ IFC(www.ifc.com.hk)_랜드마크를 차지하고 있는 고가품 가격에 놀라고, 퍼시픽 플레이스의 광대함에 놀란 사람들은 IFC로 오는 게 낫다. 공항으로 가는 익스프레스 기차역과도 연결돼 있기 때문에 쇼핑의 마지막 코스로도 애용된다. 2층에 발리, 지방시, 로베르토 카발리 등 고가 제품도 있긴 하지만 아녜스 베, FCUK, 자라 등 상대적으로 캐주얼한 제품들이 많은 편이다. 지미추, 미우미우 등 각종 제품을 섭렵하고 있는 셀렉트 숍인 ‘레인 크로포드’는 가장 잘 나가는 제품만 모아놨기 때문에 돌아다니기 힘들면 이 곳만 가도 쇼핑은 충분하다. ↘ 조이스 웨어하우스(Joyce Warehouse)_말 그대로 ‘창고’(warehouse)다. 일단 센트럴에서 80~100홍콩 달러쯤 택시비를 들여 가야할 정도로 멀고, 또 규모가 크지 않아 실망하기 십상. 하지만 명품 중독자라면 구미가 당길 장소다. 160만원 짜리 클로에 블라우스가 3분의 1도 채 안되는 가격인 50만원 정도, 그것도 5월이 지나면 또 10%쯤 할인을 해준다. 21층은 조이스 아웃렛이고, 27층은 막스마라, 10층에 모스키노, 안나 몰리나리 브랜드 등이 있다. 주소를 정확히 써가자. 일부 택시 기사중에선 잘 모르는 사람도 있다. 호라이즌 플라자(Horizon Plaza), 2 리 윙 스트리트(Lee Wing Street), 압 레이 차우(Ap Lei Chau). 2814-8313. ↘ 밀란 스테이션(Milan Station·센트럴)_중고 명품 가방을 파는 곳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루이비통 미니 린이나 샤넬 비아리츠 등 최신 상품도 한국보다 훨씬 싼 가격(미니 린의 경우 50만~60만원대)에 판매되고 있었다. 판매원은 다 진품이라고 강조했다. ▣ 그 외 가 볼만한 곳 ↘ 랜드마크 만다린 오리엔탈 스파(2132-0011)_쇼핑하다 다리가 퉁퉁 부었다는 사람, 다른 데서 지갑을 열지 않고 굳건히 지켰다는 사람, 최고급 스파에서 한번 사치를 부려보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스파를 시작하기 전에 조약돌 바닥을 걷는 풋 테라피(foot therapy)와 중국 약재향을 느낄수 있는 사우나 등 작은 시설부터가 색다르다. 2시간 코스가 15만~16만원 정도로 특급 호텔 치곤 가격이 저렴하다. ▲ "헐리우드 로드(Hollywood Road)"에 있는 재미있는 앤틱 숍↘ 할리우드 로드_전형적인 중국 앤틱숍이 몰려있는 거리. 우리나라 인사동 마냥 염주에서 각종 부처 조각상, 대형 도자기, 가구까지 길게 이어져 있다. 영국 인디펜던트 등이 홍콩에서 ‘반드시 가봐야 할 곳’으로 꼽았다. 외국 바이어나 파트너를 동반할 때 한번쯤 와봐도 괜찮은 곳이다. ▣ 어디서 잘까 ↘ 아일랜드 샹그릴라(www.shangri-la.com/hongkong/island/en/)_전형적인 특급 호텔. 좀더 고풍스럽고, 가족같이 푸근한 분위기가 장점이다. 침사추이, 센트럴 역과 지하철로 한 정거장(4홍콩 달러)이라 지역적인 잇점도 있다. 2877 3838 ↘ 란콰이퐁 호텔(www.lankwaifonghotel.com.hk)_3성급으로 일단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 주변 지역이 정말 서민적이라 약간 놀랄 수도 있지만 오히려 현지 스타일을 즐기고 싶은 외국인들에겐 인기라고. 주소는 No. 3 Kau U Fong, Central(커우 유 퐁, 센트럴) 2311 6280 ▲ "피크 룩아웃(Peak Lookout)"의 왕새우 튀김▣ 여행 Tip ◎ 공항에서 나오자 마자 오른쪽에 안내 센터가 있는데, 한국어로 된 관광안내서 겸 지도도 있으니 반드시 챙겨 오자. 자세한 건 아니지만 기본적인 맛집과 볼거리 등이 간략하게 정리돼 있어 일단 든든하다. ◎ 공항에서 시내까지 익스프레스 기차(홍콩섬까지는 1인당 100홍콩 달러, 카우룽반도까지는 90홍콩 달러)를 타고 30분 정도면 홍콩섬역에 닿는다. ◎ 홍콩 전경이 보고 싶다면 피크(Peak)에 가 보도록. 피크 트램(Peak tram·왕복 33홍콩 달러)을 타야 하는데, 관광 안내서에 나온 대로 따라 걷다간 정말 ‘동네 한바퀴’ 돌다 지친다. 퍼시픽 플레이스와 멀지 않으니 택시를 타는 게 낫다. 피크 옆에 있는 피크 룩아웃(Peak Lookout·www.thepeaklookout.com.hk·2849 1000) 식당은 뉴욕 타임스 등에서 ‘반드시 가봐야 할 곳’으로 꼽은 곳이다. ◎ 1홍콩 달러=124원 기준
  • 현대건설, 내달 3곳 1924가구 공급
  • [이데일리 남창균기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가 수도권에서 첫 선을 보인다. 내달 초 파주를 시작으로 오산, 용인 등 수도권 주요지역 3곳에서 총 1924가구를 공급한다.파주 당동 힐스테이트는 오는 27일 일산에서 견본주택 문을 열고 내달 초 청약접수를 받는다. 지상 10-18층 13개동 규모로 36평형 377가구, 49평형 192가구, 59평형 62가구 등 총 631가구로 구성돼 있다. 현대건설은 파주 첫 분양이라는 상징성을 감안해, 단지를 획기적으로 차별화 한다. 1만6000평 규모의 녹색공원을 조성하고, 주차공간도 100% 지하에 배치한다. 내달 중순에는 '오산 원동 힐스테이트'를 선보인다. 지상 19층 6개동 규모로 35평형 216가구, 40평형 108가구, 49평형 109가구 등 433가구로 이뤄진다. 수도권 전철 오산역과 경부고속도로 오산나들목이 인접해 서울 등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단지와 연접한 1만4000평 규모의 갈곶 근린공원과 단지내 600평 규모의 근린공원 등을 조성한다.5월말에는 용인시 상현동에서 중대형 860가구를 내놓는다. '용인 상현 힐스테이트'는 지상 19층 16개동 규모로 38평형 195가구, 48평형 405가구, 58평형 194가구, 64평형 58가구, 72평형 7가구, 84평형 1가구로 구성된다. 이 곳은 판교, 분당 등의 신도시와 연결되는 사통팔달의 입지에다 우수한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다. 견본주택은 도곡동 힐스테이트 갤러리 3층에 있다. 분양문의 : 1577-7755
2007.04.24 I 남창균 기자
  • (인사)대신증권
  • [이데일리 류의성기자]&nbsp;<승진>&nbsp;◇이사대우 ▲ 준법감시인 남시준 ▲ 신탁연금본부 배 활 ▲ 명동지점 장철원 ▲ 반포지점 이병주 ▲ 대치동지점 하창룡 ▲ 목동지점 남해붕 ▲ 영업부 이준우 ▲ 부천지점 강성호 ▲ 분당지점 김정식 ▲ 울산남지점 한양현 ▲ 광양지점 이관철◇ 부서장▲ 감사실 김성태 ▲ 인사부 이득원 ▲ 차세대시스템부 최명재 ▲ 기업분석부 문정업▲ 채권부 안경환 ▲ 법인영업부 박천원 ▲ WM기획부 정재중 ▲ Retail기획부 권용범▲ 리서치지원부 함성식 ▲ 주식부 김상익 ▲ PI부 박형규 ▲ 청담지점 강동근 ▲ 논현역지점 양은희◇ 지점장▲ 남대문지점 이장희 ▲ 신촌지점 조용현 ▲ 상계동지점 김원군 ▲ 역삼동지점 박현철▲ 일산지점 이병민 ▲ 염창동지점 정기동 ▲ 주엽지점 김완수 ▲ 평촌지점 조우진▲ 북인천지점 김태현 ▲ 진주지점 서용만 ▲ 동래지점 위호열 ▲ 여천지점 김영수◇ 부부장▲ 법인영업부 손귀연 ▲ 기업연금부 이영철◇영업점 부장▲ 종로지점 김의식 ▲ 명동지점 황현숙 ▲ 제기동지점 황종훈 ▲ 서초동지점 황태현▲ 반포지점 서상욱 ▲ 청담지점 문성진 ▲ 강남지점 황영운 ▲ 보라매지점 윤여준▲ 인천지점 김형태 ▲ 북인천지점 김동규 ▲ 동래지점 이동희 ▲ 해운대지점 박철홍◇ 차장▲ 감사실 고영조 ▲ 감사실 김용구 ▲ 기획실 강석원 ▲ 재무관리부 정성무▲ 총무부 이흥탁 ▲ 전산업무부 안상하 ▲ 차세대시스템부 강신호 ▲ 기업분석부 박강호▲ Retail지원부 김학철 ▲ 국제부 정성엽 ▲ 기업금융1부 박세웅 ▲ 기업금융2부 성주완 ▲ SF부 김동훈 ▲ 채권부 박천호 ▲ 법인영업부 장지남 ▲ 종로지점 장성자 ▲ 남대문지점 구자우 ▲ 중앙청지점 김상진 ▲ 명동지점 박경환 ▲ 창동지점 최철웅 ▲ 역삼동지점 이승영 ▲ 명일동지점 강준규 ▲ 반포지점 오영석 ▲ 선릉역지점 배대준 ▲ 방배동지점 황진명 ▲ 관악지점 이동우 ▲ 염창동지점 김영종 ▲ 염창동지점 김민재▲ 서산지점 김현태 ▲ 원주지점 김희준 ▲ 남인천지점 윤용광 ▲ 평촌지점 이상일 ▲ 오산지점 김송회 ▲ 안산지점 김태욱 ▲ 대구지점 서대식 ▲ 울산지점 박태영 ▲ 울산지점 김경민 ▲ 부산지점 곽상진 ▲ 복현지점 이순진 ▲ 복현지점 권기범▲ 울산남지점 윤선희 ▲ 구미지점 김승현 ▲ 목포지점 이성현 ▲ 서신동지점 고정율 ▲ 상무지점 윤형철◇ 과장▲ 감사실 정헌식 ▲ Compliance부 강근영 ▲ 기획실 천지철 ▲ 홍보실 공용학▲ 재무관리부 안수경 ▲ 총무부 이홍훈 ▲ 총무부 이윤배 ▲ 전산시스템부 우용국▲ 전산개발부 홍성동 ▲ 전산업무부 박준서 ▲ 투자전략부 성진경 ▲ 투자전략부 김용균▲ 기업분석부 양시형 ▲ 기업분석부 조윤호 ▲ 기업분석부 이동섭 ▲ 기업분석부 김강오▲ 기업분석부 양지환 ▲리서치지원부 안의정 ▲ WM지원부 장영희 ▲고객지원부 이영섭<전근> ◇ 부서장▲ Business기획부 이창화 ▲ 전산시스템부 양창현 ▲ 전산업무부 서동수 ▲ 국제부 조주연 ▲ M&A금융부 김홍남 ▲ SF부 유광조 ▲ 파생상품영업부 배영훈 ▲ 자금부 김주영 ▲ 파생상품운용부 전성대 ▲ 법인자산영업부 민영기▲ 수도권법인사업부 박찬일 ▲ Wholesale기획부 오홍진 ▲ 기업연금부 윤원철 ▲ 신탁부 윤옥엽 ▲ WM지원부 노승범 ▲ 고객지원부 한태욱 ▲ 동부법인사업부 정칠근 ▲ 서부법인사업부 김경근◇ 지점장▲ 서대문지점 박형근 ▲ 중앙청지점 김창욱 ▲ 전자랜드지점 우희락 ▲ 마포지점 이홍만▲ 창동지점 신병준 ▲ 하계동지점 육철한 ▲ 홍제동지점 박성희 ▲ 장안동지점 안연희▲ 구리지점 김상조 ▲ 영동지점 이지열 ▲ 무역센터지점 신인식 ▲ 영등포지점 신경우▲ 방배동지점 신경식 ▲ 시흥동지점 이현식 ▲ 보라매지점 방연주 ▲ 관악지점 박진규▲ 송탄지점 이상봉 ▲ 인천지점 류광일 ▲ 원주지점 박병화 ▲ 오산지점 김창빈▲ 안산지점 이홍윤 ▲ 부전동지점 유석종 ▲ 창원지점 안순정 ▲ 남천동지점 이정화▲ 광주지점 고중석◇ 사무소장▲ 동경사무소 이현수◇ 부부장▲ 파생상품영업부 김두환 ▲ 수도권법인사업부 최재원 ▲ 동부법인사업부 김상경◇ 영업점 부장▲ 남대문지점 임창환 ▲ 중앙청지점 송병용 ▲ 전자랜드지점 오민수 ▲ 강북지점 김창원▲ 서초동지점 류완선 ▲ 대림동지점 황광복 ▲ 목동지점 강화랑 ▲ 목동지점 이용주▲ 목동지점 송철의 ▲ 포항지점 한응식 ▲ 운암동지점 박창우◇ 차장▲ WM기획부 김종선 ▲ WM지원부 양광석 ▲ WM지원부 최규진 ▲ WM지원부 양학준▲ M&A금융부 이성욱 ▲ M&A금융부 정신욱 ▲ M&A금융부 진승욱 ▲ SF부 김태훈▲ SF부 손성우 ▲ 파생상품운용부 김영암 ▲ 파생상품운용부 이재봉 ▲ 법인영업부 김정환 ▲ 법인영업부 박상구 ▲ 동대문지점 조정형 ▲ 중앙청지점 박찬정 ▲ 신촌지점 신영현 ▲ 명동지점 홍석훈 ▲ 명동지점 백근영 ▲ 전자랜드지점 김현진 ▲ 상계동지점 정 헌&nbsp;▲ 제기동지점 이호재 ▲ 강북지점 김명심 ▲ 홍제동지점 남재은 ▲ 역삼동지점 황은호 ▲ 대치동지점 황현숙 ▲ 명일동지점 김대환 ▲ 선릉역지점 양승국 ▲ 영업부 송인수 ▲ 영업부 채국진 ▲ 영등포지점 최선옥 ▲ 광명지점 천동찬 ▲ 대림동지점 이연미 ▲ 보라매지점 우수영 ▲ 화곡동지점 변상묵 ▲ 김포지점 심병량 ▲ 송탄지점 박태웅 ▲ 인천지점 김동영 ▲ 부천지점 김성태 ▲ 평촌지점 원종수 ▲ 오산지점 윤치영 ▲ 대구지점 김원태 ▲ 광양지점 문병렬 ▲ 광양지점 노재동 ▲ 화정동지점 하경호 ▲ 서방지점 김종래 ▲ 나주지점 전재현◇ 과장▲ 감사실 정재훈 ▲ 홍보실 오병화 ▲ 금융서비스개발부 신동호 ▲ Business기획부 장준필 ▲ Business기획부 신제현 ▲ WM기획부 김송호▲ WM지원부 최대호 ▲ WM지원부 박동일 ▲ WM지원부 박진철
2007.04.01 I 류의성 기자
계란, 한바구니에 담자
  • 계란, 한바구니에 담자
  • [조선일보 제공]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재테크시장에는 수많은 투자 격언이 떠돈다. 많은 투자자들이 격언을 불문율처럼 신봉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섣부르게 격언에 따라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다. 현실과 동떨어진 격언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에 ‘계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분산 투자 격언이 있다.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위험을 적절히 분산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분산 투자원칙이 부동산에도 통할까. 자금을 부동산의 3대 상품인 주택, 상가, 토지에 분산하는 게 적절한 투자법일까. 부동산 투자에는 뭉칫돈이 든다. 집 한 채 마련하려고 해도 몇 년간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바구니에 담을 계란(자금)이 많지 않은 서민층이나 중산층에는 분산 투자는 사치일 뿐이다. 부동산에서는 분산 투자보다는 압축 투자가 미덕이다. 부재 지주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로 분산 투자 메리트가 크게 줄었다. 돈을 쪼개 이곳 저곳 기웃거려 봐야 세금 떼고 나면 돌아오는 것은 푼돈뿐이다. 투자 대상이 많으면 일일이 챙기기도 힘들다. 부동산에서 포트폴리오는 재산을 어느 정도 축적한 뒤 관리형 단계에 접어들었을 때나 생각하는 게 좋을 것 같다. 부동산시장에 떠도는 ‘3승 법칙’도 경계해야 한다. 3승 법칙은 개발 계획 발표, 착공, 완공 등 3단계에 걸쳐 부동산 가격이 오른다는 법칙. 하지만 지금은 정보 유통 속도가 빨라지면서 이런 법칙이 통하지 않을 때도 많다. 개발 계획 발표~착공 단계까지는 값이 오르지만 완공 단계에선 오름세가 시들해지는 것이다. 실제로 2005년 수도권 전철 경기도 수원 병점~충남 천안역 구간이 개통됐지만 전철이 지나는 평택과 오산 아파트값이 거의 오르지 않았다. 같은 해 가을 복원공사를 마친 서울 청계천 주변의 성동구 하왕십리, 마장동, 동대문구 용두동 일대 아파트도 마찬가지였다. 호재가 완공되기 전에 대부분 미리 반영된 탓이다. 완공 단계에 값이 더 오를 것으로 보고 부동산을 구입하다보면 자칫 ‘뒷북 투자’가 될 수 있다. 시중에 나도는 재테크 이론은 맹신하기보다 참고 정도로 활용하는 게 좋다. 부동산중개업소를 찾아 현장 감각을 익히는 게 부자가 될 수 있는 더 빠른 길이다.
  • 천안·오산·평택 분양러시..연말까지 3만가구
  • [이데일리 윤도진기자] 경기 남부 및 충남 천안지역에&nbsp;올해 3만가구의 새 아파트가 선보인다. 지난해부터 미뤄왔던 분양이 대거 쏟아져,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충남 천안, 경기 오산과 평택에서 공급이 예정된 물량은 49곳에서 총 3만1350가구다. 이 중 천안이 9곳 2만17가구로 가장 많고, 오산은 8곳 6604가구, 평택은 12곳 4729가구로&nbsp;집계됐다. &nbsp;특히 천안은 지난해 지자체와 건설사 간의 분양가 책정 갈등으로 분양이 미뤄졌던 물량이 올해 대거 쏟아진다.&nbsp; 천안시는 750만원&nbsp;안팎의 분양가 가이드라인을&nbsp;책정할&nbsp;예정이다.&nbsp;경기도 오산과 평택도 대형 건설사 위주로 대규모 아파트 분양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천안, 지난 2년간 공급물량 `5배` 올해 쏟아져 천안에서 올 상반기에만 1만가구의 새 아파트가 선보인다. 동일토건은 천안시 쌍용동에서 동일하이빌은 32-87평형 964가구를 분양한다. 오는 23일 모델하우스를 열고 분양 일정에 들어간다. 대우건설(047040)은 경부선 전철 두정역과 가까운 두정동에서 30-56평형 950가구를 4월 중 선보이고,&nbsp;신일도&nbsp;같은 시기에&nbsp;다가동에서 35-58평형 438가구를 분양한다. KTX 천안아산역과 인접한 백석동, 불당동, 신방동 일대에도 대규모 분양이 계획돼 있다. 현대산업(012630)개발은 백석도시개발구역에서 34-89평형 1040가구, 한성건설은 신방도시개발사업지구에 33-86평형 1044가구의 대규모 단지를 각각 분양한다. 한화건설은 불당동에서 38-48평형 297가구를 내놓는다. ◇오산, 평택 경부선 전철역 인근 분양 몰려 오산에서는 원동, 양산동 일대, 평택은 비전동, 서정동 등 비교적 경부선 전철역과 가까운 곳에서 분양 계획이 많다. 상반기 가장 큰 물량은 대림산업(000210)의 양산동 1670가구 분양이다. 경부선 전철 세마역과 가까운 곳으로 28-60평형으로 구성된 물량을 오는 6월 내놓는다. 현대건설도 4월에 &nbsp;원동에서 36-50평형 433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며, KCC건설은 5월에 갈곶동에서 중소형 407가구를, 효성은 6월에 양산동에서 396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12곳 4729가구가 계획된 평택시에서는 경남기업이 오는 5얼에 비전동에서 25-45평형 903가구를 분양한다. 경부선 전철 서정리역과 가깝다. 또 인근에서는 롯데건설이 서정동 주공1차를 재건축해 828가구 가운데 246가구를 6월께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우림건설도 용이동 도시개발지구에서 33-54평형 340가구를 5월 분양한다.
2007.03.20 I 윤도진 기자
수도권 1000가구 이상 단지 41곳 분양
  • 수도권 1000가구 이상 단지 41곳 분양
  • [이데일리 윤도진기자] &nbsp;올해&nbsp;건설업체들이 전국에서 50만가구 안팎의 물량을 풀어놓을 계획인 가운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17만5000여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nbsp;경기도가 11만 6000여가구로 가장 많고, 서울에서는 4만2000여 가구, 인천에서는 1만7000여가구가 분양된다. 특히 이 중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의 공급물량은 41곳, 7만1286가구로 잠정 집계됐다. ◇1000가구 넘는 대단지 풍성 수도권에서는&nbsp;2000가구 이상을 분양하는 대단지만 5곳이다. 이들 물량만도 1만3000여가구나 된다.수도권에서 한번에 가장 많은 물량을 쏟아 놓는 단지는 인천 남동구 고잔동 한화에코메트로로,&nbsp;한화건설은 이 곳에서 지난해 10월 1차로 2920가구 분양한데 이어 오는 2월 34-82평형 4685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단지에 지어질 주택은 모두 1만2192가구로, 일반분양 아파트 8000가구와 빌라, 공공임대 등으로 이뤄진다. 2000가구급 단지 중에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용인에 내놓는 대형 단지가 주목을 끌 전망이다. 삼성건설은 오는 3-4월 용인시 동천동에서 33-75평형 2515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성원건설도 `명품도시`를 표방한 오산시 원동에서 34-76평형 2271가구의 대단지를 오는 9월에 내놓을 예정이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예상된다. 또 ㈜신안은 오는 7월 남양주 진접읍에서 2400여가구,&nbsp;삼부토건은 파주시 교하읍에서&nbsp;2000여가구를 분양한다.1000가구 이상 단지들 가운데서도 주목할 물량이 많다. 인천 송도에서는 포스코건설이 이달 중 송도국제업무단지 내에 지상 47층 3개동 729가구의 주상복합을 내놓는데 이어 상반기 중에 아파트 1300여가구를 분양한다.&nbsp; GS건설도 송도신도시에서 오는 3월 34-111평형 1069가구를 내놓을 계획이다.&nbsp;대림산업이 오는 3월 오산시 양산동에서 28-60평형 1668가구를 분양하며, 오는 10월에는 파주시 탄현면에서 34-96 평형 1350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인천 부평역 부개역 인근에서 1051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또 동부건설은 남양주시 진접읍에서 4월에 34-69평형 1687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선보일 계획이며, 금호산업은 8월에 용인 고림동에서 1·2차에 걸쳐 1195가구를 내놓는다. ◇용인·인천·남양주 `분양 대전` 예고수도권에서는&nbsp;경부선 축의 용인,&nbsp;검단신도시 발표 등 호재가 많은 인천, 친환경 택지로 주목받는 남양주 등지에서 건설업체간 분양경쟁이 벌어질 전망이다.&nbsp;&nbsp;용인에서는 모두 41곳에서 2만1000여 가구가 공급된다. 삼성물산과 금호산업의 대단지를 필두로 성복동에서 CJ개발이 상반기 중 두차례에 걸쳐 1300여가구를, 상현동에서는 현대건설이 800여 가구를 내놓을 계획이다. 인천에서는 24곳에서 1만7503가구가 분양된다. 올해보다 두배가량 물량이 늘어났다. 한화건설의 남동구 논현동 물량과&nbsp;풍림산업의 남구 학익동 707가구&nbsp;등이 이 지역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에서는 특히 송도신도시에서 포스코건설과 GS건설이 맞붙어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남양주에서도 진접택지지구를 비롯한 14곳에서 1만5858가구가 공급된다. 동양건설산업은 5월에 호평동에서 25-57평형 1388가구를 내놓으며, 동부건설과 금강주택은 진접에서 각각 1689가구와 1200여 가구를 공급할 계획을 갖고 있다.&nbsp;
2007.01.16 I 윤도진 기자
  • (인사)기업은행
  • [이데일리 백종훈기자] <보직발령>◇ 부서장▲ 비서실장겸 중국지역본부개설준비위원장 문호성▲ 기업고객부 김기영▲ 기업마케팅부 김성곤▲ 기업마케팅부 네트워크팀 김찬익▲ 개인고객부 영업지원팀 이상래▲ IBK고객센터 한계선▲ PB사업단 부사업단장 권선주▲카드사업부 안동규▲ 신탁사업단 부사업단장 전형구▲ 종합기획부 최병조▲ 경영관리부 정만섭▲ IR부 유석하▲ 점포전략부 김광남▲ CS추진부 강지현▲ 고객만족추진단 CRM팀 최훈▲ 기업분석실 유상정▲ 여신관리부 조홍식▲ 인사부 박진욱▲ 직원만족부 김양채▲ 총무부 황만성▲ 업무지원센터 서형근▲ 정보개발실 임태식▲ 바젤Ⅱ전담반 권태고▲ 신용감리부 윤완섭▲검사부 이국재▲ 기관영업부 이재호 ◇ 기업금융지점장▲ 동시화 이성호▲ 반월중앙 권공안▲ 시화공단 서태준▲ 오산 김진구▲ 호계동 정자면▲ 화성발안 남관희▲ 김해 곽연식▲ 녹산중앙 이익동▲ 마산 이재형▲ 양산 박재덕▲ 장림동 김병갑▲ 창원 박명수◇ 지점장▲ 가락동 이동구 ▲ 가산디지털중앙 조남훈 ▲ 강남구청역 정완영 ▲ 강남역 강선 ▲ 강동구청역 김연목 ▲ 강서중앙 김운룡 ▲개봉북 민병일 ▲ 건대역 오영권 ▲ 고척동 박동집 ▲ 공릉동 이상백 ▲ 관악 이연재 ▲교대역 김기화 ▲ 구로동 이재구 ▲ 구로디지털역 김종철 ▲ 구의동 조홍제 ▲ 길동 최영흥 ▲ 남가좌동 장재성 ▲ 노량진 주병욱 ▲ 당고개역 김근수 ▲ 당산역 강명옥 ▲ 도곡동 진명재 ▲ 돈암동 정규영 ▲ 명동역 박영태 ▲ 목동사거리 박현택 ▲ 미아1동 이근수 ▲ 보광동 한성희 ▲ 삼성역 정원봉 ▲ 선릉역 안우진 ▲ 성동 서준석 ▲ 성수동 조상혁 ▲ 수유역 김형근 ▲ 신대방역 김무성 ▲ 신사동 허준 ▲ 신설동 김명현 ▲ 압구정동 한영희 ▲ 언주로 주인수 ▲ 을지로 김성종 ▲ 장안동 김영하 ▲ 중화동 정상부 ▲ 청계5가 최영식 ▲ 테헤란로 정환수 ▲ 테헤란로중앙 이경우 ▲ 갈산역 최찬호 ▲ 고잔중앙 정병용 ▲ 과천 김성규 ▲ 광명 이황주 ▲ 광적 박현표 ▲ 남동2단지 박해옥 ▲ 능곡 박봉철 ▲ 도당동 설선재 ▲ 도당중앙 채수경 ▲ 동수원 윤상국 ▲ 만수동 정기엽 ▲ 범계역 주성식 ▲ 부평 김태식 ▲ 분당서현역 송병호 ▲ 상동중앙 배대호 ▲ 성남 김세환 ▲ 소사 강현모 ▲ 수지 최일환 ▲ 안양비산동 박성호 ▲ 양주 박유재 ▲ 오산 이희병 ▲ 의왕 장명식 ▲ 이천 김태현 ▲ 인덕원 한관섭 ▲ 인천 정세현 ▲ 일산장항 임현규 ▲ 일산주엽 추병구 ▲ 일산중앙 이상진 ▲ 주안북 민영대 ▲ 죽전 최은식 ▲ 파주 김경선 ▲ 평촌 박용은 ▲ 평택 박정식 ▲ 동해 이광백 ▲ 당진 김원일 ▲ 원동 김광태 ▲ 천안 한명환 ▲ 천안서 오강균 ▲ 경주 황태웅 ▲ 구미 김수섭 ▲ 대곡 윤영도 ▲ 대구 김병수 ▲ 대구유통단지 김진섭 ▲ 덕산 김복기 ▲ 성서 이병홍 ▲ 성서3차단지 우창효 ▲ 시지 이근주 ▲ 영주 이상호 ▲ 왜관 권영보 ▲ 월배 허영순 ▲ 죽전 박병훈 ▲ 포항 두석호 ▲ 형곡 안해성 ▲ 거제동 조세준 ▲ 김해 백재헌 ▲ 대연동 김연수 ▲ 동래 양인석 ▲ 동마산 권수용 ▲ 마산 허훈 ▲ 망미동 김일호 ▲ 부산시청역 송광섭 ▲ 부산진 김현근 ▲ 상평 정종순 ▲ 신평동 강갑용 ▲ 웅상 정재희 ▲ 장림동 박재규 ▲ 정관 김육남 ▲ 진주 양진소 ▲ 초읍동 김영남 ▲ 통영 박재형 ▲ 여수 황우연 ▲ 익산 김석권 ▲ 전주 안종권 ▲ 제주 홍석원 ▲ 화산동 이용재 ▲ 뉴욕 임상현◇ 개설준비위원장▲ 잠실트리지움 김성미 ▲ 문래하이테크 오상수 ▲ 평촌아크로타워 장영환 ▲ 동탄중앙 천정표 ▲ 지사공단 예용해 ▲ 구미4공단 박순우 ▲ 진량공단 이창용 ▲ 평동공단 조철호 ▲ 소주 양종필 ▲ 점포전략부 조사역 김재화 ▲ 점포전략부 조사역 손만식 ▲ 점포전략부 조사역 최용갑 ▲ 점포전략부 조사역 박광휘 ▲ 점포전략부 조사역 석동익 ▲ 서부지역본부 조사역 전재경 ▲ 경수지역본부 김형철 ▲ 경인지역본부 조사역 한홍식 ▲ 부산울산지역본부 조사역 이종일 ▲ 대구경북지역본부 조사역 조재신◇ 드림기업지점장▲ 영업부 이종만 ▲ 가락동 정태수 ▲ 가산디지털중앙 임명섭 ▲ 구로디지털 장인근 ▲ 선릉역 고윤흥 ▲ 송파 이양수 ▲ 테헤란로 박치영 ▲ 검단 백성현 ▲ 경안 장영기 ▲ 남수원 문대희 ▲ 분당서현역 정회남 ▲ 성남공단 전정안 ▲ 안성 허석영 ▲ 안양 김영인 ▲ 연수 문남식 ▲ 영통 박갑재 ▲ 용인 김성수 ▲ 원천동 송하룡 ▲ 일산마두 양동책 ▲ 작전역 강영택 ▲ 주안북 오상선 ▲ 파주 이윤복 ▲ 대구중앙 이정한 ▲ 비산동 박주헌 ▲ 죽전동 김성만 ▲ 포항남 조일 ▲ 신평동 이병덕 ▲ 영도 김필곤 ▲ 울산북 고일석 ▲ 웅상 김용호 ▲ 학장동 조영하 ▲ 광산 박종선 ▲ 전주 나병남
2007.01.14 I 백종훈 기자
  • (인사)국민은행
  • [이데일리 김현동기자] ◇부장 ▲재무관리부 장광순 ▲재무보고통제부 양종희 ▲채널기획부 구자원 ▲고객만족부 강용희 ▲수신부 이치한 ▲가계여신부 임병수 ▲소호여신부 백승균 ▲기업자금관리서비스부 정재동 ▲기업금융업무지원부 최상운 ▲자산유동화부 정상권 ▲카드업무지원부 이계희 ▲카드영업추진부 함영탁 ▲카드마케팅부 조정희 ▲PB사업부 김형태 ▲PB영업추진부 김지학 ▲부동산사업부 차형근 ▲외화자금부 정윤식 ▲금융공학부 전유문 ▲트레이딩부 안재완 ▲기업경영개선부 함식 ▲기업여신심사부 이명규 ▲개인금융업무부 전영산 ▲자금운용지원부 황규만 ▲총무부 양기일 ▲통합구매부 김태호 ▲콜센터관리부 최명동 ▲시장/운영리스크부 박정림 ▲IT기획부 김용원 ▲인프라개발부 유석흥 ▲개발관리부 조근철 ▲시스템부 안영엽 ▲IT개발부 한홍석 ▲계정서비스부 김대원 ▲정보서비스부 송찬희 ▲IT채널서비스부 장용일 ▲인사부 김덕수 ▲직원만족부 황순찬 ▲검사기획부 임승득 ▲경영검사부 염재현 ▲준법감시부 홍학기 ▲준법감시운영부 김양균 ▲감찰반장 강익환 ▲이사회사무국장 정훈모 ▲해외사업기획부 우치구 ▲해외사업추진부 유광근 ◇법인장 ▲런던 백조현 ▲홍콩 박광호 ◇지점장 ▲명동영업부장 박백수 ▲여의도영업부장 권인구 ▲서여의도영업부장 김철홍 ▲동경 김상성 ▲강남역 홍석철 ▲강남타운 안경은 ▲논현역 박형재 ▲도곡동 석종순 ▲매봉 백강호 ▲봉은사로 신상호 ▲삼성동 박유빈 ▲스타타워 이경수 ▲신사역 최인근 ▲압구정역 이기범 ▲압구정 임채섭 ▲영동 박영생 ▲청담2동 신인선 ▲청담동 서창현 ▲청담북 이진호 ▲코엑스 박영태 ▲포이동 안규상 ▲학동역 정연정 ▲현대아파트 한상돈 ▲거여동 박헌정 ▲굽은다리역 길병수 ▲길동 강점구 ▲둔촌동 이영환 ▲방이남 최승창 ▲삼전북 서대범 ▲상대원 남인 ▲상일동 모강표 ▲신장 오상헌 ▲신천역 방혜숙 ▲암사역 육완수 ▲올림픽 한종렬 ▲천호동 김덕구 ▲태평역 정기춘 ▲곡선동 김동섭 ▲광명역 주종수 ▲내손동 김병성 ▲북수원 박주홍 ▲산본2동 박상철 ▲산본역 김택수 ▲수원팔달 정계원 ▲신매탄 김재영 ▲안양동 김종훈 ▲영통남 김형오 ▲의왕 전덕수 ▲인덕원 이덕순 ▲하안동 이경순 ▲호계동 김동렬 ▲화서동 양맹호 ▲강화 양길영 ▲검단 고재현 ▲김포서 박호규 ▲남동공단 최완기 ▲동춘동 신석재 ▲만수6동 강보원▲만수동 김재룡 ▲산곡동 최창수 ▲숭의동 권순중 ▲신포동 김윤수 ▲용현동 김중곤 ▲인천원당 정영은 ▲임학동 전금영 ▲주안중앙 이관석 ▲주안 이준환 ▲항동 정영철 ▲구의남 배영빈 ▲구의동 송백규 ▲능동 김태욱 ▲동자양 한대수 ▲면목동 정진형 ▲사가정역 김기수 ▲삼척 양영석 ▲양평 한승연 ▲원주 이종건 ▲이문동 이광규 ▲장안동 이재훈 ▲장한평역 김지훈 ▲제기동 조성주 ▲중곡동 안경호 ▲중곡서 고홍배 ▲중화동 손철규 ▲청량리역 주현철 ▲청량리 이종탁 ▲춘천남 조연호 ▲홍천 최완도 ▲화양동 김활수 ▲가산패션타운 이정호 ▲고척동 박종섭 ▲구로남 윤승환 ▲구로 이재방 ▲금천 이용택 ▲독산동 정호택 ▲등촌동 안병선 ▲목동중앙 심무길 ▲신길동 강원규 ▲신길서 김영수 ▲신도림역 임호묵 ▲신도림 강성화 ▲신월뉴타운 김정주 ▲신월동 서정완 ▲신정1동 정만용 ▲양평동 안병린 ▲여의도리버타워 김상수 ▲여의도 조성열 ▲영등포구청역 김근수 ▲영등포로 이성용 ▲오류동 신경하 ▲고양동 허성섭 ▲대화역 윤웅원 ▲마포역 전재석 ▲불광동 김영수 ▲서강 김형근 ▲성산동 김낙호 ▲성산로 이양호 ▲성산 오수종 ▲신능곡 오태웅 ▲아현동 최홍범 ▲역촌역 나원주 ▲연서 김강하수 ▲연신내 김만수 ▲응암3동 장홍철▲응암오거리 노정신 ▲일산 김형수 ▲광산 고광숙 ▲광양 이정은 ▲광주 한진수 ▲군산 이중기 ▲김제 김성순 ▲나주 김종범 ▲부안 고정주 ▲송정 오무근 ▲쌍촌동 이봉열 ▲여천남 이동섭 ▲영등동 김성윤 ▲오치동 라종환 ▲용당동 최학천 ▲운암1동 이종승 ▲운암2동 문성주 ▲전주중앙 임경섭 ▲전주 조영기 ▲첨단 김광석 ▲평화동 김유택 ▲풍향동 김춘호 ▲화순 박종필 ▲효자동 홍규식 ▲가장동 하철호 ▲계룡대 이기세 ▲공주 양희대 ▲내덕동 이정연 ▲논산 박문수 ▲대덕특구 백병춘 ▲대전가양동 임채능 ▲대전원동 김연석 ▲두정동 이종섭 ▲둔산갤러리아 조성익 ▲반석동 권영진 ▲삼천동 이일구 ▲서대전 전운선 ▲성정동 오병균 ▲신탄진 김기철 ▲옥천 이종구 ▲용문역 허봉길 ▲용전동 홍구표 ▲유성 김규대 ▲유천동 이성강 ▲제천 홍석규 ▲청주남문 김종면 ▲충주 석상근 ▲경안북 김사진 ▲구갈남 김상수 ▲구갈 이경자 ▲분당시범단지 김종구 ▲분당양지 이승호 ▲수지성복 정재금 ▲야탑역 황석환 ▲여주 박영조 ▲오산운암 박제현 ▲용인구성 마재열 ▲용인대로 곽채윤 ▲용인 이재윤 ▲이천 정병조 ▲죽전역 김재봉 ▲내발산 이승구 ▲본오동 오신학 ▲부천상동 천기오 ▲부천중앙로 김영철 ▲부천 원선호 ▲부천홈플러스 김정렬 ▲상록수 이영기 ▲송내동 배재철 ▲시화 류대형 ▲심곡동 류연상 ▲안산사동 안현수 ▲안산 한중연 ▲원종동 홍성욱 ▲남성역 윤원식 ▲내방역 전국현 ▲방배서 송형근 ▲봉천중앙 이찬열 ▲사당동 장덕준 ▲사당역 홍양표 ▲서초2동 조종채 ▲서초북 이인걸 ▲신림서 김태훈 ▲신림역 오세웅 ▲신반포 윤선일 ▲신사동 윤재관 ▲양재남 안희태 ▲양재동 이강열 ▲흑석동 박정운 ▲가능동 최경주 ▲노원 권오정 ▲덕소 이선수 ▲도봉 김형군 ▲동두천 유호 ▲방학동 이형진 ▲삼양동 김재환 ▲성북역 이기혁 ▲송우 이오성 ▲수락산역 강석정 ▲의정부금오 백동호 ▲의정부서 이철환 ▲중계북 김재욱 ▲태릉역 윤통규 ▲광교 김영민 ▲광화문역 인혜원 ▲구기동 고영권 ▲대학로 김선용 ▲동소문동 김병문 ▲모래내 허만욱 ▲서린동 김남영 ▲세종로 정상우 ▲연희3동 문중옥 ▲연희동 김해연 ▲종로5가 박경돈 ▲종로6가 송혁진 ▲종암동 손찬구▲창신동 한상준 ▲혜화동 오석만 ▲홍제동 김덕출 ▲금호동 박호주 ▲남산타운 이영선 ▲동대문패션타운 전정오 ▲명동역 손한일 ▲명동중앙 정선문 ▲숭례문 최규덕 ▲시청역 정락종 ▲신평화 조성태 ▲옥수동 박근용 ▲이태원 조재석 ▲중부 조영진 ▲청계4가 송기봉 ▲충무로 이용희 ▲태평로1가 유동일 ▲후암동 황규환 ▲가야 백창섭 ▲구서동 김종민 ▲남양산 김문수 ▲남천동 박대효 ▲대연동 이형래 ▲동울산 박영태 ▲문현동 이경웅 ▲미남 이경화 ▲부곡동 백태흠 ▲부산법조타운 박영미 ▲부산진 최세주 ▲부전2동 김준원 ▲서면중앙 김준곤 ▲서면 전덕용 ▲언양 송석봉 ▲온천동 윤인우 ▲울산 허응도 ▲초량 주강식 ▲토곡 김승철 ▲해운대역 팽경진 ▲해운대우동 정윤균 ▲해운대 한영원 ▲감전동 전대식 ▲김해 하원달 ▲내동 조태영 ▲내외동 김창수 ▲도계동 송두호 ▲동삼동 경문수 ▲모라 오동상 ▲밀양 윤영근 ▲부산 김훈 ▲사상 김징 ▲삼방동 김시운 ▲신평동 박성일 ▲주례 김병남 ▲진주 김이열 ▲충무동 안종회 ▲토성동 정운용 ▲통영 김영민 ▲하단동 이승호 ▲거창 이동환 ▲공평동 이규철 ▲관음동 김창규 ▲구미역 이병욱 ▲구미 안효영 ▲대곡동 김운권 ▲대구본동 이석채 ▲대구비산동 김유곤 ▲두류동 윤상헌 ▲문경 강석곤 ▲범어4동 김규동 ▲수성동 하성목 ▲시지 권오훈 ▲신암동 이영수 ▲영주 김준훈 ▲영천 이지열 ▲왜관 정언영 ▲이곡동 김태관 ▲중동교 최성선 ▲지산동 김광립 ▲칠곡 정재주 ▲평리동 권헌주 ▲포항 이종화 ◇기업금융지점장 ▲서여의도법인영업부장 김창곤 ▲스타타워 전용택 ▲강남역 손해진 ▲강동 김군호 ▲강원 박형수 ▲거제 이규홍 ▲구미 정태권 ▲달성공단 박정현 ▲대구 공종표 ▲부산 박기원 ▲사상 오경록 ▲사하 어영수 ▲성남 김종국 ▲성서 강영덕 ▲성수동 이성관 ▲오산 한명수 ▲용산 김동남 ▲창원 강대현 ▲광산 김석진 ▲광주 라진호 ▲광화문 이종린 ▲남동공단 김종찬 ▲둔산 박기암 ▲디지털밸리 김운태 ▲디지털센터 임동술 ▲부천 김용구 ▲서인천 이재현 ▲순천 황윤호 ▲신사동 김정수 ▲익산 김정수 ▲정자동 최효식 ▲종로5가 김지섭 ▲충무로 김태수 ▲호계동 박현배 ◇센터장 ▲방배PB 김해경 ▲청담PB 박혜경 ▲경인심사 이상훈 ▲남부심사 서갑석 ▲북부심사 김홍식 ▲충청심사 나정업 ▲경매/소송관리 김정곤 ▲기업여신관리 강용원 ▲신용여신관리 김두석 ▲인천여신관리 민명식 ▲포항여신관리 윤동석 ▲전주여신관리 이경재 ▲제주여신관리 황기택 ▲청주여신관리 김려중 ▲천안여신관리 유승록 ▲자금결제처리 손태갑 ▲서울대출실행 이학무 ▲서울업무지원 정건택 ▲집단대출실행 김우삼 ▲업무상담 함경식 ▲대전콜 신완수 ▲경인업무지원 이제경 ▲대구업무지원 최윤도 ▲전주업무지원 유창희 ◇기관영업부장 ▲이순근 ▲이용호 ▲지경호 ▲김순태 ▲나경만 ▲배길휴 ▲유기동 ▲최주윤 ◇개설준비위원장 ▲롯데잠실PB센터 심재오 ▲백석역지점 김동민 ▲창동아이파크지점 신두순
2007.01.04 I 김현동 기자
  • (인사)하나은행
  • [이데일리 김상욱기자] ◇부장▲가계영업추진부 백준식 ▲영업2부 손재환 ▲투자신탁부 옥기석 ▲가계영업기획부 이형일 ▲심사부 정영춘 ▲증권대행부 최상규◇팀장▲ALM팀 김규배 ▲법무팀 김희대 ▲운영리스크관리팀 손길균 ▲e-Business팀 신장우 ▲신용리스크관리팀 심상석 ▲카드영업추진팀 윤규섭 ▲CRM팀 이종진 ▲Loan Center팀 전제창◇지점장▲원주 강효정 ▲하계역 강희수 ▲마포중앙 구성모 ▲역촌동 구재선 ▲서대문 권흥복 ▲홍은동 김강렬 ▲광명 김경배 ▲월드센터 김경중 ▲광주 김광옥 ▲수유역 김기우 ▲강남 김덕자 ▲동광주 김병문 ▲논현중앙 김성호 ▲제천 김시호 ▲둔촌동 김진국 ▲양재동 김진모 ▲이수교 김희정 ▲문래역 남상원 ▲청량리 류근흥 ▲안국동 류승기 ▲삼산동 문형준 ▲서초중앙 문호준 ▲제주 박단일 ▲서신동 박병두 ▲반포 박상락 ▲대구서 박재만 ▲길동 백영기 ▲하계동 신혜은 ▲오류동 안병열 ▲산본 안신규 ▲증산동 안우선 ▲한남1동 양영길 ▲종암동 원문성 ▲안암동 유재훈 ▲대연동 유환 ▲수내역 육심천 ▲화도 윤익기 ▲대치동 이명현 ▲사당동 이상우 ▲종로5가 이일우 ▲여수 이재구 ▲이매촌 이현숙 ▲중동 이홍규 ▲테헤란로 임종오 ▲역삼역 전윤수 ▲송파 정순호 ▲창원 조광열 ▲원당 조승만 ▲오금동 조홍 ▲우만동 채수웅 ▲안양중앙 채효식 ▲신자양 최규봉 ▲삼전동 한정윤 ▲초량 홍필희 ▲수지상현 황경성 ▲일원중앙 황원영◇지점장 겸 기업금융전담역(RM)▲시화 김기석▲홍대입구역 김기현▲울산기업금융센터 김득헌▲시흥남 김병호 ▲회현동 김태범 ▲천안기업센터 문종구 ▲성남 박춘기 ▲석촌동 백만현 ▲도당동 송용민 ▲오산 윤재철 ▲용인 이기환▲공덕역 이옥배 ▲구로디지털 전세운 ▲서초센터 정장채 ▲소공동 정해진 ▲당산동 최민옥 ▲영등포중앙 최성천 ▲하단 하창환◇개설준비위원장 ▲역삼역기업센터 이재춘 ▲성서공단 김태동◇가계영업팀장▲잠실역 이경미 ▲성남 이현길 ▲인천 장현자◇기업금융전담역(RM)▲경수중기업금융본부 김원평 ▲중기업금융2본부 남수준 ▲인천중기업금융본부 박석춘 ▲대기업금융1본부 백종덕 ▲중부기업금융본부 유재덕 ▲중기업금융2본부 윤규훈 ▲중기업금융3본부 윤상훈 ▲중앙중기업금융본부 윤태진 ▲중앙중기업금융본부 이재규 ▲대기업금융2본부 이종승 ▲삼성센터 이종찬 ▲영남기업금융본부 이준홍 ▲두산타워 한상영
2007.01.03 I 김상욱 기자
  • [부동산 100자 정보] 경기도 오산 ‘파크스퀘어’ 상가 분양 외
  • [조선일보 제공] 경기도 오산 ‘파크스퀘어’ 상가 분양 솔렉스플랜닝이 경기도 오산시 원동에서 복합 상업시설인 ‘오산 파크스퀘어’ 상가를 분양한다.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3700여평. 1층은 패션상품, 2층은 식음료, 3층은 학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분양가는 1층 평당 1400만원선. 입점은 2008년1월.(031)372-6133 의정부 용현동 ‘건영캐스빌’ 잔여 물량 분양건영은 의정부시 용현동 건영캐스빌 아파트 잔여 물량을 분양한다. 전체 223가구(34·24평형)로, 전세대가 남향 배치다. 3년 전 분양가인 평당 490만원대에 분양한다.(031)847-6672천안 다가동 ‘웰스빌 아파트’ 잔여 물량 분양 대한토지신탁㈜이 천안 다가동 웰스빌 아파트의 잔여물량을 분양한다. 3500만원만 내면 바로 입주할 수 있고 잔금은 2008년 7월에 납부해도 된다. 평당 분양가는 536만원. 전체 221가구, 32·33평형으로, 공원과 하천으로 둘러싸여 있다. (041) 561-4949부산 ‘남천동 코오롱 하늘채’ 329가구코오롱건설은 부산 남천동에서 ‘남천동 코오롱 하늘채 골든비치’를 분양한다. 연면적 6만6290평에 지하 2층, 지상 26층 13개동 987가구 중 329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34~103평형으로 예문여고 등이 인접해 있고, 지하철 2호선 남천역이 걸어서 10분 거리. (051)628-1800시흥시 정왕동 ‘시화철강유통단지’ 상가두산중공업은 경기도시흥시 정왕동에 조성 중인 ‘시화철강유통단지’의 철재 및 철강 관련 상가를 분양한다.전체 6만5000여평. 분양 평형은 41~93평이며 분양가는 평당 560만~650만원이다.(080)331-7777삼성동 주상복합 ‘브라운스톤 레전드’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주상복합 브라운스톤 레전드가 분양 중이다. 64~109평형, 54가구로 지하철 7호선 및 분당선 연장선과 9호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02)518-3700.건설주택포럼 창립 10주년 세미나건설주택포럼은 30일 서울 건설회관에서 창립 10주년 기념 세미나를 갖는다. ‘참여정부의 부동산 투기대책과 파급효과’와 ‘지방 건설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열린다. 선착순 60명에 한해 인터넷 접수(www. yesapt.com)를 받는다.내년 7월 개장 리조트 ‘쏠비치’ 453객실 대명리조트가 내년 7월 개장할 ‘쏠비치’ 리조트를 특별 분양 중이다. 28~61평형 등 453객실로 구성되며, 분양가는 일시불 결제시 2000만~2880만원. 1년간 비발디파크와 설악 대중골프장 50% 할인 혜택 등이 주어진다.(02)555-1222
  • 추석연휴 귀성 10월 5일, 귀경 7일 혼잡
  • [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올 추석 연휴기간 귀성길은 10월 5일, 귀경길은 10월 7일 교통혼잡이 가장 극심할 전망이다.&nbsp;21일 건설교통부는 추석연휴 고속도로 교통량을 예측한 결과 고소도로 1일 평균 통행량은 1331만8000대로 지난해에 비해 4.2% 증가하고, 이중 귀성은 10월 5일(50.4%), 10월 4일(10.9%), 귀성은 10월 7일(36.2%), 8일(20.3%) 집중될 것으로 예측됐다. 지역간 이동인원은 지난해보다 4.2% 늘어난 3900만명으로 추정됐다. 또 추석기간 수송 수단별로는 승용차가 83.8%, 시외.전세버스 10.4%, 철도 3.5%, 고속버스 1.4%, 항공과 해운이 각각 0.4%로 대부분의 귀성객이 승용차를 이용할 것으로 건교부는 예상했다. ◇ 귀성 서울~ 대전 승용차 4시간 40분, 서울~부산 8시간 50분 예상 이에 따라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서울~대전의 귀성길은 4시간 40분, 서울~부산은 8시간 50분, 서울~광주는 7시간 정도 소요되고, 서울~대전 귀경길은 5시간 40분, 서울~부산 9시간, 서울~광주 7시간 20분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건교부는 "수도권의 경우 귀성은 4일 오전 12시 이전과 5일 오후 6시 이후 출발하는 것이 수월하다"며 "서울 귀경은 추석 당일인 6일과 7일 새벽 시간대, 8일 오전 12시 이전 시간대에 경부고속도로 회덕분기점이나 충청권을 통과해야 고생을 덜할 것"이라고 말했다. 건교부는 다음달 3일부터 8일까지 6일간의 추석연휴 특별수송대책기간으로정하고 경찰청, 해양경찰청, 철도청, 도로공사 등과 함께 특별수송대책을 마련했다. 대책에 따르면 급증하는 수송수요에 대비, 연휴기간 고속버스 예비차 139대를 투입해 하루평균 운행 횟수를 6003회로 늘리고 시외버스는 상용차 7568대, 예비차 26대를 추가 확보했다. 등록된 전세버스 2만6502대를 활용, 귀성 수요에 따라 운행키로 했으며 철도는 1일 819량을 임시열차를 편성해 수송능력을 평상시보다 15.8% 늘리기로 했다. 도서지방 이동귀성객을 위해서는 연안여객선을 164회 추가 운항토록 하고 국내선 항공은 임시항공기 21편(1일 평균)을 증편할 계획이다. ◇ 10월 4일부터 8일까지 버스전용차로제 실시..주요구간 진입 금지 고속도로 대중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경부선 서초IC-신탄진IC 구간 상.하행선에서 10월 4일 정오부터 10월 8일 밤 12시까지 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한다. 또 서울시에서는 남부시외버스터미널-서초IC, 사평로 삼호가든사거리-반포IC구간 양방향에서 임시 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키로 했다. 이와 함께 경찰청은 귀성시에는 4일 정오부터 6일 정오까지 경부고속도로 잠원, 서초, 반포, 수원, 기흥, 오산 IC와 서해안 고속도로 매송, 비봉 IC의 진입을 통제하고 양재, 잠원, 서초 IC는 진출이 통제된다. 반포. 서초 IC에서는 P턴 진입만 허용된다. 귀경시에는 10월 6일 12시부터 8일 밤 12시까지 경부고속도로 안성, 오산, 기흥, 수원IC와 서해안 고속도로 발안, 비봉, 매송IC에서 진입이 통제된다. 정부는 또 추석연휴기간 동안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 확장 공사중인 88고속도로 성산 IC~옥포 JCT 13.2km를 임시개통하고,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호평동구간 등 총 12개 국도구간을 10월 3일부터 8일 밤 12시까지 6일간 임시 개통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고속도로 체증에 대비해 우회 안내지도 50만부를 제작, 주요 주요톨게이트에서 배포하고 고속도로상 24개 휴개소에 정비요원을 두는 한편 예상 정체구간 48개소에 임시 화장실 226동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10월 6일부터 8일 새벽 2시까지 지하철과 철도역, 고속터미널 경유 좌석버스를 연장 운행토록 조치했고, 5일 새벽 4시부터 9일 새벽 4시까지 개인택시부제도 해제키로 했다. 추석연휴기간 필요한 교통,기상 정보는 자동응답전화(ARS)1333번이나 ARS(1588-2505) 건교부 인터넷 홈페이지(www.moct.go.kr)를 참조하면 된다.
2006.09.21 I 윤진섭 기자
  • [부동산 100자 정보] 오산 부산에 2300가구 재개발 외
  • [조선일보 제공] 오산 부산에 2300가구 재개발 쌍용건설이 경기도 오산과 부산에서 2300가구 규모의 재개발사업을 잇따라 따냈다. 오산 남촌마을 재개발은 GS건설과 공동 시공하며, 17~52평형 1285가구를 짓는다. 2009년 4월 착공할 예정. 부산 재송2구역은 16~48평형 972가구로 구성된다. ‘신도림2차 푸르지오’90가구 대우건설이 서울 구로구 신도림동에서 주상복합 ‘신도림2차 푸르지오’를 분양한다. 31·44평형 90가구로 평당가는 1600만원선이다. 옥상정원, 쌈지마당 등 친환경 공간을 넣고, 조명등과 커튼이 자동 조절되는 시스템을 선보인다. 지하철 신도림역과 구로역이 가깝고, 주변에 아파트단지가 많다. (02)508-5730 수원 버스터미널 부지에 쇼핑몰‘팅스’ 한화건설이 경기 수원시 팔달구 옛 시외버스터미널 터에 짓는 쇼핑몰 ‘팅스’(Tings)를 분양한다. 지하 1층, 지상 9층에 연면적 2만여 평 규모. 지하 1층에 힙합클럽과 비보이(B-boy) 공연장, 4층에 게임장·캐릭터숍 등이 각각 들어선다. 7~9층엔 롯데시네마(9개관)가 입점한다. 계약금 10%에 중도금 30% 무이자 융자조건. 1600-0022 여수 신기지구‘우림 필유’418가구 우림건설이 전남 여수시 신기지구에서 ‘우림 필유’ 아파트를 25일부터 분양한다. 33~52평형 418가구로 평당가는 460만~545만원선이며, 계약금 10%에 중도금 60% 무이자 융자조건이다. 신기지구는 여수산업단지 배후 주거지역으로 시청·신기초교·문수중 등이 가깝고, 고락산을 끼고 있다. (061)684-7777 시흥 능곡지구 아파트 1489가구 분양 경기도 시흥시 능곡지구에서 다음달 19일부터 아파트 1489가구가 동시 분양될 예정이다. 참여 업체는 ▲신안종합건설(32평형 394가구) ▲신일(42~48평형 315가구) ▲ITM개발(33평형 203가구) ▲엘드(33평형 272가구) ▲우남건설(43~73평형 305가구) 등 5개사다. 대전 문화동에‘하우스토리’243가구 남광토건이 대전시 중구 문화동 새서울호텔 부지에 ‘문화동 하우스토리’를 공급한다. 지상 30층 규모의 타워형 주상복합으로 41~105평형 243가구가 들어선다. 98~105평형 8가구는 펜트하우스로 짓는다. 평당가는 850만~900만원으로 대전시민공원과 보문산을 한눈에 볼 수 있다. (02)3011-0123
  • [부동산 100자 정보] 부산 온천동 ‘벽산 아스타’ 중도금 무이자 외
  • [조선일보 제공] ▲부산 온천동 ‘벽산 아스타’ 중도금 무이자 벽산건설이 부산 온천동에서 ‘아스타’ 아파트를 계약금 1000만원 조건으로 특별 분양하고 있다. 지상 52층짜리 일반아파트로 골프연습장·헬스장 등 다양한 부대시설이 들어서며, 전자제품과 새시를 분양가에 포함해 제공한다. 34~99평형 648가구로 일부 층에 대해선 중도금 무이자 융자도 가능하다. 개인 취향에 따라 내부 공간 구성을 바꿀 수 있다. (051)555-8355▲오산‘파크리젠시 로프트’평당 400만원선 해중건설과 솔렉스플랜닝이 경기 오산 원동에서 ‘파크리젠시 로프트’를 분양한다. 로프트(Loft)란 주거와 비즈니스가 동시에 가능한 복합 주거공간이다. 14~31평형 288가구로 평당가는 400만원 선이며 천장 매립형 에어컨, 붙박이 냉장고 등이 제공된다. 오산역과 오산IC가 가깝고, 이마트·롯데마트 등도 이용할 수 있다. 1588-2839▲부천 상동 6만평 규모 ‘소풍’상가 분양 경기 부천 상동에 짓는 ‘소풍’ 상가가 분양 중이다. 연면적 6만평 규모로 매장의 40%를 직영할 계획이다. 지상 7층에는 2000평 규모의 대형 워터파크가 설치된다. 1700명을 수용할 수 있고, 스파와 건강관리시설도 갖출 예정이다. 생명의 나무(높이 38m), 인공암벽, 하늘폭포 등 다양한 볼거리도 만들어진다. 1566-5988▲답십리 ‘래미안’ 모델하우스 20일 오픈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서울 동대문 답십리동에서 ‘래미안 답십리’ 아파트를 선보인다. 24~42평형 472가구 중 308가구를 일반분양한다. 평당가는 1000만원 선으로 20일 모델하우스를 연다. 헬스장, 독서실, 실버룸 등 커뮤니티 시설이 갖춰지며 주변에 8000가구의 래미안 타운이 조성된다. (02)765-3367▲경매 권리분석·실전노하우등 무료강좌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염창철 교수가 18~20일까지 3일 동안 경매 함정, 권리 분석, 실전 경매 노하우 등에 대해 무료 공개 강좌를 연다. 장소는 지하철 2호선 선릉역 5번 출구 옆 동현빌딩. 선착순 마감한다. (02)558-3005▲일산‘윈스턴파크’상가 2차분 특별분양 요진산업이 경기 고양 일산에서 ‘윈스턴파크’ 상가 2차분을 특별 분양한다. 1차분은 약국만 5개가 입주해 성업 중이며, 평당 4500만원에 분양됐다. 2차분은 1층 상가로 평당 1800만~2000만원대에 내놨다. 일산병원, 시외버스터미널 등이 가깝다. (031)907-4255▲무창포해수욕장 ‘비체팰리스’리조트 236실 용평리조트가 충남 보령 무창포해수욕장 내에 짓는 ‘비체팰리스’ 리조트를 분양한다. 지하 1층~지상 13층 규모로, 27~101평형 236실로 구성된다. 분양가는 27평형 3375만원, 36평형 4500만원 등이며, 전 객실에서 바다 조망이 가능하다. 사우나, 스파 등 다양한 부대시설도 들어선다. (02)559-6550
  • (주간부동산)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하락 반전
  • [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정부가 연일 집값 거품 붕괴 경고를 쏟아내는 가운데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재건축 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시내 전체 아파트의 상승폭도 크게 위축됐다. 28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 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시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한 주전 (0.3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0.15%로 조사됐다. 이는 3.30대책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인 동시에 1월6일(0.10%)에 이어 올해 들어 두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10월 셋째주(-0.11%) 이후 처음으로 0.16% 하락했다. 송파구가 1.07% 떨어져 재건축 아파트 하락세를 주도했고, 강남, 강동, 서초구도 일제히 0.04~0.05%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세시장은 서울이 0.08%, 수도권이 0.05% 각각 오르고 신도시는 지난주와 변동이 없는 등 안정세가 계속 이어졌다. ◇매매 시장 0.15% 상승한 서울은 송파구가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0.15%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으며, 노원구(-0.02%), 동대문구(-0.02%)도 소폭 떨어졌다. 개별단지로는 송파구 풍납동 동아한가람 33평형이 2000만원,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32평형이 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버블세븐'으로 지목된 강남구(0.19%), 서초구(0.13%)는 여전히 오름세를 이어가기는 했지만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 非버블세븐인 동작구와 마포구는 각각 0.37%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오름세가 강했으며 강서구(0.33%), 양천구(0.32%), 용산구(0.31%), 중구(0.31%)도 서울 평균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들 지역도 지난 주에 비해서는 상승폭이 절반 정도로 위축됐다. 서울 재건축아파트값은 0.16% 하락했다. 부동산114의 조사에서 재건축아파트값이 하락하기는 작년 10월 셋째주(-0.11%) 이후 처음이다. 특히 송파구가 1.07%나 떨어졌으며 강남구(0.04%), 강동구(0.05%), 서초구(0.05%)등의 상승폭도 미미했다. 신도시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은 0.46%, 수도권은 0.33%로 나타났다. 신도시에서는 중동이 지하철 7호선 공사 호재를 발판으로 1.43%가 올랐고, 일산은 탄현역 복선화 공사와 59층 주상복합 공사 소식으로 0.76% 올랐다. 산본(0.47%), 평촌(0.44%), 분당(0.22%) 순의 변동률을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고양시가 1.03%로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과천시(0.84%), 의왕시(0.67%), 화성시(0.67%), 부천시(0.66%), 안양시(0.53%), 하남시(0.51%), 성남시(0.48%), 군포시(0.39%) 등도 높은 편이었다. ◇전세시장 전세시장은 서울이 0.08%, 수도권이 0.05% 각각 오르고 신도시는 지난주와 변동이 없는 등 안정세가 계속 이어졌다. 서울은 금천(0.79%), 광진(0.39%), 용산(0.35%), 중랑(0.21%) 등 일부 지역이 소폭 오름세를 보였을 뿐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가격 변동 없이 보합세를 유지하거나 0.1% 안팎의 미미한 주간 변동률을 나타냈다. 신도시는 중동신도시가 0.61% 상승했고, 일산(0.05%), 산본(0.04%), 평촌(-0.09%), 분당(-0.12%) 순이었다. 분당과 평촌은 연속 2주째 하락세가 이어졌다. 0.05%가 오른 수도권은 구리(0.35%), 고양(0.3%), 수원(0.23%), 안양(0.22%), 과천(0.18%), 군포(0.16%), 부천(0.16%), 남양주(0.14%), 의왕(0.1%) 등은 소폭 올랐다. 반면 용인(-0.4%), 광명(-0.16%), 오산(-0.11%), 양주(-0.02%), 하남(-0.02%), 의정부(-0.02%), 화성(-0.01%) 등은 소폭 하락했다.
2006.05.28 I 윤진섭 기자
  • (인사)국민은행 부·지점장
  • [이데일리 윤도진기자] ◇ 부장▲홍보부 임영식 ▲IR부 최규설 ▲개인영업기획부 김진홍 ▲개인영업추진부 박중원 ▲고객만족부 김형태 ▲부동산금융부 곽희동 ▲카드기획부 김승재 ▲카드제휴업무부 송경일 ▲트레이딩부 전유문 ▲파생상품영업부 이성돈 ▲신용기획부 김명철 ▲여신관리부 김오중 ▲본점건축부 배용준 ▲수탁업무부 전귀상 ▲시장리스크부 박영태 ▲IT혁신지원부 강윤식 ▲개발관리부 유석흥 ▲시스템부 김대원 ▲IT개발부 김흥운 ▲정보서비스부 한홍석 ▲HR지원부 김태운 ▲준법감시부 김양균 ▲준법감시운영부 강익환▲기업여신심사부 수석심사역 박성규 방인석 ◇ 지점장▲여의도영업부장 서혜석 ▲뉴욕 이상원 ▲광주사무소장 손종근 ▲개포동 정동원 ▲논현동 강석원 ▲대치남 배종효 ▲도산로 윤영의 ▲매봉역 이태임 ▲압구정서 이헌 ▲압구정역 강용희 ▲일원역 안성열 ▲청담동 정윤식 ▲청담역 이병훈 ▲코엑스 이우식 ▲테헤란로 송백호 ▲테헤란중앙 송인구 ▲가락동 심원경 ▲둔촌서 서원장 ▲명일동 김남인 ▲명일역 김명제 ▲방이남 함경식 ▲석촌동 이종현 ▲성남중앙로 이융석 ▲성내동 이기철 ▲송파역 강연각 ▲송파 김창식 ▲암사동 서성남 ▲은행동 백긍호 ▲잠실중앙 권영복 ▲창우동 박영기 ▲태평동 윤경성 ▲태평역 김재진 ▲훼밀리아파트 유선재 ▲구로벤처센터 강진섭 ▲구일 정수환 ▲대림3동 장영란 ▲동여의도 이규석 ▲목동7단지 이일복 ▲목동 최용근 ▲문래동 유성재 ▲시흥동 한윤희 ▲신길동 방성철 ▲신월북 김우현 ▲여의도중앙 최철규 ▲여의도 박찬본 ▲영등포2가 이도형 ▲영등포구청역 이상원 ▲과천 김영국 ▲광명 구은향 ▲국토연구원 유재화 ▲권선동 최종근 ▲산본궁내동 신강환 ▲산본 이경석 ▲수원남문 김종순 ▲수원역 우제창 ▲안양비산동 한인석 ▲인계동 김창환 ▲정자동 동충무 ▲천천동 나병도 ▲평촌남 이종필 ▲평촌범계 강운성 ▲가좌동 장석철 ▲계산동 김주현 ▲구월동 김병곤 ▲구월북 서갑승 ▲김포 이재붕 ▲동암 김순덕 ▲만수동 강영수 ▲부평 김영칠 ▲산곡북 김형백 ▲신포동 이우진 ▲연수중앙 홍성창 ▲연수 배상철 ▲옥련동 오석성 ▲용종동 이강설 ▲작전동 이동우 ▲청천동 김석기 ▲강릉 박선동 ▲건대역 박동건 ▲광장동 이승식 ▲교문 황선권 ▲노유동 채응양 ▲동자양 박혜경 ▲면목동 노태섭 ▲묵동 이규홍 ▲상봉동 정우택 ▲속초 홍태선 ▲신내동 신호열 ▲신용두 안부영 ▲원주단구 박병일 ▲원주 신남철 ▲이문2동 신영철 ▲자양동 김홍준 ▲중곡동 오승일 ▲청량리 최명동 ▲춘천 김영호 ▲태백 강의수 ▲테크노마트 김동규 ▲토평 안중엽 ▲휘경동 김석조 ▲금촌중앙 김진용 ▲도화동 강세창 ▲마두역 민영현 ▲마포 이응백 ▲망원역 최근홍 ▲문산 최우성 ▲벽제 구본혁 ▲성산동 김태수 ▲신일산 오창근 ▲아현동 이성길 ▲역촌역 한명희 ▲연서 노완성 ▲응암역 임성덕 ▲일산 김재곤 ▲정발산 이진기 ▲중산 이영호 ▲화정 곽광수 ▲군산 유창희 ▲금남로 정찬구 ▲나주 박종길 ▲남원 최영호 ▲동광양 이강복 ▲두암동 유철규 ▲목포 민을홍 ▲문흥동 서재철 ▲봉선동 소동팔 ▲상무 방극홍 ▲서광주 진준표 ▲송천동 최강일 ▲순천 오세헌 ▲여수 조규봉 ▲인후동 박재균 ▲일곡 강행칠 ▲제주중앙로 홍종철 ▲태인동 박희숙 ▲풍향동 안치국 ▲해남 변세연 ▲공주신관 김기응 ▲관저동 김문환 ▲금능동 김정진 ▲내덕동 이창균 ▲노은 전형남 ▲대전원동 이원기 ▲대전은행동 황규명 ▲대전중부 이두현 ▲대천 이철언 ▲도마동 이웅길 ▲송촌동 박창우 ▲쌍용동 박상균 ▲온양 김성년 ▲정림동 유은자 ▲중촌동 이안숙 ▲천안사직동 최지태 ▲천안 권효상 ▲청주북문 장홍식 ▲충주 정진성 ▲고잔 이한응 ▲대야동 김상준 ▲도당동 홍의배 ▲등촌1동 김행미 ▲발산역 김연수 ▲방화동 오진규 ▲부천계남로 최순영 ▲부천상동 유희백 ▲부천서 백승용 ▲부천중동 장경진 ▲부천중앙로 이종한 ▲부천 신규범 ▲상록수 박용채 ▲소사 조원상 ▲송내동 정형근 ▲시화공단 김철수 ▲안산단원 홍재근 ▲월피동 김철오 ▲춘의동 신길식 ▲화곡본동 서창석 ▲강남 김용남 ▲낙성대역 조용진 ▲노량진중앙 최귀성 ▲대방로 김형률 ▲반포남 김영범 ▲반포 이수호 ▲방배동 김복수 ▲방배역 강광원 ▲봉천동 장사윤 ▲사당역 김태호 ▲상도동 김재옥 ▲서초중앙 고영왕 ▲신림동 정영기 ▲신반포 김용남 ▲신사동 조성신 ▲흑석동 김명해 ▲강북 김평주 ▲공릉역 강명수 ▲노원역 이종재 ▲동두천 손동호 ▲동의정부 신현석 ▲삼양동 손태갑 ▲상계동 이상철 ▲수유서 변정섭 ▲신도봉 변수우 ▲쌍문역 이정권 ▲전곡 최용배 ▲중계동 김은섭 ▲진접 백인기 ▲철원 최병용 ▲퇴계원 박승규 ▲포천 김광진 ▲회룡역 주낙신 ▲분당정자 모인숙 ▲분당효자촌 신화영 ▲송탄 서경태 ▲수내역 정길수 ▲수지남 장인석 ▲수지신봉 김동수 ▲야탑동 김숙희 ▲오산 윤은중 ▲이매동 장인태 ▲장안타운 정용식 ▲죽전 이정민 ▲광화문 박완철 ▲남가좌동 장영균 ▲독립문 김용갑 ▲돈화문 홍완기 ▲동소문동 배성호 ▲모래내 최완도 ▲보문동 이용우 ▲북아현동 추창호 ▲월곡동 김영식 ▲월곡역 전명석 ▲장위1동 이병환 ▲정릉동 조동기 ▲종로3가 권유주 ▲종로5가 유성현 ▲종암동 임승득 ▲청계 임호인 ▲평창동 윤웅상 ▲남영동 김용승 ▲서소문로 엄주필 ▲신당동 이기수 ▲신평화 백만욱 ▲오장동 조찬형 ▲왕십리 정용수 ▲원효로 최익 ▲을지로3가 김상재 ▲이태원 변순석 ▲중부 선형운 ▲청계3가 정진우 ▲태평로1가 최상철 ▲퇴계로 이주삼 ▲한남동 원종호 ▲행당동 최선만 ▲경주 이봉하 ▲구미역 김창규 ▲남산동 이태준 ▲논공 오규섭 ▲대곡동 류흥렬 ▲대구3공단 최경훈 ▲대구메트로팔레스 신영도 ▲대구유통단지 송대진 ▲대구중동 서종원 ▲대구 정성영 ▲대명동 김종배 ▲동천동 이재림 ▲만촌동 남무석 ▲방촌동 임채경 ▲범물동 이경은 ▲복현동 김종성 ▲상주 홍재환 ▲서라벌 박충호 ▲송현동 권점자 ▲시지 이내영 ▲안심 이명규 ▲월성동 이정구 ▲개금동 최문림 ▲달동 박종원 ▲두실역 채희종 ▲메트로시티 임영한 ▲반여동 박해성 ▲범어사역 이만호 ▲부전동 오맹석 ▲사직동 조태규 ▲삼산 김만영 ▲서면 김종일 ▲양정동 김덕준 ▲연산동역 정연호 ▲울산남 박대근 ▲울산동평 곽명선 ▲전포동 하기용 ▲충렬로 이명호 ▲고현 김용득 ▲광복동 이곤수 ▲구포 김영만 ▲금곡동 이근우 ▲내동 김중곤 ▲동대신동 안승수 ▲동마산 한정헌 ▲마산역 김추곤 ▲명곡 박은경 ▲부산중앙 최해인 ▲부평동 주규원 ▲사상역 신종민 ▲장유 이상훈 ▲창원중앙동 정해성 ▲화명역 김홍일 ◇ 기업금융지점장 ▲구로동 강문호 ▲대치동 박수철 ▲방배동 허성철 ▲서교동 김명신 ▲가락동 김진홍 ▲압구정 권영건 ▲부천 김호남 ▲용인 김용호 ▲수원 장지인 ▲부평 최범식 ▲시화 정연찬 ▲양산 오규원 ▲순천 김석진 ◇ 센터장▲강남PB 황갑삼 ▲남부심사 이명규 ▲동부심사 이재천 ▲서부심사 이희영 ▲중부심사 손성현 ▲경인심사 함식 ▲강릉여신관리 이경연 ▲울산여신관리 김정우 ▲원주여신관리 서운식 ▲청주여신관리 이원호 ▲서울업무지원 김계진 ▲경수업무지원 김오봉 ▲부산업무지원 최현모 ▲자금결제처리 김재수 ▲업무상담 홍상근 ◇ 지점개설준비위원장▲양평2가 임종철 ▲디지털3단지 박윤수 ▲신용암 심세진 ▲양주자이 백철현 ▲동백 이종훈 ▲종암1동 천학도 ▲구미인동 권명자
2006.01.31 I 윤도진 기자
  • (인사)기업은행 부점장급
  • [이데일리 오상용기자] ◇ 본 부 ▲기업고객부장 鄭忠鉉 ▲기업마케팅부장 金基暎 ▲상품개발부장 盧熙成 ▲ 개인금융부장 盧綱錫 ▲국제업무부장 李忠源 ▲ 카드사업부장 尹完燮 ▲종합금융부장 李瑨浩 ▲사모펀드실장 李重完 ▲종합기획부장 周永來 ▲종합기획부부장 崔秉朝 ▲IR부장 李永雨 ▲문화홍보실장 梁永宰 ▲경영지원실 팀장 申鉉昌▲기은컨설팅센터장 李昌英 ▲여신기획부장 金錫興 ▲심사부장 柳基奉 ▲심사부(부산동부)수석심사역 鄭仁甲 ▲심사부(부산서부)수석심사역 崔性弼 ▲심사부(호남)수석심사역 李吉遠 ▲인력개발부장 李鍾烈 ▲인력개발부부장 尹俊求 ▲복지후생실장 黃萬性 ▲총무부장 南官熙 ▲업무지원센터장 朴鎭旭 ▲정보시스템부장 黃明秀 ▲리스크관리부장 李東柱 ▲지식경영추진단 부단장 李尙珍 ▲검사부장 柳致華 ▲검사부 수석검사역 鄭鎔五 ◇ 기업금융지점장 ▲ 구로동기업금융지점장 鄭茂喆 ▲성수2가기업금융지점장 權公顔 ▲성수동기업금융지점장 洪承宰 ▲남동2단지기업금융지점장 金光烈 ▲도당동기업금융지점장 林京洛 ▲동수원기업금융지점장 金容喆 ▲반월기업금융지점장 吳錦弼 ▲주안공단기업금융지점장 孫煥成 ▲성서공단기업금융지점장 姜永喆 ▲울산중앙기업금융지점장 金晶泰 ◇ 지점장 ▲건대역지점장 黃永壽 ▲경동시장지점장 宋光鎬 ▲공릉역지점장 洪淳德 ▲공항동지점장 金光順 ▲남가좌동지점장 林泰植 ▲남대문지점장 安東奎 ▲남대문시장지점장 宋昇鎬 ▲노원역지점장 李晉映 ▲녹번동지점장 梁熙泰 ▲논현역지점장 朱東秀 ▲당고개역지점장 梁潤碩 ▲당산동지점장 姜潤熙 ▲도산로지점장 安禹鎭 ▲도화동지점장 宋益鎭 ▲독립문지점장 朴成根 ▲독산2동지점장 鄭然興 ▲동대문지점장 安德濬 ▲등촌동지점장 李麟秀 ▲마들역지점장 金台煥 ▲마장동지점장 王封植 ▲목동쉐르빌지점장 李廷愛 ▲무역센터지점장 嚴聖一 ▲문래중앙지점장 朴宰成 ▲반포지점장 郭相國 ▲방배동지점장 林相秀 ▲보광동지점장 李聖柱 ▲북아현동지점장 呂在九 ▲삼성동지점장 金曰洙 ▲삼양동지점장 金鍾雨 ▲상계동지점장 朴奇雄 ▲서교동지점장 李裕根 ▲서여의도지점장 姜晟求 ▲서초3동지점장 정윤석 ▲서초동지점장 丘冀芳 ▲송파지점장 朴惠聖 ▲시흥동지점장 金星經 ▲시흥유통상가지점장 徐琓錫 ▲신당동지점장 崔炳容 ▲신대방역지점장 李鎬殷 ▲신림동지점장 朴南洙 ▲신설동지점장 徐迎壹 ▲암사역지점장 宋永健 ▲약수동지점장 韓圭鮮 ▲양재동지점장 鄭相日 ▲여의도지점장 劉永天 ▲오류동지점장 尹正善 ▲온수동지점장 李康喆 ▲용산중앙지점장 崔永淳 ▲워커힐지점장 金亨逸 ▲을지6가지점장 朴世俊 ▲을지로지점장 李相五 ▲응암동지점장 盧德敏 ▲응암역지점장 金鎭鶴 ▲이수역지점장 安俊浩 ▲장한평지점장 閔丙瑞 ▲종로6가지점장 許善九 ▲중곡동지점장 申承秀 ▲중곡중앙지점장 崔燉原 ▲창신동지점장 李啓龍 ▲청계7가지점장 元昌世 ▲청계8가지점장 南承鎬 ▲청량리지점장 奇英鍾 ▲홍은동지점장 李濟百 ▲화양동지점장 金學允 ▲검단지점장 安洪烈 ▲경안지점장 安相龍 ▲계양지점장 김양섭 ▲곤지암지점장 李弼鏞 ▲광명지점장 權泰高 ▲군포지점장 崔秉周 ▲군포공단지점장 邢萬旭 ▲김포지점장 金在閏 ▲김포대곶지점장 白世鍾 ▲남수원지점장 池磬煥 ▲동수원지점장 金鎭九 ▲반월지점장 朴英植 ▲반월중앙지점장 姜善台▲범계역지점장 金昌植 ▲부천테크노지점장 任仲彬 ▲분당파크뷰지점장 梁奉優 ▲상동중앙지점장 金晟培 ▲상록수지점장 申奉均 ▲선부동지점장 宋在明 ▲성남공단지점장 崔秉立 ▲송도테크노파크지점장 曺錦太 ▲송림동지점장 柳炳茂 ▲송탄지점장 蔡昌勳 ▲수원지점장 韓鎭愚 ▲시화중앙지점장 都得漢 ▲심곡동지점장 李庸漢 ▲안산지점장 申重燮 ▲안산중앙지점장 梁鉉斗▲안양지점장 金正甲 ▲야탑역지점장 金泳彦 ▲원천동지점장 南廷福 ▲주안공단지점장 李賢鎔 ▲통진지점장 文在煥 ▲평촌지점장 曺洪植 ▲호계동지점장 朴炳龍 ▲화성발안지점장 李炳暾 ▲화성태안지점장 黃基鉉 ▲화정역지점장 金閏圭 ▲강릉지점장 金基銑 ▲속초지점장 鄭丁奎 ▲원주지점장 吳慶旺 ▲가장동지점장 姜永浩 ▲논산지점장 田基喆 ▲대전지점장 朴春洪 ▲대전3공단지점장 朴炯淳 ▲서대전지점장 李福鎔 ▲온양지점장 朴鍾彦 ▲청주지점장 羅明燦 ▲청주중앙지점장 洪淳喆 ▲경산지점장 金聖潤 ▲김천지점장 朴贊興 ▲대구지점장 李泳相 ▲대구중앙지점장 姜奉求 ▲동대구지점장 宋鳳桓 ▲송현동지점장 趙靑來 ▲안동지점장 金成東 ▲평리동지점장 崔相弼 ▲포항남지점장 柳在奉 ▲금사지점장 姜秉權 ▲녹산공단지점장 張流水 ▲녹산중앙지점장 吳鍾煥 ▲대연동지점장 朴相雄 ▲동상동지점장 孫永坤 ▲마산지점장 林俊澤 ▲망미동지점장 林炳虎 ▲범천동지점장 白南潤 ▲부산지점장 安炳述 ▲부평동지점장 鄭煥鍾 ▲안락동지점장 黃在旭 ▲양산지점장 張在官 ▲영도지점장 鄭好起 ▲울산지점장 張寧哲 ▲울산중앙지점장 金源雄 ▲웅상지점장 李鍾一 ▲장전동지점장 金相奎 ▲창원지점장 尹朝警 ▲초량지점장 丘相植 ▲팔용동지점장 金炳春 ▲학장동지점장 朴東一 ▲광산지점장 金永福 ▲광주지점장 高在宣 ▲광주서지점장 金永仙 ▲군산지점장 金俊錫 ▲금호동지점장 嚴榮文 ▲남원지점장 柳熙相 ▲동광양지점장 郭允培 ▲신제주지점장 李庸德 ▲여천지점장 羅亨南 ▲정읍지점장 林成煥 ▲하남공단지점장 文炳鎭 ▲화산동지점장 朴在圭◇드림기업지점장 ▲영업부 드림기업지점장 蔣明植 ▲가락동 드림기업지점장 許俊 ▲구로디지털1단지 드림기업지점장 朴春培 ▲구로디지털3단지 드림기업지점장 金武成 ▲선릉역 드림기업지점장 李相瑨 ▲송파 드림기업지점장 許萬奭 ▲종로 드림기업지점장 蔡洙炅 ▲테헤란로 드림기업지점장 朴淳在 ▲검단 드림기업지점장 金雲龍 ▲경안 드림기업지점장 朴炫表 ▲남수원 드림기업지점장 金福基 ▲분당 드림기업지점장 金贊益 ▲성남공단 드림기업지점장 李贊周 ▲안성 드림기업지점장 田俊烈 ▲안양 드림기업지점장 朴成浩 ▲연수 드림기업지점장 申採浩 ▲영통 드림기업지점장 趙南勳 ▲오산 드림기업지점장 金榮夏 ▲용인 드림기업지점장 成貞勳 ▲원천동 드림기업지점장 黃泰雄 ▲일산마두 드림기업지점장 宋光燮 ▲작전역 드림기업지점장 柳鍾洛 ▲주안북 드림기업지점장 姜殷圭 ▲파주 드림기업지점장 李幸榮 ▲대구유통단지 드림기업지점장 朴明圭 ▲대구중앙 드림기업지점장 李相佰 ▲죽전동 드림기업지점장 鄭柄容 ▲포항남 드림기업지점장 朴淳宇 ▲영도 드림기업지점장 李根秀 ▲울산북 드림기업지점장 朴奉喆 ▲웅상 드림기업지점장 鄭在熙 ▲학장동 드림기업지점장 鄭鍾淳 ▲광산 드림기업지점장 丁祺燁 ▲전주 드림기업지점장 李太道 ◇ 개설준비위원장 ▲여의도한국증권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朴秉洙 ▲우장산역지점 개설준비위원장 宋基燦 ▲중계동지점 개설준비위원장 尹松海 ▲용인동백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林永知 ▲파주교하지점 개설준비위원장 鄭秉洙 ▲화성정남지점 개설준비위원장 申相權 ▲전주서신동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河東鉉 ▲런던지점 개설준비위원장 姜浩昌 ▲연대지점 개설준비위원장 金南辰
2006.01.12 I 오상용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