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불황속 짠돌이 소비` 대세

이마트, 올해 소비동향 분석
"싸고 양많은 제품만 잘 팔렸다"
  • 등록 2004-12-05 오후 12:04:32

    수정 2004-12-05 오후 12:04:32

[edaily 조진형기자] 2004년 올 한해 내수불황의 골이 깊어지면서 서민들이 값싸고 실속있는 소비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불황형 짠돌이 소비`. 5일 신세계(004170) 이마트가 올해 1~11월 생필품의 판매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불황 바로미터` 상품들이 올 한해 중산층 소비의 파워 아이템으로 인기를 모았다. 가격대비 양이 많은 상품을 선호하는 양(量)중심 소비가 눈에 띄었고 가격이 저렴한 다른 상품군을 구입하는 대체 소비 현상이 심화됐다. ◇양(量)중심 소비=가격대비로 양이 많은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병-페트병 맥주가 기존점 연누계로 30% 신장했고 반면 캔맥주는 소폭 줄어들었다. 컵라면이 6%밖에 신장하지 못한 것과 달리 봉지라면은 22%나 신장했다. 이 같은 현상은 즉석식품에서도 나타났다. 해마다 두자리수 신장율을 보였던 햇반과 같은 즉석밥이 올해는 1% 신장에 그친 반면 직접 요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어도 가격대비 양이 많은 일반 쌀은 쌀소비 둔화 추세에도 불과하고 9% 늘어났다. 과일 역시 중량당 가격이 가장 낮은 바나나와 밀감이 올해 5~10% 증가하며 연중 꾸준히 잘 팔렸다. 양 대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PB 상품의 인기도 많았다. 이플러스 흰우유가 16% 신장해 이마트내 1ℓ 흰 우유 소비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가격이 다소 높은 가공유는 5% 신장에 그쳤다. 이마트가 P&G와 함께 개발한 기획화장지 역시 15% 신장하며 화장지 매출 수위를 기록했다. ◇대체소비 현상=소비자들은 올 한해 쇠고기 대신 돼지고기를, 갈치 대신 고등어를 찾는 경향을 보였다. 가격이 저렴한 대체 품목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마트에서 고등어·오징어·꽁치 등 이른바 가격대가 낮은 대중선어는 품목별로 20~30% 신장했지만 갈치·연어·돔 등의 고급선어는 5~10%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쇠고기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8% 줄었지만 돼지고기 매출은 23%나 늘어났다. 돼지고기가 축산물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20%에서 올해는 30%선까지 높아졌다. 빙과류에서도 전형적인 불황 바로미터 상품인 바형 아이스크림은 61% 신장했지만 고급형인 컵형 아이스크림은 2% 신장에 그쳤다. 방한복 역시 오리털 점퍼보다 가격이 훨씬 저렴한 패딩 점퍼가 11월말 누계로 54% 신장했다. 불황과 함께 외식대체 상품과 아이들 간식류도 높은 신장율을 보였다. 외식 지출을 줄이는 대신 간식으로 대체소비를 한 것. 치즈스틱·찐빵·핫도그 같은 아이들 간식 상품은 품목별로 10~15% 신장했고 냉면·비빔면 역시 기존점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25% 잘 팔렸다. 즉석조리 식품도 판매 호조를 보여 족발·통닭·김밥·돈까스 등 패밀리 패키지 상품들은 13% 신장했고, 조미카레와 짜장 분말 역시 24%나 신장했다. 방종관 이마트 마케팅 팀장은 "올해 엥겔지수가 4년만에 최고를 기록했다는 언론보도처럼 식품류 매출의 약진이 눈에 띄는 특이점"이라며 "식품류에서도 불황바로미터 상품들의 매출 희비가 엇갈렸는데 싼 상품을 중심으로 한푼이라도 더 아끼려는 소비 현상이 두드러져 불황형 소비의 전형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꽃 같은 안무
  • 좀비라고?
  • 아이언맨 출동!
  • 아스팔트서 왜?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