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주 뜨고 중소형주 지고…증시 '부익부 빈익빈'

대형주 수익 방어율, 중소형주 대비 양호
외국인, 2차전지서 반도체·인터넷·엔터로 이동
2차전지 개미, 에코프로 남기고 반도체·화장품주로
"업황 턴어라운드·실적 가시성에 수급 이동에 주목"
  • 등록 2023-05-18 오전 5:00:00

    수정 2023-05-18 오전 5:00:00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미국 부채한도 협상 결렬로 미국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증시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거래가 대형주 위주로 쏠리면서 코스피 지수가 코스닥 방어율을 앞서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업황 반등 신호가 나오고 있는 대형주와 구조적 성장기에 진입한 엔터주 등 똘똘한 성장주가 수익률 방어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래픽=문승용 기자)


1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42포인트(0.58%) 오른 2494.66에 거래를 마쳤다. 2480선 턱밑에서 출발한 지수는 장중 2470선까지 밀렸다가 2498.37까지 튀어오르기도 했다.

외국인이 이틀 연속 ‘사자’ 행보를 보인 가운데 기관 순매수세가 가세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외국인과 기관은 1569억원, 1574억원어치를 사들였고, 개인은 3246억원어치를 내다팔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다만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를 막기 위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등 여야 지도부의 2차 협상 결렬로 불확실성이 재차 부각되자 2500선을 뚫지 못했다.

코스피 대형주는 최근 양호한 방어율을 기록하며 중형주, 소형주를 제치고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8일부터 이날까지 하락률이 0.02%에 그치며 코스피 중형주(-1.60%), 소형주(0.66%)를 가뿐하게 따돌렸다. 같은 기간 코스피(-0.25%)와 코스닥(-1.29%)와 비교해도 낙폭이 미미하다.

수익 방어율이 양호한 건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형주 위주로 담고 있어서다. 앞서 외국인은 올해 1~2월 코스닥 시장에서 에코프로비엠(247540)(2754억원)과 에코프로(086520)(1953억원), 앨엔에프(1680억원) 등 2차전지주를 사들이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주가가 과열 양상을 보이자 실적 시즌 직전 대형주로 옮겨 탔다. 업황 반등 신호가 나오고 있는 반도체, 실적이 우상향 하고 있는 자동차와 인터넷 분야에 관심을 보이며 네이버(NAVER(035420), 2424억원), SK하이닉스(000660)(2380억원), 삼성전자(005930)(1693억원), 현대차(005380)(1421억원)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매수에 집중한 것이다.

코스닥 시장에도 엔터주로 포트폴리오를 바꿨다. 이달 초부터 이날까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와 JYP Ent.를 각각 853억원, 405억원어치를 사들이면서 외국인 순매수 종목 1, 2위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0.15%)를 제외한 종목들은 최소 3.61%에서 최대 38.96%까지 올랐다.

반면 2차전지주에 ‘올인’했던 개인은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최근 8거래일 간 코스피 시장의 순매도액이 1조1527억원을 기록했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327억원을 매수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가장 많이 산 종목은 에코프로(1343억원)를 비롯해 대주전자재료(078600)(484억원), 리노공업(058470)(432억원), 바이오니아(064550)(337억원), 트루엔(417790)(30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2차전지주 비중을 낮추고 반도체, 화장품, 인공지능(AI) 관련주를 담으며 관망하는 모습이다. 이 기간 에코프로 주가가 16.84% 하락한 것을 비롯해 대주전자재료와 리노공업도 각각 7.21%, 12.58% 떨어졌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2차전지주들의 주가 변동성이 높아짐에 따라 외국인을 중심으로 해당 업종에서 이탈한 수급이 대형주 내에서 반도체, 중소형주 중에선 엔터 업종으로 유입되고 있다”며 “업황 턴어라운드, 실적 가시성이 있는 업종으로 수급이 이동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종목 간 차별화가 진행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