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기자의 천일藥화]탈모약의 오해와 진실

먹는 탈모약 '피나스테리드'·'두타스테리드' 2종
바르는 탈모약은 '미녹시딜'이 유일
탈모 샴푸, 의약외품 등 치료효과 검증되지 않아
  • 등록 2015-03-14 오전 6:00:00

    수정 2015-03-18 오후 5:25:47

[이데일리 천승현 기자] 먹기만 하면 머리카락이 풍성하게 나는 약이 있을까? 1000만 탈모인들의 염원이지만 안타깝게도 약 한알로 탈모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다만 먹거나 바르는 약 일부는 탈모치료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전문가 상의 후 선택하면 된다.

탈모증은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매일 약 50~70개 빠지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머리를 감을 때 100개이상이 빠진다면 탈모일 가능성이 높다.

탈모는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등의 유형이 있지만 이 중 유전성 안드로겐성 탈모증이라고 불리는 남성형 탈모가 70% 이상을 차지한다.

빠진 머리카락을 나게 하는 방법으로 수많은 민간요법이 거론되지만 보건당국으로부터 승인받은 탈모치료제는 ‘피나스테리드’, ‘두타스테리드’, ‘미녹시딜’ 등 단 3개 뿐이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는 먹는 알약 제품으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미녹시딜은 바르는 제품으로 약국에서 파는 일반의약품이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탈모를 치료한다. 남성적 탈모는 유전적 요인 이외에도 털이 나는 것을 조절하는 DHT에 의해 발생하는데 DHT로 인해 모낭이 축소돼 머리카
락이 가늘고 힘이 없어지고 결국 빠지게 된다.

‘프로페시아’라는 상품명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피나스테리드는 성인남성(만18~41세)의 남성형 탈모증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허가받았다. 지난해 국내에서 324억원어치 팔린 탈모치료제 선두 제품이다. 1998년 미국에서 탈모치료제로 시판된 이후 판매량이 30억정에 육박한다.

대표적인 임상결과를 살펴보면 프로페시아는 5년간 18~41세의 남성형 탈모 환자 155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10명 중 9명의 환자에서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거나 더 이상 탈모가 진행하지 않은 효과를 나타냈다. 두타스테리드가 확보하지 못한 장기 복용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연구다.

후발주자인 두타스테리드 성분의 아보다트도 2004년 국내 발매 이후 프로페시아를 쫓는 형국이다. 아보다트는 만18~50세의 남성형 탈모 치료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아보다트는 후발주자인만큼 리딩 품목인 피나스테리드와 직접 비교한 임상시험도 있다.

최근 미국피부과학회지(JAAD)에 소개된 연구자료에 따르면 아시아, 러시아 등 9개국 39개 기관에서 24주간 917명의 남성형 탈모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피나스테리드 1mg을 복용하는 것보다 두타스테리드를 복용한 12, 24주 째에 남성형 탈모의 모발 수 증가에서 더 빠르고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프로페시아가 미국을 비롯해 50여개국에서 팔리는 것과는 달리 아보다트는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이 개발했음에도 탈모치료제 용도로는 국내에서만 허가받았다는 점이 이색적이다. 한국 시장의 수요가 많고 시장성이 높아서 우선적으로 한국 시장에 먼저 진출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 모두 당초 전립선치료제로 개발됐지만 탈모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지금은 탈모치료제로 더욱 많이 팔린다.

두 제품 모두 사용시 주의할 점이 많다. 소아 환자나 여성에게 투여해서는 안된다.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 약의 부서진 조각을 만지는 경우, 피부를 통해 약이 흡수돼 남성태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여성이 이 약을 만졌을 경우 접촉부위를 물과 비누로 씻어야 한다.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간혹 성욕감퇴나 발기부전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모발 상태는 예전으로 돌아가게 된다.

바르는 탈모약인 미녹시딜은 두피의 혈류를 증가시켜 발모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이다. 혈관이완작용으로 두피 혈류를 순환시키고 모낭 주위의 모세혈관을 자극해 혈류를 원활하게 한다. 24주동안 남성형 탈모증환자 17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임상시험 결과 모발 개수가 13.71% 증가하고 모발굵기가 18.03% 늘었다는 연구결과도 제시된 바 있다. 미녹시딜은 18세 미만 환자나 임부 및 수유부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가려움, 홍반 등 피부 부작용이 주로 많이 나타났다.

먹는 탈모약은 ‘피나스테리드’와 ‘두테스테리드’ 2종만 있을 뿐 약국에서 파는 먹는 탈모약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일부 탈모약을 표방하는 먹는 약은 머리카락이 자라나게 하는 목적이 아닌 ‘확산성 탈모의 완화’ 등의 용도로 허가받았다.

세 가지 탈모약 이외에 탈모 치료 용도를 광고하는 약물이나 샴푸나 식품 등은 모두 과학적으로 탈모치료를 검증받지 않았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프로페시아와 같이 쓰면 효과가 커진다다거나, DHT를 억제하는 샴푸 등 흔히 광고를 통해 접할 수 있는 제품들은 객관적으로 그 효능을 인정받은 적이 없다.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제품은 ‘탈모의 방지 또는 모발의 굵기 증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뿐 근본적으로 탈모를 치료하지는 않는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